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인공지능 레드오션?

2021.09.22

15

4842

SKP에서 기계과를 졸업하고 현재 AI 대학원을 생각하고있는데

다들 AI 인공지능에 현재

제 4차산업의 주역이자 많은 기업들이 추진을 하고있는데

사실 이윤대비 많은 효율이 나오지않는다고 생각을 하고있어요

통계학적으로 많은 생산량을 비교해면

4차산업의 시작도 아닌, 사실 3차산업의 끝자락도 아니기도 하구요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거품이 많이 끼어있다는 생각이 자꾸 드네요..

사실 아무도 감히 예상하지못하고 또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겠지만

현재 제가 생각하는 미래는

인공지능 AI, 첨단 기술 (나노공정), 친환경에너지라(수소 및 재생에너지)라고 생각하는데

여러분들 생각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IF : 1

2021.09.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계과 백그라운드면 어차피 못갈거라 신경 안써도 됨

대댓글 5개

2021.09.22

이미 세 연구실 다 컨택했답니다 ㅎㅋ..

2021.09.22

ㅋㅋㅋ 기계과에서 하는 수학이 ml 많이 쓰여서 기계과 출신들 많이함

2021.09.22

에휴 ㅋㅋ 아무리 까고싶으셔도 그렇지 안쪽팔리시나애초에 글을 써놧어야했네요 세 곳 모두 컨택했고 선택만 남았다고, 토론을 해보자는 취지였지 저리 베베꼬여서야

2021.09.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진짜 딱 수준보이는 방구석 키보드워리어 새끼다 니 수준은.. "점잖은 아르키메데스" 친구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디 지잡출신인지..

2021.09.23

여기 일단 시비걸고 보는애들 많으니 너무 신경 ㄴㄴ

2021.09.22

이번 K AI 합격생인데 저도 타전공자로 지원 과정에서 이런 부분에 고민이 많았고, 현재 진행형입니다.
(물론 붙여주신 것만 해도 학교 측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굽신)

ML/DL 분야의 전망은 장기적으로는 그래도 우상향일 거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에 닷컴버블이 있었지만 (실제로 한국도 이후 몇년간 컴공/전산학부 입결이 폭락했었죠) 다시 IT 분야가 주목을 받고 있듯, ML/DL도 사람들에게 과장된 측면이 분명히 있고 언젠가는 일시적인 부침을 겪을거라고 생각은 하나 결국은 길게 보았을 때 그 전망은 우상향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core ML 연구 자체에 대한 position은 한정적이거나 최악의 경우 줄어들 수도 있다고 보고요, core ML+본인 domain을 결합한 부분들에 대한 수요가 늘지 않을까요.

사실 저같은 경우는 미래는 알 수 없고 통제할 수도 없으니 한 번 사는 인생 하고 싶은 공부 하자는 심정으로 지원했습니다.

대댓글 2개

2021.09.22

소중한 의견 감사드려요. 저도 ML/DL분야가 원미래적인 시각으로는 우상향 귀결로 생각하고 그래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말씀을 아낄게요) 허나 제가 생각하는 걱정은 사실 산업에 대한 전망은 장미빛이나, 현재 너무나 많은 공급량 (많은 사람들이 뛰어들고 있다)라는게 문제인거 같습니다. 산업 혁명이 일어났을 때, 실제로 많은 산업에서 나오는 결과물들과 산업파이가 공급량보다 압도적으로 많았고, 기업들 역시 이윤이 되니까 지금까지 그 영향을 이어가고 있다고 생각을 해요. 하지만 인공지능 AI기술은 조금은 다른견해로 접근해야될만한 문제인게 회사에 사실 큰 돈이 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해요. 그러다 기업이 그 한계점을 깨달아 버리면 많은 공부하고 있던 학생들은 목표를 잃어버리게 되니까요. 이과 문과 따질것 없이 코딩에 힘쓰고 있는 지금 걱정이 많아지네요 ㅠㅠ

2021.09.22

네 저도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이 아직은 없다는 게 큰 문제인 것 같습니다 ㅠㅠ (CV랑 NLP, GCN같이 DL이 강세인 확실한 분야가 있으니 어떤 식으로든 형성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긴 하지만...)
이대로 계속 간다면 공급이 지나치게 많아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고 잘 하는 사람 vs. 그렇지 않은 사람에 따른 양극화도 심해질 거라고 생각해서, 지금의 광풍이 걱정스럽기는 해요. 코딩 교육도 내 분야에 접목해서 무언가를 더 잘 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배우는 사람이 느는 걸 긍정적으로 보긴 하지만, 확실히 무지성으로 파이썬 교육부터 시키는 현재 몇몇 교육기관들의 세태가 좋아보이지는 않네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당장 ML/DL 안 할거면 데이터 분석 측면에서는 R이 더 낫다는 입장이기도 하고...)

그래도 자기만의 확실한 강점/domain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본인만의 position을 잘 개척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공학계열 전공자도 아니다보니 기계과 쪽은 잘 모르지만, 꼭 researcher 포지션이 아니더라도 ML/DL을 접목할 수 있는 여지가 많지 않을지요 ㅎㅎ) 또 SKP 교수님들께 대학원 컨택될 정도의 능력자시니 글쓴이분은 잘 해 나가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1.09.22

AI 머신러닝… 솔직히 거품이지. 이걸 프로덕션에 사용할 생각을 한다는게 아직 많이 무리라고 본다. 엔지니어링이 많이 들어와서 예외처리를 많이하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 못 했는데 믿고 쓸 수 있나? 솔직히 나는 머신 러닝이나 AI 들어있는 자동차는 절대 안살 생각이다.

대댓글 2개

2021.09.22

지금 시중에 판매되는 차 2단계 자율주행차 아니에욤? 이미 어느정도 ai 추가된거 아닌감

2021.09.22

얼굴필터 있잖아요ㅋㅋㅋ

2021.09.23

거품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특정학과에 사람들이 몰리면 졸업할때 경쟁자가 많아지긴 하겠죠.. 지금 졸업한 사람들은 매리트가 크지만, 최근입학해서 5-7년뒤 박사학위자들이 동시에 배출될때는 조금 리스크는 있을것 같아요. 그래도 어느분야든 잘하는 사람은 살아남긴 하겠죠.

2021.09.23

왜 거품이라고 느껴지냐? 바로 현재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지는 AI나 머신러닝 관련 사업및 교육, 연구는 90%이상이 과정을 설명못하고 외국것만 그대로 베껴서 갖다쓰는 이른바 짝퉁이기 때문. 진짜 머신러닝, 딥러닝관련해서 제대로 성과를 내려면 통계적관점과 컴공적관점에서 데이터를 다룰 줄 알아야하는데 이게 절대 쉽지 않지 ㅋㅋ
모델링을 할줄 알고, 이걸 코딩으로 구현할줄까지 알아야 "진짜" 딥러닝을 할 수 있는거지. 거품끼어있다는 느낌은 아마 십중팔구 모델링부터 자체적으로 할 줄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라 그렇게 느껴진다고 생각함

2021.09.23

원글

SKP에서 기계과를 졸업하고 현재 AI 대학원을 생각하고있는데

다들 AI 인공지능에 현재

제 4차산업의 주역이자 많은 기업들이 추진을 하고있는데

사실 이윤대비 많은 효율이 나오지않는다고 생각을 하고있어요

통계학적으로 많은 생산량을 비교해면

4차산업의 시작도 아닌, 사실 3차산업의 끝자락도 아니기도 하구요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거품이 많이 끼어있다는 생각이 자꾸 드네요..

사실 아무도 감히 예상하지못하고 또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겠지만

현재 제가 생각하는 미래는

인공지능 AI, 첨단 기술 (나노공정), 친환경에너지라(수소 및 재생에너지)라고 생각하는데

여러분들 생각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