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k 화학과에 입학해 이제 막 1학기를 끝낸 새내기입니다
저는 배터리쪽으로 진로를 설정하고 싶고, 화학과가 자연대다보니 대학원을 가야할 것 같아서 고민이 됩니다
대학원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몰라 질문드립니다 김박사넷을 자주 보다보니 spk 대학원이 정말 중요한 것 같은데, 제가 spk 배터리 랩에 들어가기 위해서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까요? 1학년부터 차근차근 준비해야할 것이나 도움될만한 내용 좀 조언해주실 수 있나요..
그리고 배터리 관련 공부하기 위해 전전이나 신소재쪽으로 복전이나 이중전공할 생각도 있는데, 괜찮은 선택일까요?
경험 많으신 선배님들 도와주세요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06.23
아직 1학년이면 시야 좁히지말고 두루두루 학부 공부만 열심히 하세요. 어차피 배터리도 전기화학만 필요한게 아니라 양극재음극재전해질 유기소재 무기소재 다들어가고 저것들 거동볼려면 분석에 계산도 해야돠고 화학과의 그 어떤 전공으로도 배터리 다 할수있습니다. 학부도 yk면 취직엔 자대도 아무문제 없고 학계가 목표고 장기적으로 볼거면 차라리 유학을 준비하세요.
특별한 이유 없는한 이중전공은 뻘짓입니다.
대댓글 2개
2021.06.23
헉 어떤 전공으로도 배터리를 다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네요 .. 그럼 공부하면서 가장 흥미 있는 과목을 찾아서 그 분야와 관련 있는 배터리랩을 찾으면 되는 건가요?? 제가 제대로 이해한건지 ..
2021.06.23
소위 배터리랩이라는데 갈필요도 없습니다. 내가 이런이런 공부했는데 배터리에 어떻게 써먹을 가능성이 있다 정도만 어필(물론.. 이런 어필이란것도 석사면 석사 박사면ㅊ박사수준으로 해야...)해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지금 학부1학년이면 석사까지 짧아야 5,6년인데 그땐 또 뭐가 유행일지 아무도 모릅니다. 기본에 충실해야 그때 유행하는거에 올라탈 능력이 생깁니다.
허기진 임마누엘 칸트*
2021.06.23
공대 복전 필요없어요.
2021.06.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향후 20~30년은 배터리가 먹거리 사업이 될걸로 예상 됩니다. 전고체 배터리 개발기간만 최소 10년은 걸려요 . 상용화되고 그기서 업그레이드 시키고 하면 장기간 먹거리 사업으로 자리 잡을것 같음
2021.06.23
1) 학점
2) 베터리말고 다른 것도 관심가지는 넓은 시야
3) 내가 대학원에 진짜 fit한 인재인지, 다른길은 없는지 폭넓은 진로 모색
2021.06.23
벹터리가 요즘 핫하긴 핫 한가보네.
사람 앞일 어찌될지 모르니 그냥 전공 두루두루 다 열심히 공부 할수 밖에요.
2021.06.23
대댓글 2개
2021.06.23
2021.06.23
2021.06.23
2021.06.23
2021.06.23
202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