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반도체 설계 대학원

2022.03.05

1

3671

반도체 설계 분야 대학원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국숭광라인 전자공(편입)으로 들어온거라 딱히 스펙은 없고, 학점은 상위 35프로 정도 됩니다.
자대 혹은 ssh 이상 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제 스펙으로 반도체 설계 분야 ssh 이상으로 갈 수 있을까요? 이제 컨택을 준비해야할 시기인데
요즘 설계분야는 자대생 위주만 뽑는다 라는 말을 들으니 생각보다 자신이 없네요.
컨택이 늦어지면 가능성이 더욱 적어지는건가요?
또 만약 자대 대학원을 간다고 하면, 연구실에
어떤 것을 보고 선택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신생 랩실을 왜 기피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개

2022.03.05

반도체 설계 분야는 회로 스케메틱 그린다음에 레이아웃 그려야 되는데 두개가 제대로 일치 안되면 에러 엄청 뜹니다. 에러 고쳐서 tape out 기간까지 내야되는데 안되면 밤새는건 기본입니다.
cadence virtuoso는 툴이 비싸서 거의 대학원 때 연구실 들어가서 만질 수 있습니다.
석사기간동안에 밤새는 거 자신 있으면 반도체 설계 분야 가면 됩니다.

신생 연구실 : 교수가 돈이 없음, 아직 성과가 없어서 기업에서 프로젝트도 잘 못따옴, 그래서 다른 정교수가 따온 프로젝트 하는거 같이 함, 월급 적음, 학생 지도해 본적이 없어서 학생 2년 인생 날릴 수 있음, 박사 까지 하자고 제안함 ***신생 연구실 나오면 오래 된 연구실에서 나온 것 보다 취직 잘 안됨*** 정교수나 부교수 연구실은 그래도 연구실 동문이나 회사에 아는 사람 있어서 회사에 취직하는데 훨씬 유리함.
학사로 나온게 훨씬 취직 잘 될수 있음 학사때는 학교빨 먹히지만 석사이후부턴 거의 연구실+세부 전공으로 취직 갈려짐. 어떤 회사는 학사 졸업 후에 쉽게 붙었어도 석사 졸업 후 못 들어 갈수도 있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