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현직 교수가 전하는 요새 임용 트렌드

2019.08.17

21

33589

엄청 길게 썼다가 다 날아가서 그냥 요점만 씁니다 ㅠ  어디까지나 주관적 경험이며 절대적 기준은 아닙니다. 작성자는 30대 중반 지거국 공대 n년차 조교수. 학생 시절에 김박사넷 뺸질나게 들락거리다가 오랜만에 생각나서 와본 김에 정보 공유해 봅니다.


국박/해박

요샌 해박 위상 많이 내려왔음. 임용사례보면 4:6에서 5:5까지도 되는 느낌.


포닥

심사위원에 따라 해외경험 매우 중시하는 분들도 있어서 어지간하면 필요함. 특히 국박이면 거의 필수.


학벌

솔직히 봄. 중요도는 학부>대학원 (대학원 학벌은 대부분 학부 이상이니까). 대체로 유학파랑 skp를 동급으로 보고 자대 학부생 고려함. 학부 학벌이 자대 이하면 부정적.


전공적합성

매우 중요. 왜냐면 은퇴 등으로 빈 강의를 할 사람이 필요함. 사실 대부분의 임용공고는 빈 강의를 맡을 사람이 필요해서 그쪽 전공으로 내는 경우가 많음.

ㄴ 특이 사례로 전공적합성이 너무 잘 맞아서 국박 졸업하자마자 바로 임용된 경우 봄. 포닥 없이!


나이

학과by학과인데 중요하게 보는 곳에선 꽤 큰 요인. 대체로 어린 건 큰 문제 안 되나 나이 많으면 문제됨. 학과 막내교수 나이가 기준이 되는 학과도 있고, 우리 과의 경우 40대 초반까지 아슬아슬.


실적

인문사회계는 모르겠는데 이공계는 논문실적 뛰어나면 위에 언급한 요인들 대부분 상쇄 가능. 논문의 양과 질 모두 중요.

ㄴ다만 전공적합성이 쌩뚱맞으면 논문괴물도 임용문 뚫기 힘듬. 이유는 위에 쓴대로.


조언

재작년부터 베이비붐 세대 교수님들 은퇴 가속화 중. 우리 과만 해도 앞으로 n년 지나면 학과 교수님의 절반이 사라져서 매년 신임 뽑는 중임. 교수 노리는 후배님들은 앞으로 n년이 T/O 왕창 풀리는 기회의 창이니 논문 열심히 쓰시는 것을 추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John Galsworthy*

2019.08.17

공감이 가는 좋은 글이네요.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Eugenio Montale*

2019.08.17

해박이 내려왔다기보가는 국박 + 해외포닥 하면 동급으로 인정해주는 분위기임. 해외랩은 저널 잘 안 쓰는 경우가 많아 해박이면 논문 뻥튀기한 국박대비 양적평가에서 불리할 확률 높음 결과적으로 국박 비중이 많이 높아진편

그런데 최상위학교는 대표논문들만 보기에 여전히 해박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전공적합도도 최상위학교는 신경 별로 안씀 학부전공과 다른전공에 임용된사람들 많음

나이 어린것도 문제될 수 있음

2019.08.17

ㄴ네. 저도 그부분 동의합니다. 보충설명 감사해요.

2019.08.17

제가 임용 기웃거릴 때는 7년 뒤라 대학인구감소 크리먹고 하기 더 힘들거 같네요.

2019.08.17

감사합니다~ 포닥 생각하는 중이라 이래저래 고민이 많네요ㅠㅠ 엄청 길게 쓰신것도 궁금하네요 나중에 시간나시면 한번 써주시길 부탁드릴게요!!

IF : 2

2019.08.17

귀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글과 관련하여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저는 학부가 지거국이고 mit, 스탠포드 중 한곳에서 박사중입니다. 이 경우에 인서울 상위권 임용시 학부 학벌로 인한 불이익이 있을까요?

2019.08.17

Skp 이공계 현직입니다. 몇년간 심사에 들어가보면 무조건 실적입니다. 99프로 이상 차지.

2019.08.17

설카포 국박 중에는 어디 박사가 임용이 제일 잘 되는 펀인가요?

2019.08.17

결과론적인 통계로 보았을때요ㅎㅎ

2019.08.17

이정도면 거의 우문아닌가? 그렇게 실적이 중요하다고 언급이되는데.... 그리고 세부전공도 중요하고.. 굳이 한국식으로 설카포에서 순위를 정해야할까??

2019.08.18

설카포는 동급이라고 보던데. 실적이나 더 따야할듯.

2019.08.18

좋은 글 감사합니다!!!
Georges Bizet*

2019.08.18

본문들이랑 댓글 읽고 궁금한게 있는데요, 나이가 어린 것도 문제가 될까요?
실적이 어느정도 자신있어서 한국나이로 32~33쯤에 서울권 대학 임용 찔러볼 계획인데, 어려서 싫어하실까요?

2019.08.18

ㄴ 저도 그쯤 임용됐고 제가 가장 어린 케이스도 아니니 걱정마세요. 30대 초반 임용자 의외로 꽤 있어요.
Georges Bizet*

2019.08.18

ㄴ 답변 감사합니다! 글 올려주신 덕에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2019.08.18

지금 석사 중이고 유학간다면 다시 석박통합으로 가야하는데 그러면 저는 시기를 놓치는건가요? ..
Eugenio Montale*

2019.08.19

과가 크지 않을 경우 나이가 너무 어리면 기수가 꼬이는 등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음.
너무 젊은 교수를 뽑아버리면 그 이후에 그 교수보다 나이많은 교수를 뽑기가 애매해짐

그리고 본인 실적이 자신있다는 이야기는 스스로 우물안 개구리라는 말과 똑같음
임용 경쟁자는 동기들 뿐이 아니고 해외 빅가이랩 포닥이나 현직 국내외 교수들까지 포함됨.
일단 임용시장에 한번 지원해보면 좀 감이 올 것임.

2019.08.20

강추합니다. 베스트 글 이런거 없나요 ㅋ
Wilhelm Wundt*

2020.12.08

근데 요즘 지거국 교수도 교수로 쳐줌?

시드머니 천만원이라는데, 그거 받고라도 교수 소리는 듣고 싶은거지? ㅋㅋ
John Maynard Keynes*

2021.01.08

해박 위상이 내려간게 아니라 해박들이 귀국을 안 하는거야 모지리 새끼야.

대댓글 1개

2023.09.16

해박많이뽑았더니

한국오면

실적도 못내고 빌빌거리는경우 많아서

유사한실적이면

국박을 더쳐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교수 전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교수 전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