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대학 결정 순간을 앞두고 있는 고3입니다. 유니스트는 최초합이 떴고 한양대 전기공학부 예비 1번을 받아 일주일 전부터 고민했습니다. 참고로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가 아니라 전기생체공학부 소속의 전기공학전공입니다.
인프라나 네임벨류만을 보자면 한양대에 가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직 진로가 명확히 정해지지 않아 유니스트의 무학과 제도와 창업지원이 너무 탐나고 특히 전액장학 지원과 용돈을 함께 주는 시스템이 너무 아깝습니다 ㅠㅠ
한양대에 가면 학비와 집세가 너무 걱정입니다... ㅠㅠ 고민할 시간이 거의 끝나가는데 어떡해야 할지 전혀 모르겠어요 ㅠㅠ 도와주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1.12.22
본인이 나중에 커서 뭐하고싶을지 명확해야지 대학 및 학과선택에 도움이 될거 같네요
2021.12.22
지인 중에 유니스트 간 진짜 똘똘하고 대인관계 싹싹한 사람 있었는데 올해 2월에 졸업했는데 아직도 취직을 못 했대요
추측 소문으로는 너무 지방에서 생활했으면 수도권에서 기피하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는 것 같다고...
근데 이건 너무 어려운 고민인 듯
대학원 진학이면 유니스트 가라고 하겠는데
그냥 대학교는...
대댓글 5개
2021.12.22
너무 지방에서 생활했다고 수도권 기피하는경향이 있다는건 처음듣는 내용이네요.
유니에서 카이로 이번에 대학원 가는데요.
유니든 한양이든 잘 준비하면 어디든 취업됩니다. 취업하려다가, 대학원으로 바꿔봐서 알아요.
유니장점은 과를 자유롭게 정하고, 학비지원이 된다는 점이죠.
한양대 낮은 과도 아니고 하니 그냥 한양대 가시는것도 좋아요. 저도 20년 수도권 살다가, 울산 처음 내려가니.. 힘들긴 하더라구요.
대학원을 가더라도, 한양대라고 유니보다 덜하고 그런것 딱히 없는 것 같아요!
결국은 돈이냐, 아니면 서울생활이냐 이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부레벨은 비슷해서요. 카이스트 대학원 준비해보니, 유니나 한양이나 비슷하게 보는 것 같더라구요.
대학교 합격한거 축하드려요~
2021.12.22
음.. 그런 소리는 처음 들어봤습니다. 본인 탓 하기 싫어서 이상한 핑계 대는걸로밖에 안보이네요. 제 고등학교 동기들 중에 이제 졸업하는 친구들 많은데, 대부분 잘 됐습니다.
2021.12.22
과기원 밑대학 가도 공대는 거의 웬만큼 알아주는곳 취업하는데 그냥 도피성대학원아님?
2021.12.22
취업 잘 합니다. 유니만 특별히 그런건 아니고, 상위권 공대는 대체로 취업이 잘 되죠.
그런데 어느 학교를 가도 취업 잘 못하는 사람들 있어요. 취업 못했다는 지인은 그런 케이스 아닐까해요.
2021.12.23
유니스트 가서 지방에 오래 있어서 취업이 안된게 아니라 원래 취업이 어렵습니다.
한양대 가도 취업이 어려운건 마찬가지고요.
원래 취업이 어려운걸 이유를 유니스트로 돌리는거죠
2021.12.22
한양대 가세요. 장학금은 국가 이공계장학 있으니 알아보세요.
IF : 2
2021.12.22
마음이 한양대로 많이 기울어 있는듯 하니 한양대 가세요.
2021.12.22
요즘 퍼포먼스나 신규 임용 되시는 교수님, 그리고 이미 계시는 교수님들 실적 보면 유니스트가 압도적이긴 합니다. 제 동생이 이공계라면 무조건 유니스트 가라고 할겁니다.
대댓글 1개
2021.12.22
그럴 수도 있겠으나 그게 학부생과는 별 상관이 없다는게 문제지요 ㅋㅋ 학부생들한테는 연구력 좋은 교수보다 강의력 좋은 교수가 선호도가 높습니다. 대학원은 더 높은 급간으로 진학하면 문제 없고요.
2021.12.22
전기생체공학부는 성적 안좋으면 생체공학과 가야하는데 비전 정말 안좋은과라 전공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유니스트 가시는거 권합니다
대댓글 4개
2021.12.22
이미 대학에 지원할때부터 전기공학전공으로 지원했습니다! 한양대 전기공학과는 비전 괜찮은가요?
2021.12.22
전기는 안좋을 수가 없죠 ㅎㅎ
2021.12.23
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학생입니다. 전기생체공학부에서 성적때문에 생체갈 일이 거의 없을 정도로 경쟁률이 쎈 편은 아닙니다. 학점 3만 넘기면 간다고 들었습니다. 또한 올해부터는 전기생체공학부가 아닌 전기공학전공 생체공학전공을 분리해서 입시를 치른다고 들었습니다. 전기공학전공 학생인데, 사실 전기공학전공 자체로만은 최근 있기 있는 반도체나 인공지능 등 분야를 전자과 만큼 다루기는 힘듭니다. 다만 로보틱스, 차량 같은 분야는 제어 관련 내용을 수강할 수 있어서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입학을 하신다면 2학년 진학시 반드시 융합전자공학부를 부전공 하시길 바랄게요. 부전공 해봤자 추가로 들어야하는 수업은 12학점 정도 늘어나지만 졸업요건이 주전공은 더 간단해지기에 졸업하기 오히려 편하고 위에서 말한 반도체, 인공지능 등의 분야를 기존 전기과 수업과 함께 들을 수 있어서 시너지가 폭발합니다 !
유니스트도 좋은 학교라고 생각합니다. 과기원으로 대학원 진학하는 입장으로 과기원의 연구 인프라나 등록금지원 등은 타학교와 비교를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학부과정의 학생들이 그러한 연구 인프라를 느낄 수 있을지 안 가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학부생활은 종합대학에서 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무조건 대학원에 진학한다는 확신도 없고요 !
2021.12.23
+
학점 3 넘기는 것도 아니고 보통 1점대만 아니면 선택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생체공학과도 연구실적이 굉장히 좋다고 들었습니다.
2021.12.22
학부수준에서 전기는 본인이 맘만 먹으면 전자 커리큘럼과 별반 다르지 않게 짤수 있습니다. 둘이 커리큘럼 비교해보세요 유사한 과목들 상당히 많을 겁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종합대학 추천드립니다. 학비나 생활비가 정말 부담되는 수준이 아니라면 보통 한양대가 선호도가 더 높죠. 확실히 서울에서 많은 기회를 가지고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는건 시야의 차이가 큽니다. 물론 서울에서도 집에만 있으면 지방 가느니만 못할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기회는 훨씬 많이 주어져 있다는거죠.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더라도 한양대가 뒤쳐지는건 전혀 없어보입니다. 유니나 한양대나 자대 대학원가서 경쟁력 없는건 마찬가지고 결국 유학이나 skp를 가야하는데.. 이런 측면에서 보면 학부 넴벨로 한양대가 유니에 뒤쳐질 일이 없으니 말이죠.
그 외 취업, 전문직, 고시 등은 뭐 말할 것도 없지만요..
2021.12.22
저도 한양대 전기생체와 ist(유니포함) 중 고민하다 한양대로 갔습니다. 졸업했고요. 둘 다 좋은 학교지만 과거로 돌아가도 한양대 갈 것 같네요.
진로가 정해지지 않은 만큼 종합대를 가서 다양한 사람들과 다른 과 학생들을 만나보는 기회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복전, 부전, 전과등도 다른 학교에 비해 쉽고 창업지원도 잘 되어있습니다. 한양대 출신 ceo들이 많아서요.
+윗 댓글분이 잘못 알고 계십니다. 학점때문에 전기/생체가 갈린다는건 괴담이고 자신이 희망하는대로 갑니다. 1점대 정도로 던지면 모를까... 그리고 생체과 취업률, 교수님들 평균 논문 실적 모두 공과대 최상위 수준입니다. 물론 전기과도 당연히 좋구요.
2021.12.22
나도 한양대 / UNIST 둘다 붙어서 고민했는데, 한양대로 가는게 강추임 ㅋㅋㅋ 진짜 나중에 후회하지말고 ㅋㅋ
두 학교 모두 너가 취직이나 대학원 갈때 마이너스 없는 학교임. 단, 서울로 학교다니면 좋은점이
1. 캠퍼스 생활에서 문과애들이랑 티키타카 하는거 재밌음. 세상엔 다양한 사람이 있음을 미리 느껴봐. 교양도 많이 듣고
2. 서울 생활 재밌음. 이 문화자본도 무시못한다. UNIST 애들은 갈때는 제일 똑똑한놈들이였는데(나름?) 졸업할때쯤이면 촌놈이 되있음. 나중에 학교다니면서 돌아다닐만한 왕십리, 건대입구, 홍대, 신촌, 청담, 강남 등등 이 경험...진짜 무시못한다 ㅋㅋㅋ
카이스트면 모르겠는데, UNIST면 무조건 한양대가.
그리고 생체공되더라도 한양대 다중전공이 무제한이라 너 원하는 전공 다 할 수 있음 ㅋㅋ 전과도 20%로 늘어났고 ㅋㅋ
2021.12.23
위 댓글들 말처럼 문화자본이나 종합대의 이점을 누리시려면 한양대 가세요~ 단, 추후 대학원진학 후 연구원이나 교수 되는게 목적이면 유니스트가 훨 좋아보입니다. 저도 제 동생이라면 무조건 유니스트 가라고 할거 같네요.
2021.12.22
2021.12.22
대댓글 5개
2021.12.22
2021.12.22
2021.12.22
2021.12.22
2021.12.23
2021.12.22
2021.12.22
2021.12.22
대댓글 1개
2021.12.22
2021.12.22
대댓글 4개
2021.12.22
2021.12.22
2021.12.23
2021.12.23
2021.12.22
2021.12.22
2021.12.22
2021.12.23
2021.12.29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