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미국 박사가 목표이면 솔직히 미국 탑100도 서울대보다 낫다고 생각.
서울대 버리고 갈 미국대학
25 - 저도 GPT 생성 의심 사유를 보니 문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나오더라고요 ㅋㅋ 기분이 나쁘면서 좋았던 기억이.. ㅋㅋ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12 - 저는 졸업논문이 실험 결과 표까지 표절로 걸리길래 진짜 식은땀 줄줄 나고 밤새서 수정했는데... 알고 보니 교수님이 미리 도서관에 등록하고 돌려보신 거였어요 ㅋㅋ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11 - 카이는 원래 지잡대도 들어가는데라 가능할거같네요
서울대는 학벌봐서 안될듯요
설/카이 불안핑 도집니다
8 - 굉장히 예의에 어긋나고 실례가 되는 것 같네요.
그런 것은 학교 교무처에 먼저 알아보는게 예의입니다.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7 - 교수님께서 느끼셨을 인고의 시간을 기념하기 위해 물속에서 1시간 버티기+불속에서 1시간 버티기 어떰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7 - 인턴한테 기숙사비 정도도 지원 안 해줄 정도면.. 한번 고민해 보는것도 좋을듯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0 - 진학 확정이 아닌 학부생 방학 인턴한테 기숙사비까지 지원해줘야 당연한 건가?
진학 확정이 아닌 학부생 방학 인턴이 랩과 과제 진행에 무슨 기여를 하는데?
지금 알엔디 삭감에 있는 대학원생 인건비도 걱정하는 마당에 딴 세상 이야기 인 듯.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2 - 짝짝짝~~!!!
박수 아니고 빰 때리는 소리임
너 저번에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육 체계" 올린 놈이지?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8 - 사실 인턴한테 돈 받아서 가르쳐야하는데 돈까지 달라하노 ㅋㅋㅋㅋㅋ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2 - 윗댓분들은 한국의 유교 사상과 노예 근성에 찌든 사람들이라 무시하셔도 괜찮습니다.
학부 연구생도 엄연히 출근하는 자리이고 마땅히 돈을 받아야 교수님도 일을 제대로 시키시고 님도 책임감을 가지게 됩니다.
큰돈은 아니겠지만 무조간 받는게 맞습니다.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8 - 랩에 어떤 기여를 하시길래 인건비를 받으시려는건가요?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2 - 이런 사람들 때문에 랩에서는 점점 인턴 더 안받으려 하지. 인건비는 보통 과제비에서 나오고 과제 참여를 하고 기여를 하면 받는 건데, 랩에 처음 온 인턴이 가르쳐주고 챙겨줘야 할 게 많을까 열심히 따라한다고 랩에 기여하는 게 많을까. 아침부터 저녁까지 학원가서 배우면 출근했으니 돈 받아야 하나?
한국 어쩌고 하는데 미국도 학부생은 무급인턴 많고 인건비 있는 경우도 학교 공식 프로그램으로 방학에 몇 개월 정해놓고 학생 교육 차원에서 학교 돈이 나가는 경우가 많지 랩 과제비에서 주는 경우는 더 적음.
학생 입장에서 무조건 받으면 좋으니 출근하면 받는 게 당연한 것 처럼 이야기하는데 논리가 있어야 설득이 되지..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8
GPT가 답한 대형랩의 에이스 탄생 시나리오
2025.04.07

- 조용히 자기 실험만 하며 존재감 없이 지냄.
- 회의나 발표에서 최대한 눈에 띄지 않으려 함.
- 실험 정리, 기록, 기초기술 등 기본기만 조용히 쌓음.
2. 예정된 발각
- 발표나 데이터 정리에서 예상치 못한 성과가 드러남.
- 막힌 실험을 해결하거나 정확한 해석으로 주목받음.
- 우연처럼 보였지만, 실력과 성실함이 누적된 결과였음.
3. 일방적 신임과 업무 폭탄
- 교수의 판단으로 핵심 업무에 자의 없이 투입됨.
- 발표 준비, 실험 총괄, 기기 담당 등 역할 확장됨.
- 자신의 실험보다 공동 업무와 지원 작업이 우선시됨.
4. 내면의 반발
- 실험 진도 지연, 일정 몰림, 체력 저하 등 피로 누적.
- 교수의 기대와 현실의 부담 사이에서 회의감 생김.
- 교수를 향한 분노와 불만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기 시작.
5. 압도적 성장
- 다양한 업무 경험으로 실험 응용력, 발표력 급속 성장.
- 기기 운용, 데이터 해석, 논문 기획 등 전방위 능력 확보.
- 동기와 실력 차이 생기며 ‘랩의 구심점’ 역할 수행.
6. 랩 내 고정 포지션화
- 교수는 이 인물을 주요 프로젝트에 자동으로 포함시킴.
- 후배는 실험 관련 질문을 이 인물에게 먼저 함.
- 자율성은 줄어들었지만 실질적 영향력은 확고해짐.
7. 사회로 나가 중요한 사람이 됨
- 실전에서 다져진 기술력과 책임감이 현장에서 통함.
- 어디서든 신뢰받는 실무형 전문가로 자리잡음.
- 랩에서의 고생이 결국 '실력과 위치'로 보상됨.
- 다만, 결혼은 못함. (시간도 체력도 마음도 없음)
제가 그렇게 싫었습니까? 김GPT 46 12 5273
연구실 뒷담화 김GPT 23 6 7038-
96 12 10395 -
65 16 10541
연구실 분위기 및 운영방식 김GPT 2 10 1560
소수랩 보다 대형랩이 나은 점 김GPT 29 7 4109
나는 우리 연구실이 참 좋다 김GPT 15 1 2012-
14 27 2946 -
9 5 2639 -
171 20 73172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1 81 33680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명예의전당 138 79 52984
베스트 최신 글
베스트 최신 글
- 신생랩 (실험분야) 박사 3년차 느끼는 장단점
3179 - 개인적으로 최악의 교수님
7540 - 김박사넷 오각형 복구 안 하나요?
3869 - 교수님께서 갑자기 거절...
8657 - 연구실 나갈 때 개발했던 것
2825 - 대학원 간판이 중요할까요?
4177 - 서울대 버리고 갈 미국대학
9684 - 교수한테 피드백 요청한 논문 초고도 표절 징계 대상이 되나요?
3416 - 한양대에서 연고대 편입할까요?
3630 - 이정도면 랩실보고 가도되나요?
389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주립대 공대 박사 합격 후 재지원
4 - 우리 지도교수님..
146 -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138 - 전문연 2+1 이라는 점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3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17 -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99 - 진짜 cs는 선입견 그대로 가는듯
37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26 - 신생랩 (실험분야) 박사 3년차 느끼는 장단점
8 - 교수님께서 갑자기 거절...
18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18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4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CS석사 가는게 맞을까요
18 - 서성한 미박 진학 고민
11 - 해외 학부 후 대학원 진학 고민중입니다
10 - 교수님께 메일 답장이 왔는데..
10 -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26 -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16 - 대학원 연구비 다들 어느정도 받으시나요? (석사)
23 - ICCV 2025
6 - 엘스비어 저널 메이저 리비전 후 2차 리비전..
9 - 독일 학부 후 국내 대학원
6 - 지도교수
6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7 - 석사과정동안 석박 졸업 요건을 이미 다 채웠다면
8
2025.04.08
2025.04.07
2025.04.07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