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졸은 가성비가 어쩌고~ 박사 따는게 가성비가 어쩌고~ 이딴 소리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헬조선식 노예근성에 빠져서, 평생 남 시선 ㅈㄴ 의식하면서 살아왔다는걸 반증하는 사람들 아니냐?
할 수 있는 노력 다 때려부어도 모자랄판에, 어떻게든 인생 날로 먹을려고 가성비 운운하는게 김박사넷 현실이란게 가슴이 웅장해진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1개
2021.02.04
워딩이 좀 별로지만 전체적으로 맞는 말
제발 남 눈치좀 안보고 자기 하고싶은거 했으면 좋겠다
Stephen Jay Gould*
2021.02.04
한번사는인생인데 최대한 빡세게 잘살아야지 ㅋㅋㅋ 대충살아도 2회차 없다
Theophrastus*
2021.02.04
오히려 한 번 사니까 가성비를 따지는 건 아닐까?
2021.02.04
ㄹㅇ ㅋㅋ 어차피 한번 사는건데 뭐 노력이 닳아서 하늘나라가서도 쓸라고 아껴쓰는거냐? 20대면 그냥 좀 열정적으로 살아도되잖아
2021.02.04
나는 남 눈치 안보니까 남들이 자기 눈치 안본다고 상처받아하는 걸 봄. 다른 사람 눈치 주면서 자기 자존감 형성하는 건가 하고 어이 좀 없어서 그냥 그 뒤부터 다 무시하고 삼. 지향하는 자아상이 하고 싶은 거 하며 사는 것보다 윗동네 최고권위자쪽에 가까운듯. 무시하면서 살면 편함.
2021.02.04
한번뿐인 인생 신에서 너한테만 주신 선물을 포장지 딱 뜯어서 재밌게 사는게 제일 좋긴하지...
Hugo Theorell*
2021.02.04
눈치안보고 뭐 그리 항상 당당하냐고 뒷담하는게 한국이더라
2021.02.04
인생에서 가성비, 효율 이런거 따지는 애들 치고 잘되는 것 못봄.
왜냐고? 그게 적게 일하고, 적게 노력하고 결과는 좋게 받고 싶은 마인드거든.
근데 인생이 그렇지 않음.
경쟁사회에서는 무조건 남보다 많이 일하고 많이 배워야됨.
2021.02.05
본인이 인생 사는데 있어 가성비를 중요시 하든 명예를 중요시 하든 상관없다. 이런류의 이야기들 관찰해보면 결국다 남한테 자기 인생가치관 억지로 주입하려는데 ‘왜 내 얘기에 공감안해주냐’ 이거거든.
서로 다른 가치관 갖고 있는 사람보면 그냥 저런 인생도 있구나 하고 지나가라. 괜히 이상한 곳에 힘빼지말고
2021.02.05
맞음ㅋㅋ헬조선 마인드임 왜 너는 대학원을가서 돈을 안버냐~~ 가성비 떨어지는거 모르냐~~ 대학원갔더만 취업안되면 어쩌려고 그러냐~ 대한민국에서 인생의 잣대가 돈이라서 그럼ㅋㅋ사실 돈이 크긴함^^
Stephen Jay Gould*
2021.02.05
본인이 다 씹어먹는 천재가 아니면 당연히 능력껏 가성비 최대로 뽑아서 사는게 정상임
Stephen Jay Gould*
2021.02.05
그리고 지금 집값 미친듯이 오르는데 낙오되면 끝이란다
2021.02.05
한국만 그러는거 아니니까 괜히 헬조선 마인드 그럴 필요는 없음. 다 무시하고 자기 가치관대로 잘 살길
ㅋㅋㅋㅋㅋ 가성비따지는 사람치고 잘되는 사람 못봤다고??? 가성비가 다른말로는 효율극대화임ㅋㅋㅋㅋㅋ
2021.02.05
가성비 밑바닥인 박사님들 화나셨네 ㅠ
2021.02.05
가성비 극한으로 따질거면 고졸 생산직 가야지 뭣하러 대학을 감 ㅋㅋ
Karl Weierstrass*
2021.02.05
고졸이면 아무리 잘나가도 내가 대졸이나 석박으로 이렇게 열심히했다면 임원도 갈텐데.이런생각듦.
2021.02.05
ㄴ대졸도 마찬가지임.
Karl Weierstrass*
2021.02.05
ㄴ 대졸은 그나마 ㄱㅊ함. 이미 대학원 진학률이 바닥이라 학부가 spkky면 안꿇림.
Karl Weierstrass*
2021.02.05
학부출신 ceo 임원들도 꽤있고.. 고졸출신은 ㄹㅇ 안보임. 있다하더라도 야간대학 다다녔지
2021.02.05
ㄴㄴ 마찬가지임. 일단 학사면 연구직이라는 길 자체가 거의 막히고 기업에서나 할수있는데 박사들한테 치이고 교수같은 직업도 못함. 괜히 직장 다니다가 대학원 가는 사람들 있는게 아님.
2021.02.05
고졸로 취직하면 30살이면 경제적 자유 달성 가능. 가성비 면에절대 비교 안됨.
Charaka*
2021.02.05
ㅋㅋㅋ 어린애들 많네.
결국 자본주의에서 인생은 누가 더 경제적 자유를 빨리 달성하냐에 따라서 정해진다.
대댓글 2개
2024.01.20
빨리하려다가 하락장에 자본의 노예되는 케이스가 너무 많이 보이네 ^^
2024.01.20
레버리지는 인생 망하는 지름길이에요
Karl Weierstrass*
2021.02.05
Hyman Minsky 연구직이 막히는거지 임원, CEO가 막히냐??
2021.02.05
댓글 수준 실화냐? 김박사넷 수준에 가슴이 웅장해진다...
인생의 목표가 돈버는게 전부인 천민 자본주의의 삶을 선망하는 사람들이 줄줄이 댓글 다는거 실화냐?
이런 사람들이 자기 적당한 대학나와서, 분수 넘치는 직장 들어갔다고 가성비 타령할거보니 헬조선의 미래가 밝다...
계층 이동 사다리를 지들이 걷어차는 헬조선 노예들의 식견에 무릎을 탁치고 간다
2021.02.05
가성비충들이 인생에서 가장 젊고 활발한시기에 왜 연애들 안하시나?
Stephen Jay Gould*
2021.02.05
독립도 못한 기생충들이 인생의 목표는 돈이 아니다 떠드는거보면 개그 ㅋㅋㅋ
2021.02.05
Karl Weierstrass 박사 임원 확률하고 학사 임원 확률은 몇배 이상 차이나지. 그리고 임원 ceo 해서 뭐함? 계약직 파리목숨밖에 더됨? 학사로 임원 달 나이면 고졸 생산직은 자본수익만으로 임원보다 소득 많음 ㅇㅇ 가성비 그렇게 따질거면 고졸 취업 창업해야지. 당신이 언급한 빌게이츠나 스티브답스도 결국 고졸 아닌가?
명예 자기만족 이런거의 중요성은 나이가 들어봐야 점점 깨닫는거임. 나중에 가서 후회해봤자 어느정도 이상 나이가 들면 못 돌아감.
2021.02.04
2021.02.04
2021.02.04
2021.02.04
2021.02.04
2021.02.04
2021.02.04
2021.02.04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대댓글 2개
2024.01.20
2024.01.20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