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논문 투고 후 Major Revisions를 받았는데, Withdraw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2025.05.29
10
5457
안녕하세요.
이번 학기부터 박사과정을 시작한 학생입니다.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하여 해외 저널에 투고했는데, 투고 후 저자 정보를 추가하고 펀딩 내용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투고 직후 저널 측에 메일을 보내 철회를 요청했지만, 답변이 없어 철회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방금 Major Revisions 메일을 받았습니다.
현재 단계에서 저자 정보나 펀딩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지, 아니면 에디터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철회를 요청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비슷한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나 조언을 주실 수 있는 분들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5.29
BEST그런거 고치라고 Revision이 있는겁니다. 1. 논문의 핵심 내용이 리뷰어의 의견 말고 잘못된 부분이 발견되어 고쳐야 함 -> 리비전 답변서에 해당 내용 왜 바꿔야 하는지 논리적으로 적고 고쳐서 에디터와 리뷰어에게 다시 검토(리비전 답변서 보낼때) 2. 펀딩, 저자 소속 정보 수정 -> 리비전때 그냥 수정해서 보내고 커버레터에 언급하거나 에디터 코멘트에 이유 설명하면 됨 3. 저자 추가/삭제 -> 저널by저널인데 이 문제는 좀 민감해서 모든 공저자의 동의서를 받아서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그리고 합당한 이유도.
대댓글 4개
2025.05.29
보통 철회할 필요까진 없구요, 저자 추가에 동의서가 필요한건 저널 가이드라인에 한번 잘 찾아보세요. 보통 언급되어 있음. 그냥 간단히 모든 저자가 동의했다는 증거만 같이 제출하면 됨. 예시로, 보통 단독 1저자 논문에서 2저자 기여율이 큰 상태였는데, 사정 상 리비전등을 2저자가 모두 다 하면서 리비전 후 2저자가 공동1저자 (second)로 올라가는 경우는 흔함.
2025.05.30
댓글 감사합니다. 저자같은 경우는 2명이 더 추가되는데, 두명 다 기관분들이시고 공동저자로 들어가는거라 킄 사유는 없습니다. 이분들이 들어와야 펀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2025.05.30
원칙상으로는 펀딩이 들어간다는게 정말 이 연구할 때 그 사사 기관의 지원을 받았냐 여분데, 보통 뒤에 추가되는 경우는 실적이나 다른 기타 이유로 추가 되는거겠죠..? 저자도 그렇구요. 사실상 윤리에 어긋나긴 한데.. 원래 연구란게 A 기관의 지원 -> a연구 결과도출 및 논문 딱 이렇게 1:1 매칭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추가해도 큰 문제 없습니다. 사사를 넣음으로써 게재비 충당이 되고, 그 연구 주제와 그 기관이 수행하는 연구가 결만 같다면 문제 없죠. 저자도 Project administration 이라는게 있으니 문제 없을 듯요. 다만 사유를 좀 그럴듯이 적어야 할 거 같아요. 기존에 이 사사 기관의 펀딩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누락됬다 라던지, 리비전 및 추가 실험에 도움을 주었다 등등. 근데 높은 확률로 시비걸릴일은 없을겁니다
2025.05.30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5.05.29
그런거 고치라고 Revision이 있는겁니다. 1. 논문의 핵심 내용이 리뷰어의 의견 말고 잘못된 부분이 발견되어 고쳐야 함 -> 리비전 답변서에 해당 내용 왜 바꿔야 하는지 논리적으로 적고 고쳐서 에디터와 리뷰어에게 다시 검토(리비전 답변서 보낼때) 2. 펀딩, 저자 소속 정보 수정 -> 리비전때 그냥 수정해서 보내고 커버레터에 언급하거나 에디터 코멘트에 이유 설명하면 됨 3. 저자 추가/삭제 -> 저널by저널인데 이 문제는 좀 민감해서 모든 공저자의 동의서를 받아서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그리고 합당한 이유도.
대댓글 4개
2025.05.29
보통 철회할 필요까진 없구요, 저자 추가에 동의서가 필요한건 저널 가이드라인에 한번 잘 찾아보세요. 보통 언급되어 있음. 그냥 간단히 모든 저자가 동의했다는 증거만 같이 제출하면 됨. 예시로, 보통 단독 1저자 논문에서 2저자 기여율이 큰 상태였는데, 사정 상 리비전등을 2저자가 모두 다 하면서 리비전 후 2저자가 공동1저자 (second)로 올라가는 경우는 흔함.
2025.05.30
댓글 감사합니다. 저자같은 경우는 2명이 더 추가되는데, 두명 다 기관분들이시고 공동저자로 들어가는거라 킄 사유는 없습니다. 이분들이 들어와야 펀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2025.05.30
원칙상으로는 펀딩이 들어간다는게 정말 이 연구할 때 그 사사 기관의 지원을 받았냐 여분데, 보통 뒤에 추가되는 경우는 실적이나 다른 기타 이유로 추가 되는거겠죠..? 저자도 그렇구요. 사실상 윤리에 어긋나긴 한데.. 원래 연구란게 A 기관의 지원 -> a연구 결과도출 및 논문 딱 이렇게 1:1 매칭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추가해도 큰 문제 없습니다. 사사를 넣음으로써 게재비 충당이 되고, 그 연구 주제와 그 기관이 수행하는 연구가 결만 같다면 문제 없죠. 저자도 Project administration 이라는게 있으니 문제 없을 듯요. 다만 사유를 좀 그럴듯이 적어야 할 거 같아요. 기존에 이 사사 기관의 펀딩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누락됬다 라던지, 리비전 및 추가 실험에 도움을 주었다 등등. 근데 높은 확률로 시비걸릴일은 없을겁니다
2025.05.30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5.05.30
펀딩이야 나중에 수정해도 되는 부분인데 저자 추가 부분은 되려나요?.. 저널 by 저널일 것 같습니다.
2025.05.30
철회를 왜 요청하죠? 그냥 리비전 때 수정하시면 됩니다. 에디터가 진짜 철회할까봐 걱정이네요 ㅋㅋ
2025.05.30
리비전으로 실험을 추가로 하게 되면 추가실험한 사람을 저자로 넣기도 합니다. 펀딩도 마찬가지. 리비전 해서 제출할 때 그냥 추가해서 넣으면 됩니다. 왜 추가하냐고 묻지도 않습니다 보통은
2025.05.30
리비전할때 저자 수정 가능합니다. 저널 따라서 기존 저자들의 확인을 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에디터나 저널에 문의해보세요
2025.05.29
대댓글 4개
2025.05.29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29
대댓글 4개
2025.05.29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