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저는 환경분야에서 공부중인 석사 1년차입니다.
환경분야에서 오염취약성평가로 특정한 환경 인자를 넣어서 수취가 높으면 오염에 취약하다
따라서, 오염이 됬을 확률이 높다 (땅을 파보지 않아도) 라고 평가하는 모델들이 기존에 많았습니다만,
최근에 들어서 ML/DL를 이용한 논문들이 많이 퍼블리싱되고있습니다.
저도 계속 공부중이지만, 김박사넷에 올라온 선생님들의 글을 읽어보면 이런 기술에대한 갑론을박들이 많더라구요. 저도 공부하면서 이런기술이 인공지능이라고 불려야하나? 아니면 예측모델에대한 또다른 방법론적인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그러면서 더더욱 흥미가 생기구요.
ML/DL 전공자가 아니라서 마구잡이 식으로 공부중이긴합니다. 특히, 이 분야에서는(정확하게 말하면 제가 속해있는분야) 선형대수, 확률, 기계학습, 딥러닝...등 전혀 관련이 없는 분야입니다. 또, 제가 속한 연구실은 Analytical method를 사용해서 Numerical method에 관한 내용도 이제서야 접하게 됬구요.
연구비로 책을 살 기회가 많이생겨서 기계학습과 관련된 책을 많이 샀습니다. 열심히 읽어보고는 있는데, 주변에서 이끌어줄 사람이 없다보니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그리고 또 어느정도 선까지 공부해야 될지를 모르겠습니다. 분야가 워낙 배워야 될게 많다고 (오로지 저의생각입니다.) 생각되니 어느정도 선과 나의 전공분야를 접목시켜야 될지도 감이 안오더라구요.
그래서 선생님들에게 여쭈어보고 혹시 이러한 상황을 겪고 있는 선생님들은 어떤식으로 공부했는지 여쭈어 보고자합니다.
날씨 추운데 다들 감기조심하시고 좋은 연구 많이하셔서 논문 많이 내길 빕니다.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Thomas Mann*
2021.01.08
머신러닝(svm 등), 딥러닝은 기초가 회귀입니다 ㅎㅎ 단순히 오염과 비오염 분류 작업은 .. 가져다가 쓰시면 될듯 구냥 겉핡기 식으로 딥러닝까지말고 기존 머신러닝 알고리즘 작동방법 정도만 아시면 될거같네용 딥러닝은 비정형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더 많이 쓰이기 때문에..
2021.01.08
@Thomas Mann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회귀가 기초라는 말씀이 80% 정도 와닿기는한데 혹시 어떤 자료를 보면 제가 이해가 100%가 될까요..?
그리고 기존 머신러닝 알고리즘 작동방법을 알라고 말씀하신게 코드로 되니 안되니가 아니라 수학적으로 원리를 이해하라는 말씀이시죠..?
Thomas Mann*
2021.01.08
https://youtu.be/aircAruvnKk
이거 시리즈 보시면 될겁니다 ㅎㅎ
네! 코드로는 구현해볼필요도없습니다. 어처피 가져다 쓰면 되기때문에 글쓴이님 전공에선.. 수학적으로 감만 살짝 잡으시면 어떨때 무슨 알고리즘 써야할지 아실꺼에용
2021.01.08
2021.01.08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