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수임용이 예전보다 쉬워졌다, 아니다 갑론을박이 있던데 다들 본인 분야에 한해서 주관적인 의견을 말하다보니 의견차가 심한것 같네요.
원래 교수임용 자체가 예전부터 분야를 상당히 많이 탄건 아실겁니다. 고여있는 분야면 정년시기에 맞춰서 비슷한 연구하는 사람(최근에는 해당랩 출신뽑는걸 선호하더라고요)을 뽑기에 TO자체가 시기운이 컸습니다.
반면, 최근 AI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점점 필드가 커져가는 분야의 경우, 여러 학교에서 해당연구를 하는 교수를 뽑으려고 합니다.
이때 분야가 확장되는 초창기에 해당 연구를 하는 연구실이 전세계적으로 적다보니, 본인실적이 비교적 부족해도 임용이 곧잘 되고는 합니다.
이건 A라는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은 저희랩 선배들의 경우에도 비슷한이유로 상당한 메리트를 받았으며, A분야로 졸업한 박사15명중 13명이 교수를 하고있습니다. 그중 자대포함 국내탑대학(spk)에서 교수하는분만 세분입니다.
저또한 이 분야로 최근 학위를 받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워낙 선배들이 교수를 많이하다보니 저와 비슷한분야로 졸업한 학생들이 최근에는 국내에서만해도 넘쳐납니다. 그러다보니 실적이 중요해지거나, A+B라는 분야로 틀어서 저만의 독창적인 아이댄티티를 형성하는것이 중요한 상황입니다.
저는 운이좋게도 A+B를 잘살려서 실적이 괜찮은편으로 내년초 좋은학교로 포닥을 가지만, 그렇다고 임용이 가능할거라고 생각은 안하고있습니다.
현재 갑론을박이 있는 것도 다 이런경우때문일거라 봅니다.
전반적으로 특정분야가 커질때는, 심지어 이번처럼 아예 나라에서 밀어주면서 신생학과가 개설될때는 임용이 상당히 쉬울때가 있습니다. 그러기에 임용시장은 운칠기삼이라는 말이 있다고 봅니다.
그럼에도 전반적인 임용시장이 쉬워졌는지는 의문입니다. 반대로 저희연구실, 그리고 제 상황과 비슷하게 (또는 훨씬 더더욱) AI관련되서 임용시장은 앞으로는 공급이 급격하게 많아지기에, 국박의경우 실적이 넘사벽으로 좋거나 다른 조건(여성/외국국적/미국탑대학박사출신)등의 차별성이 필요할겁니다. 다른분야보다 임용시장에서는 훨씬더 어려울수도있고요..
임용이라는것 자체가 본인실적만으로 말하는것도 아니고, 본인연구필드 관련연구를 하는사람이 어느정도인지, 해당연구하는 사람을 뽑아야겠다는 공감대가 있는지 등등 외부조건이 훨씬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니 임용시장이 더 쉬워졌다든지 더 어려워졌다든지 이런건 분야마다 매번 싸이클이 도는것이니 무의미한 비교라고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어떤분이 연구중점대학이 아니면 사기업을 선호한다는 말씀을 하셨으나, 이건 동의하기 어렵네요. 사기업과 정출연/학교간의 연봉차이때문에 후배들만봐도 사기업으로 빠지려는 사람이 예전보다는 많아진것은 분명한것같으나, 그렇다고 교수에 대한 선호도가 줄어든것같지는 않습니다. 이것또한 미국처럼 산업트랜드에 따라서 점점 교수선호도가 떨어질수도 있다고는 보지만요.
확실한건 현재 사기업과 정출연이랑 비교할경우 정출연 임금동결때문에, 예전처럼 십중팔구 정출연을 선택하는 상황은 아닌것같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2.09.18
최근 임용된 1인으로서, 지금 더 교수 임용이 쉽다는
건 좀 이상한 말임. 특정 분야는 본문의 내용과 같이 시기운에 의해 실적이 덜뛰어났어도 임용 가능했으나 그 경우가 다른 대부분의 분야를 대변하지 못할 뿐더러, 이전 세대 분들의 경우와 비교해서 지금 임용 도전하는데 있어서 대부분은 정량적으로나, 정성적으로나 높은 실적이 요구됨 (물론 어느정도 수준의 연구가 가능한 대학). 마지막으로.. 돈을 목표로 한다면 사기업이 나을 수 있지만, 돈보다는 본인의 핏에 어느정도 맞는 연구를 지속하고 싶다면 정출연/학교가 낫다. (정년 나이까지 고려하였을 때 사기업이 얼마나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
2022.09.18
대댓글 3개
2022.09.19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