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생의 유일한 자랑거리가 출신 학교인 사람들이

2019.07.23

16

5154

그렇게 대학 순위에 집착하더라


이런곳에서 키보드로 대학 줄세우기하면 현실이 달라지나?


그럴시간에 본인 능력이나 개발하는게 출신 학교에 훨씬 도움되는일 아닌가?


꼭 어쭙잖은 사람들이 대학 줄세우면서 자존감 찾더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James Franck*

2019.07.23

게임 해보면 초반빌드의 중요성을 느낄겁니다
Robert Louis Stevenson*

2019.07.23

ㄴ그건 맞는데 이 글 밑밑 게시물 보면 다른 대학을 자기 대학보다 깎아내려서 "아 내가 이 대학보다는 좋은 데 다니지 ㅋㅋ"같은 생각으로 줄세우며 안도감 느끼는 사람들이 있어요. 자기 실력보다 자기 대학 네임밸류에만 집착하면 문제가 있는 거죠ㅎ
Edmund Burke*

2019.07.23

근데 학생들 수준은 윗물이 맑은건 전세계 공통 ㅇㅇ

2019.07.23

윗물이나 아랫물이나 어차피 물일 뿐. 어떤 용액이 될지는 본인이 만들어가는 것. 애초에 해외 저널에 논문을 투고해야 하는 시점부터 경쟁자는 한국이 아니라 전 세계이며 싸움은 학문과 하는 것이자 자신과 하는 것.

대학원이 정해진 시점에서는 어디에도 서울이니 spk니 하며 신경쓸 게 없음. 학부생이라면 이것저것 재봐야겠지만 들어온 시점에 왈가왈부하는 건 연구에 전혀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대댓글 1개

순수한 존 스튜어트 밀*

2024.04.08

과학자 다운 글이네요ㅎㅎ

2019.07.23

spk니 sp이니 참 ㅋㅋ 한심하죠

2019.07.23

국내대학 몇곳 빼고는 거의다 도토리 키재기라 글쓴이 말에 공감함.
James Franck*

2019.07.23

해외저널에 논문투고 개인 혼자 힘으로 하는거 아닙니다

2019.07.23

네 그리고 교수는 교수입니다. spk교수만 해외 저널 내봤겠습니까. 학생이 차이가 나도 교수의 차이는 학생보다는 작습니다. 그리고 학부생 아니고 이미 들어온 이상 그 spk를 가려고 시간 보내는 것보다 지금 위치에서 교수의 지도 아래에서 최선을 다하는 게 훨씬 낫지, 뭐 포스텍이 서울대보다 밀린다 포스텍 붙었지만 좀 더 시간 쏟아서 서울대 가자 이런 건 하등 도움도 안 되고 별 논쟁 거리도 아닙니다.

2019.07.23

유일한 자랑거리가 아니고, 우리나라에서는 부정할 수 없는 기본 바탕입니다. 하지만 대학원 진학해서 실력으로 많은 것을 커버할 수 있죠. 실력이 같다면 학벌에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지지 않을까요. 기본기가 좋은 사람들은 결국 티가 나게 되어 있죠. 확률로 따져 봐도 상위권 대학 출신들이 좋은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사실 아닐까요?

이런 게시글은 갈등만 조장할 뿐입니다. 좀 더 유익한 게시글이였으면 좋았을 것을...

2019.07.23

ㄴ ?? 본인 실력이 없으니 자랑할게 기본 바탕뿐인거 아닌가? 그 마저도 남들이 대신 쌓아 올려준 학벌

2019.07.23

요번에 1저자로 어디어디에 냈다. 어디어디 저널이 더 인정받는다더라 이런 거 냈다 자랑하는 경우가 거의 안 보이는데 실력이 같다면 학교 비교라는 것은 결국 도찐개찐이니 학교로 쇼부보겠다는 건가요. 상위로 갈수록 실력이 절대 같을 수는 없어요. 1저자가 같으면 2저자나 공동연구를 더 많이했을 수도 있고 특허가 더 있을 수가 있고 저널이나 국제 학술대회에서 상을 받았다거나 이게 다 같아도 h index나 퍼블리쉬한 저널도 다 다를 거고요. 어떤 분야를 하는지도 미묘하게 갈리고 그 갈린게 인공지능처럼 더 유행있는 것과 아닌 것의 차이일 수도 있고요. 학벌 같은 사람은 수백수십만이지만 실력 같은 사람은 저 밑에 고만고만 아닌 이상 같을 수가 없어요. 상위 대학 출신이 좋은 포지션에 있다고 내가 좋은 포지션이 된다는 건 인과관계가 역전된 거죠. 뛰어난 학생이 spk에서 실적을 잘 내는 것인지 spk가 학생의 실적을 잘 내게 해주는 것인지 둘다 영향이 있겠지만 석사 이상 학문에 있어서는 학교가 푸쉬한다고 역량이 원래 본인이 가지고 있는 포텐셜을 깨부수게 만들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Alphonse de Lamartine*

2019.07.24

ㅠㅠ
Margaret Mead*

2019.07.28

공감가는 말씀입니다.
Margaret Mead*

2019.07.29

옳은 말씀입니다.
순수한 존 스튜어트 밀*

2024.04.08

어디에서든 최선을 다 하면 그것대로 의미가 있더이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