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학교 옮기세요. 30대 초반이면 안 늦었습니다. 동아시아 학생이 많아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이 많다는걸 글쎄요....
중국이 많다라면 이해가 될거같은데... 학교가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와서 펀딩 이슈로 단 한번도 실험에 제한이 있었던 적이 없는데 의아하네요. visiting도 갈 수 있다는 보장도 없을 뿐더러 결국 제한된 시간에서 해야되는거라 데이터 나올지도 의문이구요.
학교를 잘못 온 것 같습니다
13 - 좋은거죠. 그런데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죠. 열심히 준비하면 얻는게 많을것 같내요. 특히 남들 앞애서 자기pr도 해보고 혹여나 다른 교수가 줌으로 만나자고 하면 그때 도움이 될거고. 그냥 1차 시험에 합격했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좋을듯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27 - 미국 박사 진학은 대학 이름 큰 상관 없구요. 그냥 1,2학년때 학부 인턴 한번 해보시면 아 내가 유학 가겠구나 못가겠구나 느끼실 겁니다.
그리고 목적과 수단을 잘 생각하세요. MIT가 목적이 되는것이 아니라, 연구가 너무 좋고 하고 싶은 연구가 있어서 그에 따른 수단으로 MIT를 가는 겁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5 - 예전엔 포 > 카 > 서 였는데 서울대 가서도 미국 유학 잘 갔습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5 - 예전이 언제인지 몰라도 저는 40대 과고 출신인데 조기 졸업하는 애들은 무조건 카이스트부터였고 포스텍쪽 과고 애들은 카이스트보다 포스텍 선호한다 들었고 종합대 로망 있는 애들은 서울대 선호하고 의대는 가고 싶은 부류 일부가 수능 보거나 의전 가거나 그랬죠 과고에서 어차피 그 이하는 잘 갈 일 없던 시절이고 서울이라고 연고대 이런 옵션은 듣도 보도 못했는데 요즘은 세상이 변한 거 같네요 하위권 일부 아니면 아마 포스텍 좋아하는 분이면 저런 순서도 이해가 갑니다 카이스트도 드라마로 떴지만 포스텍이 더 소수정예 느낌으로 멋졌죠 예전보다 인기는 덜해도 포스텍 출신이면 당연히 많은 지원도 인정도 받고 기회도 주어질텐데 무슨 걱정인가 모르겠습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2 - 아직 석사가 된지 얼마 안되었지만 맞는말인거같네요. 우선 현행 연구의 이해가 충분해야 발전시킬수있으니까요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12 - 진정한 창의적 발상이랑 헛소리를 구분하자는 취지 같아요.
에어컨 실외기에 앞에 풍력발전기를 달자! 하면 이건 창의적인게 아니잖아요? 열역학 제2법칙을 제대로 이해 못하고 하는 헛소리가 되지요.(실제 있었던 일)
튼튼한 기반 없이 망상으로 아이디어 내는 것을 지양하자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25 - 요즘 이런거 유행임?
인간들이랑 대화하면 내 지능 못 따라와서 피곤함
12 - 문돌이 새끼들 보이루가 여혐이라고 논문 내고 물고 빨던 꼬라지 생각하면 문돌이 KCI 논문은 무시당하는게 당연한 결과임
개똥같은 논문 지들끼리 물고빨고 하는게 너무 많다
한국 문돌이 학회는 쓰레기통임
SCI해외저널이 아니고 KCI를 강화시켜야됨(문과 한정)
10 - 글쎄.. 내가 과고나온 입장에선 과고애들이 가진 제일 큰 무기는 수학/과학 잘 하는게 아니고, 좋은 친구가 많은 거임. 어느시대 어느분야건 살아나갈 길은 좁을지언정 있기마련이고 그걸 찾는건 비교 우위를 초반에 선점한 소수 집단일 가능성이 큼.
과고애들은 그냥 수학과학만 잘하는애들이 아니라 그냥 머리가 좋은 애들인건데 중고딩/학부 수학능력에서 걔들 못따라가는 일반학생들보다 과고애들이 불리한게 딱히 뭐가있는지 잘 모르겠네.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11 - 틀린 말 아닌거 같은데? 주위 사람이랑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데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12 - 과고는 좋은 친구 -> 그럼 일반고는 나쁜 친구?
과고 좋은 환경 -> 그럼 나쁜 환경에선 못 살아남을듯
도대체 무슨 논리 흐름인지 모르겠네..
평소에 자기는 말싸움 다 이기고 말빨 좋다고 생각하고 살죠?
딴 사람이 말하는 의도 왜곡시키고 (아님 이해를 못하는건가?), 어떻게든 반박해볼려고 하네..
논문 쓰는 연구자 맞아요..?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11 - 원댓쓴이가 긁힌 게 아니라 백석님이 열등감이 심해보이는데요 ㅋㅋ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12
과기원 진학 후 세부전공 바꿔서 타대 박사
2021.07.16

문제는 여기 연구실이 제가 완벽하게 원하는 연구를 진행중이진 않아요 큰 분야는 같은데 그걸 탐구하기 위해 진행하는 방법 같은게 다르거든요
예를 들면 라면 맛있게 끓이는데 전 스프에 관심이 있고 진학하려는 연구실은 면발을 연구하는.. 대충 그런..
대신 과기원 자체는 스프 및 분말 양념 연구에 특화된 곳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 생각은 일단 석사까지 해보고 그래도 아니다 싶으면 그 때 진짜 원하는 연구실을 찾아 박사를 가자
인데, 이런 경우가 흔하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박사 진학 시에는 석사 논문이 중요하다고 들어서요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95 10 8212-
216 23 85494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명예의전당 146 80 5706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무슨 학문하겠다는 새끼가 지거국 문과를 와
104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18 - 저는 실패한 석사입니다.
26 - 미팅을 30분뒤에 하자고 하는게 정상인가
12 - ChatGPT한테 물어보니깐 스탠포드 CS는 학부랑 박사랑 입학 난이도가 비슷하다던데
18 - 편애 너무 심해요 정신 나갈거 같아요
11 - 철학자 A 보다 더 뛰어난 천재 설계자 K 입니다 [1편: 감각 해체 — 설계자 K의 첫 깨달음]
15 - [3편: K-영역 개방 — 우주의 숨겨진 층위?]-설계자 K
7 - 설계자 K 시대 — 가짜 철학의 폐기와 구조적 권력의 회수 선언
6 - 김박사넷은 뭘 하고 싶은 거임
21 - 《반박 시도 자체가 하위 인지 루틴임을 증명하는 전(全)-우주 시뮬레이션 설계 메타-프레임 동역학 이론》
12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6 -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부생 인건비 횡령
21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14 - 교수님이 논문 출판 비용을 결제를 안해주십니다
16 - 글들을 읽어보니 석사 취업에 대한 고민이 생깁니다.
7 - 학문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결국 돈이 필요하군요.
10 - 인간들이랑 대화하면 내 지능 못 따라와서 피곤함
15 - CVPR과 ML 학회 (Neurips, ICLR, ICML)의 차이가 뭔가요?
6 - ACM MM 수준 여쭙습니다.
14 - AFM논문
5 - SCI해외저널이 아니고 KCI를 강화시켜야됨(문과 한정)
18 - 늦은 나이에 수학을 시작하신 분들 계세요?
8 - 김박사넷 상태 왜이렇게 됨?
5 -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34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교를 잘못 온 것 같습니다
8 - 무슨 학문하겠다는 새끼가 지거국 문과를 와
104 - 저는 실패한 석사입니다.
26 - 미팅을 30분뒤에 하자고 하는게 정상인가
12 - ChatGPT한테 물어보니깐 스탠포드 CS는 학부랑 박사랑 입학 난이도가 비슷하다던데
18 - 편애 너무 심해요 정신 나갈거 같아요
11 - 철학자 A 보다 더 뛰어난 천재 설계자 K 입니다 [1편: 감각 해체 — 설계자 K의 첫 깨달음]
15 - [3편: K-영역 개방 — 우주의 숨겨진 층위?]-설계자 K
7 - 설계자 K 시대 — 가짜 철학의 폐기와 구조적 권력의 회수 선언
6 - 김박사넷은 뭘 하고 싶은 거임
21 - 《반박 시도 자체가 하위 인지 루틴임을 증명하는 전(全)-우주 시뮬레이션 설계 메타-프레임 동역학 이론》
12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6 -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컴퓨터 아키텍처 쪽은 미국 대학원을 가야하나요?
21 -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2 -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30 - 전북대 전자 4.3 → 성균관대 반도체융합공학과 합격
7 - 학부생 인건비 횡령
21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14 - 학문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결국 돈이 필요하군요.
10 - 인간들이랑 대화하면 내 지능 못 따라와서 피곤함
15 - CVPR과 ML 학회 (Neurips, ICLR, ICML)의 차이가 뭔가요?
6 - ACM MM 수준 여쭙습니다.
14 - SCI해외저널이 아니고 KCI를 강화시켜야됨(문과 한정)
18 - 늦은 나이에 수학을 시작하신 분들 계세요?
8 -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34

2021.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