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신임 교수를 뒤에서 욕하는 인간 부류 제일 경계하고 조심해야함.

2025.04.07

13

4911

그냥 본인이 실적이 부족하거나 가능성을 보여주지 못해서 지원한 학교에서 떨어진 것인데,
그 자리를 두고 경쟁을 하던 그 자리에 임용 된 신임 교수의 연구 실적이 본인보다 부족하다니
혹은 신임 교수의 학벌을 운운하거나 확인되지도 않은 인맥을 거론하면서 뒤에서 욕하는 인간들은
그냥 그 자체로 제일 경계하고 조심하는 부류로 생각함.

그냥 뒤에서 욕 했던게 모두 사실이라면, 그 자체로 본인을 디스하는 것이기도 함.
본인은 신임교수보다 연구실적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경쟁자에게 진 것이고,
학벌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활용하지 못하고. 인맥을 만드는 노력도 하지 않은 것이니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4.07

BEST 그냥 본인이 실적이 부족하거나 가능성을 보여주지 못해서 지원한 학교에서 떨어진 것인데,
그 자리를 두고 경쟁을 하던 그 자리에 임용 된 신임 교수의 연구 실적이 본인보다 부족하다니
혹은 신임 교수의 학벌을 운운하거나 확인되지도 않은 인맥을 거론하면서 뒤에서 욕하는 인간들은
그냥 그 자체로 제일 경계하고 조심하는 부류로 생각함.

그냥 뒤에서 욕 했던게 모두 사실이라면, 그 자체로 본인을 디스하는 것이기도 함.
본인은 신임교수보다 연구실적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경쟁자에게 진 것이고,
학벌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활용하지 못하고. 인맥을 만드는 노력도 하지 않은 것이니깐

2025.04.07

그냥 본인이 실적이 부족하거나 가능성을 보여주지 못해서 지원한 학교에서 떨어진 것인데,
그 자리를 두고 경쟁을 하던 그 자리에 임용 된 신임 교수의 연구 실적이 본인보다 부족하다니
혹은 신임 교수의 학벌을 운운하거나 확인되지도 않은 인맥을 거론하면서 뒤에서 욕하는 인간들은
그냥 그 자체로 제일 경계하고 조심하는 부류로 생각함.

그냥 뒤에서 욕 했던게 모두 사실이라면, 그 자체로 본인을 디스하는 것이기도 함.
본인은 신임교수보다 연구실적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경쟁자에게 진 것이고,
학벌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활용하지 못하고. 인맥을 만드는 노력도 하지 않은 것이니깐

2025.04.07

뭐 다 똑같죠. 어느곳이나 본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보다, 상대방을 낮추는게 훨씬 편하기도 하니까요.
여기에서 하루종일 학벌이나 학교비교하고, 심지어 탑저널vs탑학회로 싸우는것도 비슷한이유고, 정치에서조차 두개로 나뉘어서 상대방 진형을 무조건 욕하고보는것도 비슷한 이유라고 봅니다. 저도 몰랐지만 미국에서 나와산지 꽤 됐다보니 우리나라가 이런것들이 유독 심하다고 생각하지만, 그건 치열한 경쟁속에서 자라온 환경 자체때문인것 같기도 해요.
저도 예전엔 그래왔던것같은데 이제는 점점 상대방이 뭘하든지 별로 신경안쓰게 되더라고요. 저만 잘하면 되고, 또 내 일과 가정 신경만써도 할게 너무 많으니까요. 근데 이런생활이 정말 편합니다.

2025.04.07

세상 순진한것 같긴하네요... ㅋㅋ 본인 인맥이나 지도교수 인맥이 영향이 무조건 있긴해요ㅎㅎ

대댓글 5개

2025.04.07

부당한 결과라 생각하기 좋은 절대적인 수치가 논문 실적이기에... 저 같은 경우에도 비슷한 경우가 있긴 했는데 제가 탑컨퍼런스 실적 5편이 더 많았는데 떨어졌는데 알고보니 남편이 ~~ 더라~~ 였음ㅋㅋ; 다 한다리 건너 아는 교수 지인 사이들ㅋ;;

2025.04.08

카르텔이 있긴 있더라고요
실적이 매우 좋아도 올 사람이 정해져 있더라고요.

대신 퐁당퐁당으로...

2025.04.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맥의 영향이 있으니깐 글쓴이가 인맥을 만드는 노력을 하라고 적으신 것 같은데요?

2025.04.08

마지막에 비꼬는거 같아서요 ㅋㅋㅋ 실제로 자신이 부당하게 떨어졌을 때 느낄 좌절감을 알기나 할 지 모르겠네요

2025.04.08

기업도 똑같죠.

IF : 1

2025.04.08

어느 자리나 평가 요소는 절대적인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고 그걸 다 봤을 때 가장 리스크가 적은 사람을 뽑는 겁니다. 실적이 더 좋다 안좋다 할 필요가 없어요. 물론 그 시기 운도 작용할 수 있고 어느 곳에서는 인맥도 작용할 수 있겠죠.

2025.04.08

살다보니 내정자라는 게 무조건 나쁜 의미는 아닌 것 같긴 합니다. 사실 같은 랩이나 선후배 사이에서 어느 정도 같이 일 할만하다(?) 저 사람 괜찮다 무난하다 평가가 어느 정도 검증이 된 거니깐요.

물론 실적과 성과 교육적 비전 등을 잘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2025.04.09

심지어 대학원생뽑을때도 인성 등 팀웍에 영향을 미칠만한 요소를 평가합니다. 필요에 의해 (BK사업 논문실적 등) 논문이 중요한경위외엔 큰 기준(탑급, 자매지)정도만 부합하고, 채용분야와적합하면 그때부턴 면접장 가는 티켓이죠. 수업, 지도계획, 생각, 학과발전, 협업, 연구 등 다채롭게 보는데, 사실 익숙한게 좋죠. 미국, 유럽 보면 능력등으로 인정받은 인맥들이 매우중요합니다. 사실 우리나라 블라인드채용 그런게 매우 ㅈ같은상황을 만든건 사실입니다. 단순 학벌로 끌어주는건 샤 정도? 근데 샤출신은 어디가서든 잘하긴합니다.

2025.04.09

그냥 시원하게 마 다 까소. 익명성 뒤에 숨어가 뒤에서 껀걸 뒤에서 까지 말고

2025.04.10

ㄹㅇ 인정... 보통 본인 실적 부족한걸 인정 못하고 남탓하는 경우가 많더라. 그런 사람들하고는 거리두는게 맞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