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대 항공우주분야 가능성 있을까요?

2022.02.25

16

2919

안녕하세요 I대 4학년 올라가는 학부생입니다.
전산유체, 초음속 공기역학, 열유체에 관심이 있어서 S대 항공 분야 김규홍 교수님 연구실 희망하고 있습니다.

4-1 마친 후 예상 학점
전체학점 : 4.06/4.5
전공학점 : 4.26/4.5
예상석차 : 8~9/74

텝스 : 1분기 중 취득 예정

학생회, 봉사활동 등 취업 준비용으로 준비했던 활동 3~4개 정도 있습니다.

연구실에서 주로 다룬다고 생각하는 과목 수강 완료 및 예정입니다.
압축성공기수강 완료(A+ 취득 후 복습 위해 4-1 청강 예정)
기초전산유체역학 수강 완료(A0 취득)
기계공학과 기계열전달(4-2 수강 예정)
대학원 과정 전산유체역학1 4-2 수강 예정

학부 연구생 1학기정도 진행 후에 5월쯤 컨택 메일 보낼 예정입니다.

혹시 비슷한 분야에 계신분들이나 S대 입시 잘 아시는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어느정도 가능성이 있어보이는지?
떨어질 확률이 높다면 1학기 동안 어떤 점을 보완하면 좋을지 등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교수님 개인적인 성향 같은것도 알려주실 분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2.02.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여기 점쟁이들만 있는게 아니니 컨택 해봐야
본인이 커피 마실만 한지 뜨거운지 식은는지 알것 아닌가베?

대댓글 1개

2022.02.25

무슨 말씀이신지 알겠습니다!
조금 더 추가 설명 드리겠습니다.

자대에서 학부연구생 진행할 때 어느정도 갈피가 잡혀있어야 남은 1년을 쓸모있게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서 질문 드렸습니다.
당장 연구실 선배님들도 조금 이른 컨택을 해볼것을 추천해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적어도 영어 성적을 맞춘 후에 컨택을 진행하려고 계획중이였는데, 선배들 조언 + 개강 후 계획을 세우던 중 조바심이 났던 것 같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2.02.25

학부 연구생 경험 / 논문 실적이 있을까요? 학부 라인은 어디신가요?

대댓글 1개

2022.02.25

힉부연구생은 겨울부터 시작해서 꾸준히 출근중입니다.
논문 실적은 없고, 현재 대학원 과정 수업(전산유체역학1) 강의자료 제공받아 독학중에 있습니다.
학부는 인하대 항공우주공학입니다!
체한 피보나치*

2022.02.25

존나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님 선배들 따라간다고 보면 되요. 님 선배들 진학 및 취업 자료 있죠? 그거 그대로 확률로 대입하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2.03.02

넵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2022.02.25

학부가 높지도 않고 학점이 좋지도 않고 논문 실적이 있는것도 아닌데 뭘 이렇게 번지르르하게 써놓은거임..ㅋㅋ

대댓글 1개

2022.03.02

죄송합니다 전공에 흥미를 늦게 발견한 경우라 학점이 좋지 못합니다 ㅜㅜ
어떤점을 어필해야할지 갈피가 잡히지 않아서 기억나는 활동을 다 기재해봤습니다...

2022.02.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I대가 뭔가했네.. 보통 인하대에서 저 학점이면 힘들긴하던데 일단 컨택을 해봐야 알수있음. 저는 자연계라 좀 다를수있어서ㅇㅇ 메일보낼때는 간결하게 보내고 수강한 과목 목록 저렇게 줄줄 나열하지 마세요. 텝스도 없는데 컨택메일 보내고나서 가능성 있어보이면 텝스부터 취득하세요.

대댓글 2개

2022.02.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생회, 봉사활동 아무 쓸모없으니까 적지마시고 보통 학교이름, 학점, 연구경험, 영어 이 4가지로 갈림

2022.03.02

네 감사합니다! 학점이 낮은거 알고있어서 더욱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수강과목을 나열한건 논문이나 기타 실적이 없어서 기억나는 활동, 과목 등을 기재해봤습니다
교수님께는 간결하게 메일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2022.02.28

지나가다 댓글 남깁니다.
우선, 이번 신입생으로 5명이나 들어왔기에 자리가 있는지 알아보시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 메일 보내봐야 알 수 있겠네요.
그리고 교수님 개인 성향 말씀드리자면 혼자서도 잘하는 학생 좋아하십니다. 사소한 것 하나하나 지도하시는 게 아니라, 큰 틀을 잡아주시는 식으로 지도하십니다. 자기주도적으로 논문 읽으면서 공부하고, 괜찮아보이는 주제 찾아서 연구하는 능력을 키우셔야 합니다. 이건 모든 연구자에게 해당되는 내용이라 도움이 될 지는 모르겠네요.

대댓글 2개

2022.02.28

비슷한 글 2주 전 쯤 읽었던 기억이 나는데 여기 질문하셔도 의미 있는 답변 얻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제 메일주소라도 남기고 싶은데 개인정보를 올리기는 좀 그래서요...ㅠ 연락할 수 있는 수단 알려주시면 자세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2022.03.02

https://open.kakao.com/o/sAAzOGpd
오픈채팅 링크 남겨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조언 가능하시다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2.07.04

김규홍 교수님 컨택하셨나요?

2022.12.30

컨택 성공 하셨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