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에 있는 저자 정보에 학교 공식 이메일이 아니라 지메일 등이 적혀 있으면

2022.01.03

8

4123

1.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지메일이던 야후 메일이던 뭐 어떻?

2. 아무리 그래도 논문에 적히는 정보인데
적어도 논문이 나간 학교(혹은 기관)의 공식 이메일을 써야하지 않겠음?

님들은 어느 쪽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01.03

3. 이런거 신경쓸 시간에 내 실험이나 열심히 한다.

2022.01.03

나중에 적을 옮기시면 매번 해당학교 메일 확인해야됨..

2022.01.03

큰 상관 없는데 이왕이면 공식메일

IF : 1

2022.01.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당연히 2번임

2022.01.03

포닥시절에 학교 공식메일 적으면 좀 현타옴. 내가 언제까지 여기 있을 줄 알고..

2022.01.03

1. 스팸메일이 오기때문에 굳이 공식메일 써야하나 싶음...
그냥 스팸메일 전용 계정이라 생각하고...

2022.01.03

논문 리뷰할 때 보면 기관 메일이 아니라 163.com 이런 포탈 메일 쓰는 경우가 종종 있던데 아주 높은 확률로 논문이 엉망입니다. 기관 메일이 아닌 경우를 보면 시작부터 이미 안좋은 선입관을 갖고 되네요.

우리 연구실 학생들은 꼭 학교 메일 쓰라고 시킵니다. 스팸메일은 스팸 필터가 대부분 걸러줘서 크게 불편하진 않아요.

대댓글 1개

2022.01.03

저도 이렇게 생각함.
gmail은... 조금 나은데 163.com, yahoo 이런 이메일 주소 쓰여있는건 지도교수가 전혀 안봤다는 뜻이고 내용도 엉망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