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과고, 영재고 애들은 지스트, 유니스트랑 연세대랑 붙으면 상당수는 지스트, 유니스트 가는데요..
60 - 대학생 수 비교해보세요ㅋㅋㅋ 그 인력으로 포공 위상 유지하는게 개쩌는거임
19 - 석박하면서 월 50-60받는 연구실은 본적 없습니다. 인건비 떼먹는 다는 등이상한 괴수 소리 듣는 곳도 월 180은 나온다고 들었던걸로 기억합니다. 등록금은 월급 받아서 본인이 분할신청 하던지 일시불로 내면 되고요. 이정도 물어 볼 학교 선배도 없습니까?
19 - 이런 학생을 박사까지 데리고 다닌거 보면 교수도 진짜 극한 직업이네
9 -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9 - 팩트는 글 처럼 하는 사람들 거의 없고, 유능한 학생들 소수한테 짬질해서 글과 유사한 다운그레이드 방식으로 랩 굴리면서 나몰라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단지, '이게 되네?' 라는 운의 반복이 지속된거고 랩 관점에서는 이게 글쓴이가 말한 선순환 구조라고 볼 수 있음.
19 - ㄹㅇㅋㅋ 유능한 노예가 핵심임 본문은 너무 교수입장에서 포장된듯
16 - 포닥 없이 학생들만으로도 선순환 가능하긴 함.
9 - 설 카 연 포 고 순서
17 - 랩바랩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과기원이 전반적으로 낫죠. 종합대랑 과기원이랑 환경부터 차이가 큽니다.
12
전문연 중인데... 입대해야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여쭈어봅니다
2022.01.20
안녕하세요, 올해 3월에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전문연에 편입 예정인데,
자칫하면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나서 입대를 해야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이와 관련하여 글을 올립니다.
많은 선배님들도 여기에 계시기에 혹시나 고견을 들을 수 있을까하여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전문연 제도가 일부 바뀌어서 승인전직으로 대기업으로는 못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갈 수 있는 곳은 정출연, 중견, 중소, 벤처기업 연구소이거나 혹은 대학교 내 부설연구소(전문연 TO가 있는 곳)입니다.
문제는 박사학위 취득 후 3개월 이내에 위에 언급한 연구소로 취업을 못하면 입대를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재료공학 쪽 연구를 하는 중인데 생각보다 전문연 TO가 있는 연구소가 적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 정출연이든, 기업 연구소이든, 대학교 내 부설연구소이든 보통 전문연 TO가 1명이거나 많으면 2명이던데, 경쟁이 치열한지가 궁금합니다.
2. 당연히 현재 제 연구분야와 일치하는 곳에서 전문연을 하는 것이 맞지만, 전공이 다른 곳에서 전문연을 하시는 분이 계시는지 그게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3. 전문연을 하다가 취업이 안되어서, 입대를 하시는 케이스가 거의 없을 것 같은데.. 주변 분들 중에서 그런 분들이 있었는지가 궁금합니다.
취업이 안될 경우에 졸업유예를 해서 한학기 미루어 다음 학기에 연구소 취업 재도전도 생각을 해보았는데, 일반적으로 졸업유예 신청기간이 지난 후에 연구소 취업 최종 결과 발표여서 스케줄이 맞지 않아 졸업유예로는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 집니다.
혹시 직접 이런 비슷한 고민을 하신 적이 있으시거나, 주변에서 보신 적이 있으신 선배님들께서 조언을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자칫하면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나서 입대를 해야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이와 관련하여 글을 올립니다.
많은 선배님들도 여기에 계시기에 혹시나 고견을 들을 수 있을까하여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전문연 제도가 일부 바뀌어서 승인전직으로 대기업으로는 못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갈 수 있는 곳은 정출연, 중견, 중소, 벤처기업 연구소이거나 혹은 대학교 내 부설연구소(전문연 TO가 있는 곳)입니다.
문제는 박사학위 취득 후 3개월 이내에 위에 언급한 연구소로 취업을 못하면 입대를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재료공학 쪽 연구를 하는 중인데 생각보다 전문연 TO가 있는 연구소가 적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 정출연이든, 기업 연구소이든, 대학교 내 부설연구소이든 보통 전문연 TO가 1명이거나 많으면 2명이던데, 경쟁이 치열한지가 궁금합니다.
2. 당연히 현재 제 연구분야와 일치하는 곳에서 전문연을 하는 것이 맞지만, 전공이 다른 곳에서 전문연을 하시는 분이 계시는지 그게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3. 전문연을 하다가 취업이 안되어서, 입대를 하시는 케이스가 거의 없을 것 같은데.. 주변 분들 중에서 그런 분들이 있었는지가 궁금합니다.
취업이 안될 경우에 졸업유예를 해서 한학기 미루어 다음 학기에 연구소 취업 재도전도 생각을 해보았는데, 일반적으로 졸업유예 신청기간이 지난 후에 연구소 취업 최종 결과 발표여서 스케줄이 맞지 않아 졸업유예로는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 집니다.
혹시 직접 이런 비슷한 고민을 하신 적이 있으시거나, 주변에서 보신 적이 있으신 선배님들께서 조언을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0 8 7053 -
4 10 3300
직장인 고민좀 들어주시겠어요...? 김GPT 4 9 2757
p 전문연 vs k전문연 김GPT 3 6 4878-
0 3 5194
전문연 티오관련 김GPT 0 10 3563
전문연 네임드 중견기업도 꽤 있네요 김GPT 1 2 5781
전문연 복무 중인데 교수님 이직 김GPT 0 12 3294
전문연 하면 좋은게 뭔가요? 김GPT 3 4 5566-
146 49 54237 -
300 33 81920 -
115 36 9246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2.01.20
대댓글 1개
2022.01.20
대댓글 4개
2022.01.20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