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알바로 돈모아서 20대 중반에 1억을 모아
사업을 시작했는데 지금은 연매출이 억대로
잘 벌고있는 친구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이후 생각은 사람마다의 길은 모두 다른것이고
꼭 성공의 기준은 대학으로 결정 되는것도 아니며
내가 학문이 성공의 목적이라면 대학과 대학원을 진학해야 하는것이 옳고
9급 공무원이 목적이라면 고졸만 했어도 되는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한마디로 자기한테 정말 필요한 정량적인 정도만
맞추어 가지고 있으면 된다고 생각이드네요
나머지는 욕심이 되는 것이 구요.
학벌이라는건 그것을 성취하면서
얻어지는 자존감이나 암묵적인 선입견 개선
진취적인 성향이나 버텨내는 기백등으로
나 자신을 대변 하는 한 수단에 불과 한것이고
스스로의 가치를 갈고 닦는 것이
더 중요 한것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결론은
박사를 지원 할 사람들은
솔직히 돈을 많이 모으고 싶다는 목적보다는
정말 내가 공부를 하고 싶고 능동적으로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어서 명예를 떨쳐보고 싶은
사람이 해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학벌세탁 하고 싶은 사람도 마찬가지 입니다.
대학원은 학벌세탁하러 오는 곳이 아니고 세탁이 안됩니다.
~하면 될까요? ~ 되나요?
이런 수동적인 질문에 비추가 많이 밖히는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박사를 할려면 능동적인 사람이 되어야 해요
고교육 커리큘럼대로 따라가는 수동적인 관습을
벗으셔야 합니다.
엔지니어로서 적당히 먹고살 돈을 벌고 싶다면
학사나 석사만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2.08.12
인정... 저도 그런 측면에서 박사한거 후회 전혀 안해요. 근데 확실히 주변과 함께 살아가다보니 돈이란걸 무시할 수는 또 없더라고요ㅋㅋ 항상 마음 다잡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깔끔한 플라톤*
2022.08.12
Quora에서 많은 공감을 얻은 글에 의하면, 박사를 하면서 후회를 안한 사람들의 공통점이
1) 돈이 인생의 최고 가치가 아님
2) 연구 자체를 좋아함
2022.08.12
저는 이 글을 동의하면서도 다른 생각을 하나 더 가지고 있는데
사람이 살면서 언제 그리고 얼마 만큼 확고한 생각을 가지게 되는 계기에 따라서 다를 것 같습니다.
처음 딱 듣는 순간 조금은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로
박사하면 좋죠 멋있게 보이자나요 라던가
현실성을 약간 더 보태
박사하면 돈 많이 벌 수 있자나요 라던가
뭐 시작이 이런들 무슨 상관이 있을까 싶습니다.
하는 과정 중에서 우리는 다른 생각을 해봄으로써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지도 모르지 않을까 말이죠.
제가 정답은 아니겠지만...
위 처럼 생각 하는 것은 가장 좋은 길로 보이긴합니다.
하지만 처음 시작할 때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데
그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기회조차 박탈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공허한 르네 데카르트*
2022.08.12
그 사람 능력이 좋은거죠. 전 알바만으로 1억 모을 자신도 사업을 성공할 자신도 없습니다.
2022.08.12
다른 소리지만 석사때랑은 다르게 박사하는 동료들 중에서 금전적으로 여유없는 친구는 없는거 같아요.
대부분 좋은 차타고 다니고 전세든 자가든 서울에서 독립해서 살고 있는거 보면요..저만 힘든거 같네요ㅜ
튼튼한 버지니아 울프*
2022.08.12
“ 결론은
박사를 지원 할 사람들은
솔직히 돈을 많이 모으고 싶다는 목적보다는
정말 내가 공부를 하고 싶고 능동적으로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어서 명예를 떨쳐보고 싶은
사람이 해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학벌세탁 하고 싶은 사람도 마찬가지 입니다.
대학원은 학벌세탁하러 오는 곳이 아니고 세탁이 안됩니다.”
전체적인 틀에서 공감합니다만, 너무 한방향으로만 볼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돈을 많이 모은다는게 정략적으로 얼마인지는 모르겠지만, 주변에 박사 받고 회사로 가서 R&D에서 어드바이징 및 매니징을 하면서 최소 연봉 5억이상 받은 분들 꽤 압니다 (미국기준) 저희 회사 CTO는 미국탑스쿨 박사출신이고 첫 몇년간은 회사에서 성공적인 연구원 생활을 하다가 방향을 틀어서 지금은 연봉 100억대 입니다. CTO의 경우는 극소수이지만 5억 내외로 받고 기술적으로 상당히 빠삭하며 즐기는 분들 꽤 압니다..
직설적인 토마스 홉스*
2022.08.18
특정한 케이스를 들어서 비교하는건 .... 별로 합리적인 방법이 아니죠. 평균과 분산을 가지고 이야기해야. 평균적으려 대학을 나오는게 대학원을 나오는게 명문대를 나오는게 돈을 많이 법니다. 사회에선 애들에게 공학을 해서 빌게이츠 마 일런 머스크가 되라고 하지만 그건 아주 특이 경우고 의대가면 30대 중반에 평균 연봉 1억5천이강인데 서울대 공대나와도 평균 연봉 1억도 힘듭니다.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