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본인은 ky 학부 졸업하고 카이스트로 진학함 자대에서 인턴 두군데에서 했었고, 동기들 중 자대로 진학한 학생들도 많기에 신뢰높은 비교가 가능할 거라 생각함 (다른ist, ssh 대학원생들도 많이 알고있음)
여기서 말하고싶은 건 연구 환경임. 학교 랭킹이나 입결 등이 아님. 랭킹은 이전 글들에서 투기장 열린 것 같으니까 다른 글 참고바람.
내가 k로 진학하고 느낀건, k를 비롯한 과기원과 ky ssh등의 환경 차이가 넘사벽이라는것임
정리해보면
1. 장비 수준이 다름. 국가 보조금이 많다보니 장비가 최신임. 아래 서술하는 공간문제와도 엮여서, 장비 둘 공간도 크다보니까 좋은 장비들이 많은 편.
2. 공간 문제에서 훨씬 자유로움. 내가 ky탈출한 가장 큰 이유인데, 닭장같은곳에 10명 다닥다닥 붙어서 옆사람 냄새 맡으며 있어야 했음. 아니면 다른 연구실 학생들이랑 공용 오피스같은곳에서 불편하게 같이 지내야함. 서울에 있는 학교들을 다 비슷할듯. 여기 오니까 공간 여유가 훨씬 많음. 연구실에 있어도 답답하지가 않음. 신세계임.
3. 등록금 무료거나 몇십만원 수준. ky ssh같은 사립대는 일년 등록금이 1400에 가까움. 여기서 사립대라도 BK학과라느니 자기는 인건비 풀로 받는다느니 하는 학생들 있을텐데, 석사기준 풀로 받아봤자 등록금 내면 남는게 100만원 대임. 나는 카이스트에서 200전후로 받고, 차 굴리면서 지내도 여유로움
4. 제안서 & 과제로 인한 로드가 훨씬적음. 사립대는 구조상 교수가 대학원생들 등록금을 서포트해야해서, 한 학생당 지출이 높은편임. 카이스트 석사 100만원 받으면 사립대에서는 200만원 받아야 등록금 커버가 가능하니까. 그래서 같은 학생 수를 유지하려면 사립대는 지출이 두 배임. 이 말은 뭐다? 과제 굴리는 비용이 두배여야 한다는 소리. 그리고 과제나 제안서 일을 교수 혼자 할 수 있음? 다 대학원생이 투입됨. 교수님은 과제 따러 여기저기 다니느라 바쁨. 그래서 학부다닐때 대학원생들 보면 대부분 과제일에 치여서 늘 교수 욕함 ㅎㅎ 물론 ist에서도 과제 하겠지만, 로드가 훨씬 적음. 그래서 상대적으로 더 연구에 집중할 수 있음
5. 수업 로드가 적음 (조교 로드가 적음) 이게 학생들이 잘 모르는건데, 교수님들 수업이 적어야 연구 환경이 좋은거임. 그만큼 교수님이 내 논문에 쓸 시간이 늘어나고, 조교일도 줄어듦. ist학교들은 한 학기에 한 개정도 강의 하시는데, 종합대는 보통 2-3개쯤 함. 그럼 교수님도 연구 신경쓰기 어렵고, 학생들도 조교하고 클레임 받고 채점하고 하다보면 연구할시간이 남아나질 않음.
이전 글들에서 지표같은거로 서로 싸우길래 (학생수가 어떻다, 의대가 있네 마네 등등), 그런거랑 상관없는 IST와 사립대의 시스템의 구조적 관점에서 써봤음. 물론 서울살이가 장점이 있는 분들은 서울에서 하시는게 훨씬 나음.
내 모교도 정말 아끼지만, 환경은 지금이 더 만족스러움. 과기원 인구가 적어서 그런가 상대적으로 내려치기 당한다고 느껴질 때가 있음 (k vs p도 마찬가지. p도 환경 좋지만 수가 적어서 내려치기 당한다고 느낌) 과기원은 어떻게보면 국민 세금으로 보조받으면서 다니는건데, 환경이 좋을 수 밖에 없긴함. 그래서 더 열심히해야겠다 느낌.
물론, 진리의 랩바랩이긴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5.06.27
BEST딱 정확하게 국내 석사 -> 미국 박사 하고 있는 내 경험이랑 비슷하네 위 본문에서 ist, ky빼고 국내, 미국 넣어도 위화감 없을듯
대댓글 1개
2025.06.30
국내가 ist 느낌인가요?? 국내 박사가 미국 박사보다 더 좋나요??
2025.06.26
저는 ssh에 있다가 하고싶은 분야가 있어서 ist로 왔는데요, 이 글에 공감합니다. 자대에서는 다들 어떻게든 일을 치워내려는 "기업형"랩이 많았는데 (그래서 다들 석사 취업을 많이 하심. 오히려 좋은가?) 과기원은 상대적으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는 것 같아요. 근데 어딜 가나 좋은 교수님 만나고 본인이 열심히 하는게 제일 중요한 것 같습니다.
2025.06.26
제가 아는 DG교수들도 강의 부담이 없어서 좋다고 해요. D는 특히 강의전담교수가 있고, 연구전담교수가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설비좋고 교수가 연구에 쏟을 시간이 많다해서 그 랩에 갔을때 실적이 잘 나오느냐는 전혀 별개의 문제더라구요. DG가 장점이 많은것 치고는 교수 인원수 대비 논문 실적이 U나 Y등에 크게 밀리는건 좀 아쉽긴합니다. ist가 환경이 좋은건 누구나 아는데 이상한 국제 랭킹을 떠나서 DG에서는 좋은 논문 실적이 평균적으로 잘 안나오는게 사실입니다. (Y나 U대비해서요)
대댓글 1개
2025.06.26
네 사실 시스템으로 갖춰진 환경과 별개로 교수의 의지와 대학원생-교수간의 시너지 등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카이스트로 마찬가지로 테뉴어받고 연구 손 놓으신 교수님들 많으세요. 학생들 입장에서 랩을 고를때 환경적으로 고려할 것에 대해 생각하고 적어봤습니다.
2025.06.26
내 모교도 정말 아끼지만, 환경은 지금이 더 만족스러움--> ? k를 비롯한 과기원과 ky ssh등의 환경 차이가 넘사벽이라는것임 여기서 글쓴이가 카이가 아니라 다른 -IST라는 강한 의구심이드네요 카이 다니시는데 다른 과기원을 카이와 동일 시 하면서 올려치기 시도. 만약 ky 다니셨거나 다닌 거 맞더라도 카이면 굳이 이런 글 안씀
대댓글 14개
2025.06.26
요즘 이런 글들이 많이 올라오는데 그렇게 할 일들이 없나 싶네요
2025.06.26
왜 의심부터 하시죠? 사고가 비틀리면 보고싶은대로 보죠. 필요하다면 원하시는 방법으로 인증도 가능합니다 ㅎㅎ 대학원 갈 때 서울대나 다른 학교도 고민해봤고, 카이스트 오고 과기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서 얘기한겁니다.
2025.06.26
카이면 굳이 다른 -IST와 같이 언급을 안했을 거임. 자교랑 비교하지 굳이 SSH까지 끌어들여서 -IST를 YK 이상으로 만들면서 SSH 내려치기 전형적인 -IST 훌리로 보임
2025.06.26
모교에서 배운것도 많고 좋은 추억도 많습니다만, 대학원은 조금 아쉬웠고 타대로 진학한겁니다. 카이 환경이 만족스러워서 소개겸 작성한겁니다. 과기원은 환경자체는 거의 같은걸로 알고요.
2025.06.26
님이야말로 훌리로보이네요.. 메세지를 반박못하시고 메신저를 공격하시다니 ㅋㅋㅋ
2025.06.26
메신저 공격한 적 없고요 메신저 안 씁니다 그리고 카이 다니시면 카이만 언급하시지 다니시지도 않은 -IST는 어떻게 그렇게 잘 아시고 SSH는 왜 자교랑 묶어서 내려치기 하십니까? SSH 연구실 YK 연구실을 일반화해서 내려치고는 나중에 랩바이랩이란고요? ㅋ
2025.06.26
내가 k로 진학하고 느낀건, k를 비롯한 과기원과 ky ssh등의 환경 차이가 넘사벽이라는것임---> 일반화해서 비판하고선 나중엔 랩바이랩이라고요? 교수님들 연차나 연구실 생긴 기간 등 천차만별인데 그냥 일반화하고 서는 랩바이랩이다?
2025.06.26
메신저란 말을 모르시는 분이랑 얘기하고싶지 않네요. 애초에 이 글 올린이유가 과기원과 다른 다른학교 비교하는 글들 보고 작성한건데, 과기원 대표급인 카이스트학생으로서 이런글 쓸수도있죠. 왜 그걸 훌리로 매도하시는지
2025.06.26
매도한 것이 아니고 의심한 거죠 그리고 이런 글을 자꾸 쓰시는 분들 심리가 궁금합니다 작성자님 글도 읽어 보면 그냥 학교 서열화예요 자신이 속한 곳 올려치기
2025.06.27
와 진짜 개꼬였다 이사람ㄷㄷㄷㄷㄷ
2025.06.27
제임스 와트님은 yk ssh임? 자기 학교 안좋다하니까 못 참겠음?
2025.06.27
제임스 와트는 학벌주의 정신병인가? 뜬금 미친놈같네
2025.07.05
메신저 안씁니다 에서 크게 웃고 갑니다~
2025.07.19
어휴 개찐따ㅅㄲ들아 내눈에 띄지 말아다오...
2025.06.26
박사까지 할 거면 공감 근데 석사만 하고 취업할 계획이면 ky가 나을 듯 ssh부턴 몰라도
2025.06.26
잘 알겠으니까 에타에 글좀 그만써다오...
2025.06.27
딱 정확하게 국내 석사 -> 미국 박사 하고 있는 내 경험이랑 비슷하네 위 본문에서 ist, ky빼고 국내, 미국 넣어도 위화감 없을듯
대댓글 1개
2025.06.30
국내가 ist 느낌인가요?? 국내 박사가 미국 박사보다 더 좋나요??
2025.06.27
저도 서울대서 박사하는데 이 글 공감합니다. 네임밸류때매 서울대 왔지만 연구환경 따지면 무조건 ist 과기원이 압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울대말고는 ist 이길 학교가 없는듯 진지하게
쇠약한 피에르 페르마*
2025.06.27
P나 ist 나비슷하다고보고 S는 네임벨류빨이지 환경은 ist나 l에 비할바는못된다고봄. 이상 k졸업생
대댓글 1개
2025.06.30
의대는 서울의대가 압도적이지만 공대는 카이 포공이 서울공대보다 좋은부분도 많은데
왜 다들 서울대에 환상을 갖는지 모르겠네
자연대는 서울대가 장점이 크지만 공대는 설카포 다 비슷
2025.06.28
글쓴이야.. k와 나머지 ist는 갈라서 생각해보자. k에 대한 설명은 맞지만, 나머지 ist들은 슈퍼괴수대전에 불과할껄..?
대댓글 1개
2025.07.05
교수가 대학원생 뺨 때려서 뉴스 나온 K가 할 말은 아니야
2025.06.28
맞음 ist가 연구시설이 좋음 나는 유니 다녔는데 타대학은 실험실을 파티션으로 공간 분리해놓고 연구실로도 같이 쓰는 곳들 많대서 놀랐음 과기원이 연구 장비, 시설, 지원 다 웬만한 곳보다 좋은듯
2025.07.03
ist가 아웃풋은 몰라도 연구환경은 진짜 좋음 일단 연구활동 공간부터 다른데는 진짜 닭장같다는 말이 나오는데 ist는 널찍해서 연구할맛 남
2025.06.27
대댓글 1개
2025.06.30
2025.06.26
2025.06.26
대댓글 1개
2025.06.26
2025.06.26
대댓글 14개
2025.06.26
2025.06.26
2025.06.26
2025.06.26
2025.06.26
2025.06.26
2025.06.26
2025.06.26
2025.06.26
2025.06.27
2025.06.27
2025.06.27
2025.07.05
2025.07.19
2025.06.26
2025.06.26
2025.06.27
대댓글 1개
2025.06.30
2025.06.27
2025.06.27
대댓글 1개
2025.06.30
2025.06.28
대댓글 1개
2025.07.05
2025.06.28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