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파트타임.ㅋ 지도 돈주고 학위 사러 와 놓고ㅋㅋㅋ
교수님이 날 저놈 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맞음?
38
- 님도 많이 힘드신가봐요 공격적이신거보니.. 같이 힘내요.
교수님이 날 저놈 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맞음?
31
- 글 내용은 괜찮다만 언급하는 대가랩 기준이 매우매우 낮은듯.
국내에 대가랩이 어디있음 ㅋㅋㅋ
대가랩은 걍 논문 뽑으면 평균적으로 당해년도 끝나기전에 그 논문 인용수가 수십, 100 넘어가는곳을 대가랩이라 함.
랩에 인원수도 많고 그 이상으로
그 랩 논문 다들 알림받아 읽고 인용하니 인용수 그냥 쫙쫙 오름
대가랩이라 불리는 곳도 모든 박사과정이 탑저널 뽑는 건 아니다
19
- 병원을 가..
한국의 카르텔 정리
18
- 교수는 자기 연구 하기 위해 교수가 된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 인건비 및 연구비를 확보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것이고
그 연구실에 들어간 대학원생은 교수의 연구를 도와주면서 연구 방법론을 배우고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는 졸업한 뒤에 본인이 교수가 되든 정출연에 들어가든 그때가서 할 일인데
처음부터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하려고 하는 것은 교수가 뭘 믿고 자신이 애써 따온 연구비를 제공할까
이 정도 역학 관계는 대학원에 들어갈 때부터 이해하고 들어갔어야 하는데
도대체 석사과정을 어떻게 보냈길래 교수는 학생 인생에 괸심이 없다고 찡찡댈까
엄밀하게 말하면 본인의 인생은 교수에게 맡겨둔 게 아니다
교수는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학생에게 인건비와 연구비를 지급하고 그러면서 연구 방법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기회를 잡는 건 본인이 알아서 할 일이지 교수가 앉혀놓고 주입할 것도 아니다
석사 끝나고 박사과정 입학하고나서야 깨달았습니다
33
국내박사 .. 교수 임용 도전
2022.07.20
30
9787

저는 학/석/박 서울 SSH 공대 나왔고 전공은 공대에서 메인분야는 아닙니다.
나이는 곧 30대에 접어들고, 국내 정출연에서 1년 미만의 짧은 기간의 포닥 생활을 마치고 대기업 연구소 입사해서 연구를 지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해외 포닥 경험이 없는게 흠이라 생각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회사에서도 꾸준히 논문 관리를 했습니다.
현재는 최근 3년간 약 19편의 SCI 주저자 (상위 10% 이내 12편) 논문을 작성하였습니다.
평소에도 글 쓰는 걸 좋아하다보니, 퇴근하고 저녁이나 주말 때 논문을 쓰는게 크게 어렵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당연히 해외 박사/포닥 등 해외 경험이 있으면서도 논문 실적을 충분히 달성하신 훌륭한 박사님들이 많은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제가 교수 임용을 위해서 어떤 부분들을 더 준비하고 채워나가면 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121
29
28051
김GPT
지거국 학부 + 미박의 한국 교수임용1
25
24037
-
0
13
10426
김GPT
산업공학 석사2
10
6271
김GPT
향후 교수 임용 가능성1
11
6234
-
0
21
5168
김GPT
부산대 모학과 교수진3
12
5199
김GPT
전문연구요원 전직에 관하여2
4
3979
김GPT
교수님따라 박사과정 편입0
7
2862
-
176
26
43171
-
243
27
71309
-
80
30
3967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7.20
대댓글 2개
2022.07.20
2022.07.20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