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실험실 멤버가 데이터를 속이고, 조작하는 등 문제가 많아서 해당 데이터 다 폐기하고 그냥 5년 정도 묻어놓은 프로젝트가 있었거든요.
교수님이 데이터 수치는 보지말고 그냥 논리 흐름? 이 정도만 보라고 그 사람 figure 보내주시더라구요.
제 연구하면서 시간 날 때 예전 실험하면서 수치나 효율, 이미지 더 좋게 나와서 처음부터 끝까지 figure 다 바꿨거든요.
한 번도 교수님한테 이거 한다고 말씀도 안 드렸고, 그냥 혼자 찾아보면서 해서....
교수님도 당황하셨는데 데이터에 대한 거는 논의하고, 괜찮으면 논문 쓰자고... corresponding author 줄 수 있다고 하시는데
이제 석사 1학기 끝났고 논문 써본적이 없어서 그러는데 그게 무슨 뜻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허탈한 피터 힉스*
2022.07.09
교신 준다는 거잖아요..교수님 천사네요..
무기력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2.07.09
교신저자요
부럽네요
후회하는 에르빈 슈뢰딩거*
2022.07.09
corresponding을 대학원생(심지어 석사학기)한테도 주는 경우가 있네요?
근데 corresponding author가 뭔지도 모르는사람이 그걸 받는게 아이러니긴함
2022.07.09
저도 새로운 방법론 제안, 프로그래밍 및 실험 전체 진행, 논문 작성 기여도 50%정도 하니까 첫 논문에 교신저자 주셨어요. 좋은겁니다!
재치있는 프랜시스 베이컨*
2022.07.09
교신저자가 뭔지 모르시고 여태 논문 읽은건가..
2022.07.10
학생이 교신을 가져가는 경우도 있군요.. 저는 박사졸업하고도 연구실에서 했던내용 겹쳐서 교수님교신이나 공동교신 드렸는데..
2022.07.11
전 박사 받았는데도 교신저자가 박사 학위 없이 가능한건줄 처음 알았네요 ㄷ
밝은 데이비드 흄*
2022.07.11
그걸 왜 학갱이 교신저자를 하죠? 당연히 주저자를 하고 교수가 교신늘 해야하는데. 주저자로 다른 사람이 들어가 있나요? 그것도 말이 안되는 것 같은데.
대댓글 1개
2022.07.12
1저자이면서 교신저자를 할 수도 있습니다. 박사 말년이나 포닥이 1저자 겸 공동 교신저자 가져가는 경우가 외국에선 꽤 흔해요. 학생이 교신저자 되는 경우도 드물지만 가능은 한데, 한국에선 그렇게 하는 경우 제가 아는 선에선 단 한 번도 못 봤어요. 아무래도 지식이나 논문 풀어가는 경험에서 교수와 차이가 크니까요. 한국교수가 볼 때 학생의 논문 기여도가 부족할 수도 있고, 혹여 기여가 엄청난 경우라도 '내가 학생이랑 동급으로 놓여야 하나' 라는 마인드 때문에 꺼려하는 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만큼 한국에선 거의 불가능한 영역이기에 위에 댓글 쓰신분이 공동 교신 가져가는게 좋은 일이라 말씀 하신 것 같아요.
2022.07.12
저도 일본 박사중 논문들 모두 1저자, 교신을 모두 저에게, 센세께서는 2저자로
아무래도 제가 컨셉잡고 다 풀어간 연구라 그런지 저도 의외긴 했습니다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10
2022.07.11
2022.07.11
대댓글 1개
2022.07.12
20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