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CS/AI 분야 SPK 하위권 랩 vs YK 중상위권 랩 (석사)

울적한 알렉산더 벨*

2022.11.10

17

3571

우문 하나만 드리고 싶습니다.
제곧내인데요, 본인 실력이 중요한 CS/AI 분야에서도 SPK 간판이 유의미하게 작동하는가 여쭙고 싶습니다.

(YK 상위권 랩이 실적도 더 잘 나오고, 분위기가 더 좋다는 가정 하에) 저는 후자를 선호하고, 또 옳다고 생각합니다만..
때로는 교수님들이나 선배 연구자 분들의 눈에는 아직 SPK <-> 비 SPK 간에 선입견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 YK에서 실적이 잘 나온다 한들, 해당 실적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기엔 시간 관계 상 어려움이 있기에 SPK 간판을 볼 수 밖에 없다.
- SPK 비인기 랩의 분위기가 안 좋다 한들, 석사 2년 정도는 그냥 버티면 그만이다.

vs

- CS 분야는 자기 실력/실적이 중요하다.
- 연구는 충분히 좋은 랩에서 즐거운 마음을 갖고 해야 아웃풋도 더 잘 나온다.


석사 졸업 후 Field / 혹은 박사 진학을 고려했을 때, 보편적으로 어떤 게 더 합리적인 선택일까요?
생각보다 위와 같은 선택지에 놓이는 사람은 많은데, 각기 다른 조언을 받을 때가 많아, 여러 관점에서의 의견을 좀 듣고자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체한 백석*

2022.11.10

도대체 누가 AI분야에서 논문보다 학벌을 먼저봄?

대댓글 1개

울적한 알렉산더 벨작성자*

2022.11.10

석사 기준으로도 동일하게 생각하시나요?? 위에 기재했던 것처럼, "어차피 석사가 질 좋은 논문을 쓰기는 쉽지 않다" 라는 생각을 갖고 계시는 분들도 꽤나 있더라구요.. 설령 탑 컨퍼런스라 할지라도, 리뷰 프로세스가 신뢰도 낮은 경우도 있구요.
(저 또한 논문이 학벌보다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인사권자 입장에서는 또 다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체한 백석*

2022.11.10

절대 오해하면 안되는게
논문실적이 비슷하면 그다음 보는게 학벌임

대댓글 1개

2022.11.10

석사논문이 나와봤자긴 해서 아웃라이어 제외 결국 간판임

2022.11.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석사는 간판봄
박사가 논문보지

대댓글 2개

울적한 알렉산더 벨작성자*

2022.11.10

열심히 해서 실적 상대적으로 더 잘 내면 간판차이가 메워지긴 하겠죠?

2022.11.11

근데 솔직히 석사만 받을거면 대학원 뭐하러 가는지 잘 모르겠음.. 어차피 학계 떠날거면 회사 간다는 건데 거기서 간판으로 뭐하게? 요새 누가 학벌로 밀어주고 하나
세심한 토마스 홉스

IF : 1

2022.11.10

일반화 시켜서 생각하면 논란만 커집니다.
자기자신이 어디로 갔을 때 잘할 수 있겠냐를 생각해보세요.
질문글처럼 장단점으로 논해봤자 의미 없습니다. 면접관 커뮤니티도 아니고... 졸업생 직장을 보세요.

대댓글 1개

울적한 알렉산더 벨작성자*

2022.11.10

저도 참 개인의 가치관, 랩의 분위기/앨럼나이/실적, 세부 분야 핏 등 여러가지 판단 기준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때로 후배들이 조언을 구할 때면 제한된 스펙으로, 어디를 목표로 준비해야하는지 확답을 주기가 힘들더라구요.
학부생 후배들의 경우 제 1의 목표가 대학원 진학이다보니, 질문의 시야가 좁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ㅠㅠ..
소심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2.11.10

누누히 얘기하지만 대학원 간판 볼거면 미국 탑티어 대학원 아니면 수능다시보는게 맞음.
당연히 예외는 있겠지만 교수채용할때 어필되는 학벌은 학부 spkyk 혹은 해외탑티어 석박학위임.
정직한 게오르크 헤겔*

2022.11.10

요즘은 그래도 박사는 논문이 우선이라니 많이 발전했네요. 물론 예전에는 학교간 논문 실적이 선명했는데 요즘은 오버햅되니. 상황이 달라진 듯

대댓글 3개

2022.11.10

저,,, 뜬금없지만, 오버햅이 뭔가요?
다정한 로버트 보일*

2022.11.10

오버랩 오타일 듯
정직한 게오르크 헤겔*

2022.11.11

맞습니다 오버랩. 왜 여기는 기본글 수정이 되는데 댓글은 안되는지.
상처받은 쿠르트 괴델*

2022.11.12

연구자의 길로 들어온 이상 학벌이 아니라 논문으로 평가받습니다. 모든 다른조건이 동일하고 학벌만 차이가 나는 경우 빼고, 학벌로 차별받는거 단 한번도 못봤습니다.

특히 AI분야에서 연구성과 좋으신 국내/해외 명문대의 한국인 교수님들 중에 지방대 출신이신 경우도 몇분 봤습니다.

AI분야시니 NIPS, ICLR, CVPR로 예를 들면, 석사과정 2년동안 해당 학회에서 1저자 논문 한 편이상 발표하시면 아무도 실력의심하지 않고 리스펙 해줍니다. 누가봐도 연구실적이 좋으면 학벌이 주는 디스어드밴티지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해요.

2022.11.13

석사 후 국내 취업의 경우

논문이나 유명 학회 발표 있구 해당분야에 지도교수가 탑티어이면 베스트.
지도교수가 업계 탑이면 실적 좀 없어도 추천으로 버프 가능하죠. 보통 처음사례보다는 이게 보편적이지요. 위에 보면 왜 석사여도 좋은 논문 못 쓰냐고 하는데 그럼 사이언스 네이쳐 다 쓰겠죠? 보편적인 경우로 가정하는게 맘 편함. ㅋㅋㅋㅋ일단 존나 똑똑하면 여기에 저런 질문를 안할 확률이 높음. 애매하니까 최적의 선택을 구하려고 질문 하는거 아니겠음?
둘 다 평타면 학부고 그 다음이 석사 학위 받은 학교.
근데 질문 보면 취업보다는 박사 고민일 것 같은데 걍 분위기 괜찮으면 석박 통합을 가든지 석사만 하고 유학을 가시지요? 아무리 ai할애비라도 컴싸쪽은 미국이 넘사로 잘 하는 분위기라서요.
그리고 여차하면 석사만하고 회사가야겠다 마음먹으면 박사 안가요 ㅋㅋ똑같이 힘들어도 극복하려는 리커버리에너지가 다름요

2022.11.15

간판을 볼거면 해당 교수의 인맥도 고려해야해요
보통 대학원 간판은 학교 네임+ 지도교수 네임벨류라
근데 이것도 최소한의 실적이 받쳐준다는 전제하에 성립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