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도교수님과의 관계, 어디까지 솔직하게 이야기해야 할까요?

2025.03.31

11

4039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지도교수님과의 관계 설정이나 소통 방식에 대해 고민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연구 진행 상황 보고나 디스커션 외에, 개인적인 어려움이나 연구 방향에 대한 솔직한 고민 등을 교수님께 어느 정도까지 이야기하는 것이 좋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너무 속마음을 다 이야기하면 부정적으로 보실까 걱정되기도 하고, 그렇다고 너무 거리를 두면 연구 지도에 어려움이 생길까 염려되기도 하고요.
다른 분들은 보통 지도교수님과 어느 정도의 깊이로 소통하시는지 또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팁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04.01

BEST 다 얘기하는게 기본적으로 맞습니다. 왜냐면 회사일과 달리 연구는 성과물도 딱딱 정의된 게 아니라 스트레스 받는 것도 크니까요. 교수에게 자신의 스트레스를 가감없이 얘기하는게 낫습니다. 교수도 비슷한 길 대부분 거쳐왔기 때문에 백프로 이해하고 고려합니다. 다만 응석부리는 것과는 구분해야하겠죠. 내 정신적 혹은 개인적 상황이 내 연구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차분하게 말하는 건 무조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게 아니라 조용히 골방에 들어가 끙끙대다 생산력이 떨어지면 서로에게 안좋아요.

2025.03.31

교수님마다 다릅니다.

2025.03.31

윗분 말씀대로 교수마다 학생마다 상황마다 다르지만.. 저는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거리감을 유지하는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레퍼런스로 삼을만한 기본적인 원칙은 '알 바가 아닌 일은 말하지 않는다' 입니다. 예를 들어서, '요즘 개인적인 어려움이 있어서 불안해요' 는 지도교수가 알아둬야 하는 정보가 아니니까 굳이 말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다음 실험을 뭘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라거나, '졸업하고 어떤 일을 할지 못 정하겠어요' 는 연구책임자로서, 혹은 학생을 지도하는 스승으로서 알아두고 적절한 조언을 해줘야 하는 일이니 말할수도 있겠죠.

2025.04.01

Professional 관계이지, Personal 관계는 아니겠지요.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5학년도 후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신입생 정시모집 안내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