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기계과 대학원

2021.08.13

9

3418

요즘 기계과가 많이 죽었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전컴 제외하면 여전히 기계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대학원에도 적용될지 궁금합니다. 개인적생각으로는 기계과 대학원 분야를 보면 내연기관 등 몇 소수의 랩실분야를 제외하면 전망도 있고 잘나가는 것 같은데...
전자과 랩실을 갈지 기계과 랩실을 갈지 고민입니다. 학부 과 특성상 기계 전자를 모두 배워 선택을 슬슬 해야하는데
기계전망이 안좋다 이런 얘기를 들으니 전자로 마음이 기우네요.. 학부말고 대학원도 많이 죽었을까요..? 박사까지 할생각입니다
물론 어디가든 제가 잘하면 다 좋지만 그래도 전망도 고려하여 선택하고 싶어 글을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IF : 1

2021.08.13

기계도 전자도 너무 넓어요. 과보단 어떤 교수님이나 그 교수님의 주제를 고려해보시면 오히려 문제가 쉬울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2021.08.1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윗댓글이 맞는거 같음 기계도 많은 분야가 있어 잘 나가는 분야 랩이 많은것으로 나오고 전자도 그렇고

2021.08.13

전통적인 기계 많이 죽긴했음. 진짜 연구로는 더 나올게 없는 느낌.그러니 많은 기계과에서 인공지능 발 들이는거 같고 걍 연규실 분야 잘보고 가셈.

대댓글 1개

2021.08.14

기계과에서 인공지능에 발들이는사람은 생각보다 적음. NN기반 제어 조금만지작거리는쪽은 있어도, 강화학습이든 딥러닝이든 이런쪽하는곳은 slam이나 비전하는 랩인데, 여기는 원래부터 컴싸랑 기계랑 교집합 느낌이였고, 로봇랩중 극히 일부분(예를 들면 황보재민 교수님?) 정도만 함.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MEMS쪽같은것 해서 차라리 신소재랑 겹치는게 더 많을듯..

2021.08.14

전망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흥미가 중요해요 ㅎㅎ

2021.08.14

근데 아무리 전망이 좋아도 흥미가 없으면 의미가 없음 스트레스 엄청 받을수도

2021.08.14

다들 감사합니다! 분야를 좀 더 구체화해야겠군요..!
침착한 도스토예프스키*

2021.08.14

여기에서 사실 실한 정보는 얻기 힘듭니다. 기계과도 기계과 나름이에요. 현실적으로 전컴이 대세이긴 하나.. 기계는 그래도 항상 기계이고 앞으로도 무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딱 무난정도요. 제 말도 그러려니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1.08.15

요즘 기계연구실도 순수기계만 하는 연구실은 점점 적어지는 추세긴하다. 학부는 아직 그런경우가 적지만 대학원가면 바이오, 나노, 재료 응용 연구해서 짬뽕 전공됨. 그런 분야에서도 기계적 지식이 필요한건 사실이지만 너무 기계안에서도 융합연구만하니까 박사들 기초역학능력 저하가 심각할 정도라 느껴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