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신생랩은 웬만하면 피해야하는 이유가 제가 아는게 맞나요?

2025.06.03

16

4782

대학원 컨택 중인데 관심 있는 분야는 거의 다 신생이더라구요.
제가 들었던 신생랩(랩실 초기세팅이 안되어있는 경우, 대개 석박 졸업생이 없는 경우)을 가면 안된단 이유는
1. 과제비 수주가 어려워서 연구가 힘들다
2, 교수님이 신임이시다보니 학계에서 연을 만들기 위해 이리저리 다니시는 경우가 많다(지도 해주실 시간이 적어짐)
3, 인간적으로서 어떤 사람일 지 알 수 없다.
4, 지도교수님 개인의 역량을 알 수 없다.
이렇게였는데, 신생랩 가기 전에는 저 요소들 정도 고민해본 다음 가면 될까요?
제가 관심 있는 분야가 드라이랩이긴한데, 과제 장비가 매우 비싼 분야여서 걱정이 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6.03

BEST 지도 해주실 시간은 많으심

대댓글 1개

2025.06.03

아 그렇군요!
학교에 친한 교수님께서 신임이신데 많이 바쁘셔서 그게 일반적인줄 착각했네용..!

2025.06.03

지도 해주실 시간은 많으심

대댓글 1개

2025.06.03

아 그렇군요!
학교에 친한 교수님께서 신임이신데 많이 바쁘셔서 그게 일반적인줄 착각했네용..!

2025.06.03

ㅇㅇ

2025.06.03

중요한걸 빼먹었는데, 랩의 체계나 파이프라인이 안잡혀있어서 모든게 주먹구구식이니 본인이 그걸 구축하는 역할을 해야하고, 교수는 아무래도 바쁘니 세부적인 내용은 선배에게 밀착지도를 받아야 하는데 그런 역할을 해 줄 사람이 없는 문제도 있죠

대댓글 2개

2025.06.03

보통 몇년차까지 신임으로 보나요?
제가 생각하는 신임 교수님의 기준인 1기 박사가 나오지 않은 랩실/박사 과정이 없는 랩실이긴한데, 사람들마다 기준이 상이하더라구요

2025.06.03

뭐.. 제가 어떻게 보느냐가 중요하지는 않습니다만 2년 이상 차이나는 선배가 있다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2025.06.03

부임하시고 3-4년 이후로는 자리 잡으심

2025.06.03

사실 교수님의 연구의지만 있다면 지도 받는데는 문제 없을껍니다.

다만, 모두가 동기이기에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는 엄청 날 수 있습니다......
저도 알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2025.06.03

실험 장비가 없는 경우도 허다함

2025.06.03

3이 가장 크리티컬함
실험랩은 사수 없는 문제도 크고...

2025.06.03

그냥 중소기업들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체계가 없고, 내가 하는 일이 체계가 될 순 있는데 결국 다 내가 할 일이다..생각하시면 돼요

2025.06.04

저는 신생랩 출신인데 나름 괜찮았어요.
솔직히 실험이야 대학원 나온 사람들 대부분 잘 하죠
근데, 그 실험을 셋업하고 장비 셋업하는 역량이 부족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 관점에서 많이 힘든 부분도 있었지만, 보람도 느끼고 저는 좋았어요

2025.06.04

연구 실적에서 매우 큰 부분이 시스템에서 나올 수도 있음.
(실험실 생긴지 어느정도 되었다면, 최근 선배 졸업생의 평균정도의 연구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봄)
아직 셋업도 안되어 있고, 실험할 여건도 덜 되어 있는 상황이고, 대부분의 노력을 실험실 셋업에 투자해야할 수도 있음.

직접 시행착오를 다 겪을 가능성도 높음.
문득 돌아보니, 초기에 학생들의 논문 양과 수준은 많이 낮았었음. (좋은 실적도 있었으나, 그 실적은 전적대학에서 연구하던 것을 정리하는 것이라 학생들 참여가 제한적이었음.)
좋은 점은 좋소기업처럼 이것저것 다 하다보니, 다양한 경험은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음.(논문처럼 눈에 보이지 않아서 이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아쉬울 수 있음.)

2025.06.04

3년 정도는 연구실 구성하느라 좀 힘듦. 근데 뭐 그 이후로는 괜찮음. 오히려 지도를 많이 해주려고 하시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임.

2025.06.04

하지만 그 모든 경험과 실적이 탐난다면 가야지

2025.06.05

신생랩 출신으로서 느끼는 최대의 단점은 선배의 부재임. 별 사소한 것들까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고 교수님이 꼼꼼하게 챙겨주는 스타일이 아닌 경우 방황하기 십상임. 대신 반대로 최대한의 자유가 주어지고 살아남을 경우 독립연구자로서 확실하게 성장은 가능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