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신생랩 어떤가요..?

2023.04.02

16

4367

조교수이며 랩실 안에 사람들 한명도 없으며 현재 학교 들와서 낸 논문이 하나도 없어요 현재 학교 들어오기전에 9개정도 내셨고 올해 조교수를 부임하신거 같아요 신생랩은 많이 힘들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3.04.02

ㅋㅋㅋ우리학교인가

대댓글 2개

2023.04.02

서울에 속하는데 맞나요???ㅜㅜ

2023.04.02

서울에 속하는데 맞나요???ㅜㅜ

2023.04.02

셋팅하느라 시간다날림...그거 자체도 교수님이랑 마찰나면 스트레스받을건데 결과물은 아무것도없이 졸업할 거임..내가그랬음^^ skp 공대 1기 신생랩에 석박아무도없고 교수님이랑 랩세팅하고 학회참가하면서 공부만하다가 겨우 과제따와서 뒤에 오는애들한테 넘긴게 다임. 심지어 alumni도없어서 취업을 대체 어떻게 준비해야하는지 도움도 못받음. 학부때 취업걱정하던거보다 더 막막함..박사로 끌려가기직전에 운좋게 제안받아서 탈출함.

대댓글 4개

2023.04.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심지어 이제 교수가 되서 이것저것 펼쳐보려고 자기 전문인거 안하고 다른거 조금씩 넓히는거 학생들 시킬텐데

자기도 몰라서 도움 못주는 순간 이제 학생만 죽어나가는거

2023.04.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 근데 어디로 탈출하셨나요 부럽긴 하다 ㅋㅋㅋㅋ

2023.04.02

회사는 증권사중에 하나고 클라우드관련 it부서로 왔습니다.
밑에 링크나 다른곳에도 신생랩 장단점이 많이 정리되어있겠지만, 장점 조차도 도박성의 확률이고......랩 졸업생이 없다는 게 얼마나 큰 리스크인지 다시한번 재고해보시길바랍니다. skp에 젊은 교수님이라 믿고 들어갔는데 진짜 너무힘들었어요..차라리 석사안했으면 하는 생각도 엄청했습니다ㅠ

2023.04.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도 신생랩 1번 타자에 이제 2학기 시작한지 얼마 안됐는데 솔직히 너무 힘드네요 ㄹㅇ
취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3.04.02

핑프도 아니고 이런건 검색 좀 해라...

2023.04.02

신생랩 졸업 후 output에 기반한 신생랩 장단점 정리
https://phdkim.net/board/free/35185

예전 인기글인데 참고하세요.
김박사넷에 늘 나오지만, skp yk ist 급의 신생랩은 추천하는 글들이 많고, 기타 사립대는 비추하는 글들이 많아요 (ssh는 애매)

대댓글 1개

2023.09.17

ist도 애매

2023.04.02

서울대이신가요? 어딘지 알거같아서요

2023.04.02

이것도 그냥 본인 하기 나름임. 신생랩 특히 첫 제자면 포닥 끝난지 얼마안된 지도교수의 좋은 아이디어 주제들을 다 받을 수 있음. 물론 지도교수 역량, 분야는 본인이 잘 판단해야하고. 실제로 서울대, 카이스트 조교수들은 거의 교수메이커임

2023.04.02

1기 멤버라면 리스크가 좀 있기는 합니다. 좋은 교수를 만나도 랩 셋팅이라는 단점이 클 수 밖에 없고, 랩 시스템이 자리잡기전까진 맨땅에 헤딩하듯 할 수 밖에 없는거라서요

좀 더 구체적으로 보자면 교수 역시 포닥때 하던거 그대로 못할 확률이 큽니다. 그대로 하더라도 모든게 다 갖춰진 대가 밑에서 하는거랑 책상만 있는 신생랩에서 하는거랑은 하늘과 땅 차이고 또 포닥때 처럼 큰거 한편 위주 연구는 신임 교수 입장에서 할 수가 없습니다. 실적 압박도 있기에 초기엔 대부분 약간 방향을 틀어서 작지만 빠른 결과가 나오는 방향 위주로 갈 수 밖에 없는데, 여기서 꼬이면 1기 학생들이 맨땅에 헤딩하듯 부딪힐 수 밖에 없습니다. 거기에 교수가 새로운 분야 개척하겠다고 이리저리 휘젓고 다니면 그거만한 재앙도 없고요

대댓글 1개

2023.04.02

실질적인 신임 교수의 장점은 1.5 기 (랩의 코어가 되는 셋업 1-2개 정도가 1기 학생에 의해 거진 완성) ~ 2기 (기초적인 셋업이 갖춰지고 사수가 생김) 정도에 부각되고 교수의 성향에 따라 이런 장점이 몇년 간 유지됩니다. (오래가는 경우도 있고 1-2년만에 급격히 꺼지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테뉴어 이후 급격한 phase change)

1기라면 교수와 상담도 해보고 인턴도 거친 후 판단하세요. 교수랑 가장 가까이서 일하며 교수에게 밀착 지도를 받을 기회가 큰 것도 사실이나, 그 말은 교수랑 안맞을 경우 난이도가 급상승한다는 말하고도 같습니다. 특히 1기라면 교수랑 잘 맞냐 안맞냐도 중요해요.

2023.04.06

SKP 신생랩 출신임. 힘들지만 배우는게 많았고 (사수가 교수님) 1기생들 전부 커리어 잘풀림.
모든 질문의 답은 케바케지만 나는 다시 돌아가도 신생랩 택할거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