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0 - 행정대학원을 목표로 하신다니 다른 학교 가셔서 이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실수와 사후대응'에 대한 연구를 하시고 논문을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44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5 - 보통 논문 실적 욕심 있는 사람이 워라벨 생각 안하고 열심히 하고 실적도 제일 좋고 당연히 졸업 후 월급도 제일 높은 곳으로 감.
그 반대도 다 연관되어 있음.
대학원을 올 때는 각오가 되어 있어야 성공하는 것이 맞음.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8 - 돈 꽉 채워주고 이런말하는거면 인정~ 아니면 ㅆ꼰대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9 - 기출변형임
3점 초반대여도 눈치 안보셔도 돼요 사수도 별 생각 안하실듯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16 - 늦으면 시발 가지말던가 이런글 왜올림?
답정너임?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1 - 이공계 정치인이 대통령 되어서 정책 하달하면 되는게 아니라 주류정치인의 참모급에 정상적인 학계 출신 인물이 있어야하는거죠. 이공계 호소인 정치인들이 내놓은 정책 뜯어보면 한심하기 그지 없어요.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1 - 어중간하게 학부만 나온 사람은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기에는 애매하고요.
제대로된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면 30~40대까지 1저자 논문도 좀 쓰고, 연구비라도 제대로 한번 따본 사람이 되야 의미 있겠죠.
필드에서 축구잘하는 것과 훌륭한 축구감독은 인과관계가 없는 것 처럼, 대통령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꼰대세끼
돈이라도 똑바로 주고 말해라
가정교육 어떻게 받았는지 훤히 보이네 ㅋㅋ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9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논문을 쓰기 위한 제품 개발ㅋㅋ정부 과제로 20억 10억써서 만들면 아무도 안사용 합니다. 상품성이 하나도 없어요.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4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9 - rnd예산이 포퓰리즘이라니요. 이러니 예산 삭감하는거지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1
늪에 빠진 기분..
2022.08.24

나름 괜찮은 학교에서 꽤 괜찮은 성적으로 학부 졸업 후
곧장 대학원에 진학하였으나 원래 가고싶었던 1순위 랩이 티오가 가득차 못가게 되었습니다.
급하게 2순위 랩을 가게 되었고 그러다 보니 제가 원했던 연구 주제를 택할수가 없었어요.
2순위였던 지금 랩의 교수님께서는 나이가 드셔서 그런지 열정이 없으시고 학생들에게 지도를 잘 안해주십니다
들어갔을때 대가 끊겨서 선배도 없었고(세대 교체되는 느낌으로 1~2달 잠깐 인수인계 받은게 다입니다)
박사과정생도 없었고, 현재까지 아무 과제도 없습니다. 들어오자마자 신생랩 마냥 제가 랩장이 되었습니다.
졸업을 앞둔 현재,
여전히 제 연구 주제에 대해 혼자 공부하고 옆방 동기, 옆방 선배들에게 물어보며 어떻게든 실험하고 논문쓰고 있는데
스스로에 대한 자신이 너무 없습니다.. 이젠 의욕도 없고 아무것도 하기 싫네요
취업 시즌 다가오는데 합격했던 다른방 선배들 자소서를 보면
'아.. 이게 진짜 연구구나.. 뭔가 학문적인 기초를 바탕으로 진짜 연구라는걸 하고 실험을 했구나..' 이런 생각이 드는데
저는 그게 아니라서 아무리 그렇게 풀어쓸려고해도.. 글이 안써집니다.
누군 학회에서 우수발표상도 받고 특허도내고 SCI급 저널에 투고도하고... 또 이걸 모두 다 한 사람도 있는데
저는 아무것도 없어요.. 그냥 석사 학위논문 하나가 끝입니다.
너무 후회스럽습니다. 왜 이방에 왔을까...
2년간 어떻게든 혼자 발버둥치면서 배우고 익혔는데,
선배가 있었다면 그게 다 1달만에도 깨우칠 수 있는 것들 이라는걸 알았어요...
논문은 70% 정도 진행되었는데 자소서에 적을 내용이 없네요.. 사실 이걸 연구라고 내세울 수 있는지도 잘 모르겠어요.
뭐든 열심히 하고 잘 해내던 내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 밝았던 내가.. 참 답답합니다.
-
82 58 18249
인생 망한 것 같은데 어떡하죠 ... 김GPT 18 26 40644
저는 망가지고 있습니다. 김GPT 5 8 4652
잘 못 살아온 것 같아요. 김GPT 10 7 6862
자신감 뚝뚝 떨어진다 김GPT 7 15 8449
꼰대가 되어가는 내 자신을 바라보며. 김GPT 23 13 5361
스스로 멍청하다 생각이... 김GPT 1 6 1981
한심한 대학원생 김GPT 10 7 5360
졸업하고 느끼는 것들 김GPT 51 9 8541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35 37 36229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47 32 49499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4 10 600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2 -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76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11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7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4 - 해외 박사과정중 연구테마 (일본 사회연구분야) 에 대해서 느낀점
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2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24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를 포기하려고 합니다.
21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6 - 공대 석사 월급
17 -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0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5 - 이거 거절일까요?
13 - 안녕하세요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이 학석사 관련하여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10 - spk 어학 성적 질문
5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8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8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5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교수로 임용되기 위한 십계명 - 하이브레인 펌
16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2 -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76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11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4 - 해외 박사과정중 연구테마 (일본 사회연구분야) 에 대해서 느낀점
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2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24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8 - 인종구성 원래 이런가요
8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7 - 박사를 포기하려고 합니다.
21 - 공대 석사 월급
17 -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0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5 - 이거 거절일까요?
13 - 안녕하세요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이 학석사 관련하여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10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8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2022.08.24
2022.08.24
20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