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랩에 컨택된 석사 지망생입니다. 연구분야가 잘 맞아서 컨택이 되었지만 여러 게시물을 보면 신생랩은 거르라고 하더라고요. 장단점을 알려주실 수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7.13
BEST하기 나름.
세팅에 들어가는 노동을 시간낭비라고 생각할지, 경험이라고 생각할지도 개인의 판단.
교수 입장에서는 첫 단추가 이후 연구실 운영에 큰 영향을 주기에 신경을 많이 쓸 수밖에 없음
2025.07.12
Wet lab인가요
대댓글 1개
2025.07.12
dry lab 입니다.
2025.07.12
직접 배운다? 교수님과의 유대와 신뢰정도? 외에는 없음 인프라 좀 꾸려주다가 나올거고 보통 초창기 멤버는 박사까지 안할거면 큰 의미 없음 석사로 마치면 인프라 꾸리고 논문 못쓰고 졸업임
대댓글 4개
2025.07.12
보통 신임은 펀딩도 얼마 없을건데 최근 신임인데 20억정도 들고 있는 거 보고 생각 바뀜 ㅋㅋㅋ
2025.07.12
20억은 대단하네 ㄷㄷ
2025.07.12
인프라 라는 것이 실험환경이나 장비들 말씀하시나요?
2025.07.12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바이오라서 다루기 어려운 장비 뿐 아니라 기본적인 센트리퓨지나 볼텍서 등등 이런 것도 비싼 편이에요 학교마다 다른 걸로 아는데 신임 교수 되면 어느정도 예산 주고 예산 안에서 장비 1개 살 수 있게 학교에서 지원해줘요
자, 장비는 샀습니다 장비를 놓거나 설치는 누가 하죠? 사람 쓰면 돈 드니깐 대학원생이 하면 되겠네요
혹은 운좋게 실험실 넘겨 받는데 은퇴하시는 분이 장비 처분 안하고 그냥 주시기도 하고 기본적인 실험 workflow 할 수 있게 시스템 갖춰질 때까지요
2025.07.12
초기셋업만 뒤지게 하다가 나오니까 가지말라는거임 드라이랩이라도 오피스 배치부터 시작해서 상상이상으로 처리해야될 일이 많음
2025.07.12
실험세팅 귀찮은거 둘째치고 온갖 잡일 배울 레퍼런스가 없어서 시간낭비 지림 짬잇는랩실은 1시간이면 치울거 밤새서하는 신생랩실봄 교수랑 학생짬이없어서 시간낭비가 많기때문
그리고 확률적으로 가난할 가능성도 있고
2025.07.12
드라이랩 기준으로 석사 or 박사 따로따로일때 둘 중 한 과정만 신생으로 가는건 장점이 많다고 봄
저는 박사과정이 신생인 경우가 더 장점이 많은거 같긴 한데,, 왜냐면 교수님 정신없는 중에 자기주도적으로 뭔가 진행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이 생김. 신생이라서 과제 따오고 컨퍼런스 참석하고 하느라 자리 자주 비우시는데 그 시간이 다 간섭없이 자율적으로 뭔가 해볼 수 있는 기회임
그런데 저게 되려면 자율적인 연구를 용인하는 성향의 교수여야 하고 가장 중요한게 교수랑 자기랑 어느정도 성향이 맞아야 돼요. 기본적인 인간관계에서 길게 볼 사람인데 한명은 외향적이고 한명은 내향적이라고 생각하면 대참사인데 신생랩은 그런거부터 알 수가 없으니 비추하는거임
대댓글 1개
2025.07.12
그리고 석사때 짬이 쌓여서 앤간한 일은 빨리빨리 치워버릴 수 있게 되거든요
석사 신생으로 가는 경우는 나도 모르고 교수님도 모르니 맨땅에 헤딩하면서 연구방법론 익히고 나올 수 있다 정도가 장점일듯
2025.07.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개인 펀딩이 있는 신임교수나 아니냐에 따라 다를 듯. 개인 펀딩이 있으면 세팅 조금만 하고 연구속도는 낼 수 있음
2025.07.13
Cs 신임인데 셋팅할게 없음 요즘 서버 클라우드 쓰면 됨 더 싸고
2025.07.13
하기 나름.
세팅에 들어가는 노동을 시간낭비라고 생각할지, 경험이라고 생각할지도 개인의 판단.
교수 입장에서는 첫 단추가 이후 연구실 운영에 큰 영향을 주기에 신경을 많이 쓸 수밖에 없음
2025.07.13
신생랩 출신인데 비추입니다.
여러가지로 연구 외 시간 많이 쓰게됩니다. 그만큼의 리턴이 오는지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리턴은 교바교인게 치명적이구요. 정보도 없고요.
최악의 경우, 겨우 졸업요건만 채우는 경우까지 존재합니다.
교수님의 실적만 보고가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 실적이 정말로 자기자신이 만든건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큰 도박을 하지 마세요. 자기역량이 중요한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만약 연구가 잘되었지만 교수 욕심채우고자 논문이 계속 밀리고, 그게 수년이 계속 된다면? 교수는 좋은 논문을 쓰겠지만 당사자는 후임한테 연구주고 나가는게 신생랩입니다.
대댓글 2개
2025.07.14
이분께서 아주 일목요연하게 잘 설명 해 주신 것 같습니다. 저도 신생랩 출신이라 아주 공감이 됩니다. 사람들이 많이 가는 곳에 이유가 있드시, 사람들이 가지마라고 하는데에도 이유가 있습니다.
2025.07.15
저도 신생랩(학연과정)에서 현재 통합과정으로 재학중입니다.
저는 위에서 말씀하신대로 최악의 경우이며 리턴? 이런것도 없습니다.
사람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제 잘못이죠.. 선배있는 랩실가세요.. 굳이 도박할필요는 없습니다.
2025.07.13
2025.07.12
대댓글 1개
2025.07.12
2025.07.12
대댓글 4개
2025.07.12
2025.07.12
2025.07.12
2025.07.12
2025.07.12
2025.07.12
2025.07.12
대댓글 1개
2025.07.12
2025.07.12
2025.07.13
2025.07.13
2025.07.13
대댓글 2개
2025.07.14
2025.07.15
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