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2025.10.22

36

34988

구글 스콜라에 등록되어있는 논문 119편 중에

1저자 논문은 15개 더라구요.
이정도면 열심히 하신거 맞기도 하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수치는 아닌거같네요

언론에서 논문 70편 썼다길래 70편이 전부다 1저자 인줄 알았는데

1저자는 15개 입니다. 현실적으로 막 불가능한 수치는 아닌거 같아요.

그냥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6개

2025.10.22

BEST 공동1저자여부도 찾아보세요 ㅋ 다시 카운팅 ㄱㄱ

대댓글 1개

2025.10.22

악마

2025.10.22

70편 ㄷㄷ 포닥까지 하신건가요?

대댓글 2개

2025.10.22

홈페이지 등 이력 찾아보니,
석박 통합 4년 반 + 포닥 2군데서 1년 반
도합 6년 넘는 동안 1저자 15편인데... 이게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언론에서 과장한다고 2저자 3저자 그이상 전부다 끌어와서 70편 썼다고 어그로 끌어서 그렇지..

2025.10.23

70편중에 거의 60편?이 국내포닥pi랑 한거던데요 ㅋㅋ 1저자는 안세봐서 모르겠슴다

2025.10.22

오우,, 현재 학부연구생인 저로써는 도합 6년간 1저자 15편은 정말 신의 경지처럼 보이네요 ㄷㄷ,,

2025.10.22

이 나라는 논문 갯수로 평가하는 수준의 연구 문화

대댓글 3개

2025.10.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들 대상 국가과제 평가를 해보면 교수임용시절 처럼 교신저자 양치기로 승부보는 지원자들 매우 많습니다. 교수임용이 대단한 업적인건 맞지만, 그게 정답은 아니죠. 내용은 형편없고 과제계획은 엉망입니다. 떨어지면 내가 이렇게 논문이 많은데 왜 떨어지냐고 사회탓하겠죠?

2025.10.22

수능으로 연구인재평가하고 의사수준평가하는데 말 다했지

2025.10.22

갯수도 중요합니다. 과학의 근간은 최근처럼 탑저널 내려고 그림그리고 만들어가는 논문이 아닌 사실 공유와 가설 증명입니다.

그래서 전통적인 저널들 중 레터 형식이 많은거고, 상위저널로 갈수록 커뮤니케이션/레터 형식을 보이죠.

요즘은 이런 기본적인 것들이 무너지고 새로운 공학트렌드로 가고있는 것 같지만,여전히 전통적인 저널 여러편내는 연구자분들은 고수로 인정받죠.

70편 교수님 찾아보니 제 분야는아니라 저널의 우수성은 잘 모르지만, 20대 중후반에 15편 1저자면 일단 그거만으로도 대단하다 생각됩니다.

말이 많아도 고려대학교 임용인데, 뽑은 동료 교수님들보다 대단하신 분들이 유독 이런 글들에 많이 있나봅니다.

그리고 마리퀴리님 말에 어느정도 동의하나, 평가해보셔서 알듯, 본지/자매지급들 쓰는분들도 과제계획서는 엉망인건 똑같지 않나요^^? 적을 만들지 않는게 중요한 이유기도 하고요.

2025.10.22

그시간에 연구나 더 하지

2025.10.22

공동1저자여부도 찾아보세요 ㅋ 다시 카운팅 ㄱㄱ

대댓글 1개

2025.10.22

악마

2025.10.22

거의대부분 공공데이터로 짜깁기 한거일텐데

대댓글 1개

2025.10.24

공공데이터에서 숨겨진 의미를 찾아내는 게 능력이지
공공데이터는 너에게도 공평하게 공개되어 있는데
너도 억울하면 열심히 써봐라

2025.10.22

어떤 비판을 해도, 조교수임용에 70편은 엄청난 숫자죠. 네트웤, 일 매니지 역량 등 장난 아닌거죠.

2025.10.22

ai쪽에 부산외대 출신 180편 쓴 교수 있음

대댓글 3개

2025.10.22

찾아보니 교수는 아니고 수석연구원이시네요 그래도 대단,,

2025.10.24

같은분이신지 모르겠는데 인서울 조교수 하시는분 있음. 20대 180편 쓰고 조교수
사실 여성이거나 학부 좋았으면 서울대 고려대 교수 했을듯

2025.10.24

누군지 아는데... 과장이 심한 편임. 출신 회사 주변 분들한테서 말이 많았음.

2025.10.22

쩐다ㄷㄷ...!

2025.10.22

저널 급도 좀 애매하던데요ㅋㅋㅋ 저도 뉴스 보고 찾아봤는데 언플이구나 싶었습니다

대댓글 4개

2025.10.22

BMJ면 의학 최고수준 저널아닌가요,,?
제가 알고있는 의학저널의 순서가 많이 바뀌었나요?

NEJM, JAMA, The LANCET, The BMJ 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2025.10.23

그런 하이 임팩트 저널도 있지만, 사이트를 보시면 다작형 논문들이 엄청 많습니다

2025.10.23

푸코님 말대로 학위과정때한건 다 프론티어급 다작형저널이던데 졸업하자마자 상위저널로 점프한걸로 보여서 신기하긴 합니다

2025.10.23

맞습니다. 묶어뒀다가 터트린거일수도 있고, 졸업 후 바로 하버드 포닥을 가셨던데 그쪽 PI가 대가분이셔서 PI 버프가 아닐지 생각되더라고요

2025.10.22

의학쪽은 한개분과의 분야를 파면 여러가지 적응증을 가능해서 이것저것 다 돌려서 효과가 입증이 되거나, 디지즈 롤모델이나 병리기전에 중요한 프로틴 하나만 바뀌어도 5편은 가능합니다. 실제적으로 의미가 있구요. 어느쪽 논문인지 궁금합니다

2025.10.22

제가 방금 보고왔는데, BMJ 포함한 최상위 저널 1저자 등 훌륭한 논문이 많은데,,
여기에서 폄하당할 교수님은 아니신 것 같은데요,,?

2025.10.23

얼마나 개쓰레기 같은 것들을 찍어냈으면ㅋㅋ 북극곰이 울겠다ㅋㅋㅋㅋ

2025.10.23

양이 적다는게 좋다는건 아닌데 그 정도로 많은건 쓰레기의 거의 직접적인 척도임

대댓글 2개

2025.10.23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hl=ko&user=iTsZVuoAAAAJ&view_op=list_works

2025.10.23

1년에 50편 이상 involve하는 HCR급 교수님들이 얼마나 많은데,,,
연구 화이팅입니다,,!

2025.10.23

분야마다 다를수있죠. 저도 임용되기전에 주저자(교신저자 포함) 논문이 14개였습니다. 그중에서 저도 자매지 두편을 포함해서 탑저널들도 있었지만 더블컬럼 6페이지 정도 수준의 분야 탑컨퍼 프로세싱 포함해서요. (5편) 미국탑스쿨 포닥할때 교신저자 논문내려고 석사과정 데리고 했는데 사실상 writing/실험 거의다 제가 했습니다.
정말 빠른 연구는 2달 만에 하나찍어냈죠. 가능한 유일한 이유가 1) 저는 연구 시작하기 전에 엄청 고민많이해서 contribution/방향성이 명확해야지만 연구를 시작했고, 2) 논문을 많이쓰고 같은분야면 writing과 실험이 상당히 빨라지기 때문인듯 합니다.
참고로 저는 미국 R1에서 자리잡았는데 다작을 싫어하는 곳은 없습니다. 다만 단순히 정량적 실적만 강조하냐 vs 정성적/정량적 실적이 모두 뛰어나냐 정도의 차이겠죠.

2025.10.23

언론에 나온 70여편중에 50-60편이 2024년도에 출판된거던데요. 교신저자가 박사 지도교수는 아닌거같고 포닥때 pi같은데 포닥 시작과 동시에 저 많은 편수라니.. 억셉이 일주일에하나씩 났다 생각하면 .. 부럽긴 하네요 ㅋㅋ

2025.10.23

논문 70편의 수준이 어떻든.... 여기 은근하게 까내리고 비꼬는 사람중에 저 정도 실적을 낼 수 있거나 낸 사람이 몇명이나 될지궁금하네요. 사람들이 참 무서운게~ 좋은 실적으로 포지셔닝 잘 하셨네~ 앞으로 잘 하시면 좋겠다. 정도로 보면 좋을것을 마치 본인 자리 빼앗긴거 마냥 갯수가 적네 많네~ 수준이 이러네 저러네... 참... 한심하네요. 학위 중인 학생들이면... 그냥 논문이나 하나 더 봅시다.

2025.10.23

저기서 1저자 아닌게 많다고 연구 자질에 의문이 품어지기보단 사람 좋으실 거 같다고 생각들기만 하는데..그리고 지스트 나름 지방대 아님
메디컬&연고 버리고 온 사람도 좀 있고 서성한에서 호불호 갈리기 시작해서 중경외시 갈빠엔 닥 지스트
요정도 느낌이던데

2025.10.23

퀄리티가 만약 개선의 여지가 있다면 양 줄이고 질 높이는게 맞음. 어차피 시간이나 에너지는 한정적인데 퀄리티에 집중하는 연구 문화가 만들어져야 함.

2025.10.24

기사 초안 제공이 누구일지 잘 생각해봐야됨. 나무위키는 누가 처음 개설했을까 잘생각해봐야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