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석사과정동안 석박 졸업 요건을 이미 다 채웠다면

2025.05.11

21

4887

석사 2년동안 석박 졸업 요건을 다 채웠다면 (수료+ sci급 2-3편), 그냥 그 실적대로 석사 졸업하는게 더 좋을까요 아님 석박으로 3.5-4년 (1.5-2년 더 하는거죠) 만에 졸업하는게 좋을까요?
학계에 남을건 아니라 회사에선 어떤 경우를 더 좋게 보나요? 석사인데 이미 실적이 좋은 인재와 빠른 박사 졸업으로 우수한 실적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5.05.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BEST 졸업요건은 최소 요건임을 명심해야함. 요건 채웠다고 자동 졸업되는게 아님. 졸업은 전적으로 지도교수 판단 하에 할 수 있는거임. 사이언스지에 논문냈어도 교수가 허락 안 하면 졸업 못함.

2025.05.11

박사 과정 중에 accepted 혹은 published 된 실적에 대해서만 요구 조건 만족하는거 아님?

석사 동안 Nature에 논문 냈어도, 박사 과정 중에 낸게 아니면 실적으로 인정 안될텐데요...


지금 기세를 몰아서 박사 동안 동등 이상의 실적을 내는게 중요하지, 석사 과정 중에 좋은 논문 냈다고 박사 과정에 놀면 안돼요.
그럼 의미 없어요. 논문 게재 날짜와 박사 졸업 날짜 비교해보면 답이 다 나오니까요.

대댓글 2개

2025.05.11

석사 하면서 중간에 석박통합으로 전환하면 석사 따로 박사 따로가 아니니까 실적 인정되는거 아닌가요? 말씀하신대로 인정 안되는지 확인 해보겠습니다! 물론 석박 전환하면 그 추가되는 1-2년 동안의 더 실적 올리긴 해야죠

2025.05.11

중간에 전환하면 안 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석박 통합 전환 이후에 출판된다면야 문제될게 있나 싶네요.

그리고 작성자님이 놀 예정이라고 쓴게 아닌데 제가 다소 건방지게 댓글 달았네요 ^^; 미안합니다.

혹시 모르니 학교 대학원 졸업 담당자에게 꼭 물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2025.05.11

뭔소리인지 잘 모르겠어요 석사 코스윅이랑 석박 코스윅이 다른데 졸업요건을 채웠다곤 못하죠
석사에요 석박이에요? 무슨 과정이에요?
석박인데 석사 수료 조건을 채웠다는 거죠?

대댓글 1개

2025.05.11

아 죄송합니다 다시 읽어보니 헷갈리게 써놨네요. 현재는 석사인데 석사과정 동안 석박 과정의 졸업 실적 요건을 채우면!을 얘기했던 것이었습니다. Sci급 2-3편을 석사 2년 동안 채우면 그대로 졸업하는게 더 나을지 아님 그 실적으로 가지고 논문 한두개만 더 쓰고 수료요건 (예: 학점)을 채우고 교수님이랑 협의됐으면 빠르게 석박 졸업이 나을지가 궁금합니다

2025.05.11

취직은 지금 안해도 언제든 할수 있지만 박사는 지금 안하면 처음부터 다시 하기 힘들꺼임. 그걸 고려하는게 좋을듯.

대댓글 2개

2025.05.11

그래서 고민입니다 ㅜㅜ 나중에 따로 박사하려면 최소 4년인데…

2025.05.11

석사때 실적이 잘나오면 박사까지 모멘텀 끌고가서 대단한 박사가 될수있음.
대단한 박사가 주는 이점은 엄청남

2025.05.11

석박 3.5~4년만에 졸업 가능하긴해요?

2025.05.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졸업요건은 최소 요건임을 명심해야함. 요건 채웠다고 자동 졸업되는게 아님. 졸업은 전적으로 지도교수 판단 하에 할 수 있는거임. 사이언스지에 논문냈어도 교수가 허락 안 하면 졸업 못함.

2025.05.11

석사 2년동안 sci 2-3편이 가능한 실적인가?
저거 다 1저자임?

2025.05.11

취업을 목표로 했으면 석박 통합으로 졸업이 더 좋아보입니다. 2-3편 다 1저자라는 가정하에 우선 손에 쥐고 있는 실적이 있으니 마음이야 여유로울거고 석사때 1저자 3편 쓸 정도면 지도교수도 잘하는 학생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불편함도 없을거고 +2년 정도 더 해서 논문 1저자로 몇편 더 쓰고 졸업하는걸로 하면 실험실에도 좋고 본인한테도 더 괜찮아보입니다.

저도 비슷한 케이스인데 저는 학계에 남고싶어서 유학 선택했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5.12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어떠한 더 구체적인 이유로 산업군을 목표로 했으면 석박 통합으러의 졸업이 더 좋아보인다고 하신걸까요?

2025.05.12

간단하게 석사졸은 사원부터 시작하고 박사졸은 과장급부터 시작하는 걸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희 교수님 얘기를 인용하자면 석사와 박사의 차이는 남들이 시키는 일만 하냐 아니면 내가 시키는 사람이 돼서 책임지는 일을 할 수 있냐의 차이라고 하셨습니다. 물론 사람 성향이 다 달라서 책임지는 것을 매우 부담스러워 하는 사람도 있고 내가 리드해서 좀 더 위로 올라가고 싶은 상승욕이 강한 사람이 있듯이 본인 성향이 후자라면 박사졸이 조금 더 기회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석사졸도 능력 좋으면 나중에 다 할 수 있고 박사졸도 능력 안좋으면 석사졸만 못하겠지만 처음에 산업군에 투입되었을때 기본적으로 가지는 기대감과 주어지는 역할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2025.05.11

교수님과 충분히 논의하고 조건이 괜찮다면 석박 전환 추천합니다!
물론 석박 전환 가능 여부가 석사 몇학기인지 따라, 기타 조건 따라 다르므로 꼭 확인 해보시구요.
잘 하시는 분이니 알아서 잘 챙기시기겠지만, 하나만 강조하고 싶은게 박사는 석사와는 좀 결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논문화로 이어지는 "실적" 개념으로는 불충분할 수있고, 본인이 어떤 분야로 전문성을 채우는 중에 생기는 결과를 논문화하여 학계에 보고하여 contribute를 하겠다는 마음이면 좋을 것 같네요! 그게 자연스레 내 실적이 되는것이구요.
특히, 내가 졸업 요건 채웠다고 교수님이 흔쾌히 졸업을 시켜주실지 꼭 시뮬레이션 돌리시구요. 좋은 지도 교수님 만나신거면 크게 걱정할 것은 아니지만, "빠른 졸업"에 조건이나 추가 책임을 무는 교수님도 계시니 잘 얘기해보시고 고민해보십시오!

2025.05.11

설레발 쳤다가 교수님이 괘씸히보고 형평성을 위해 풀타임급 채우게하고 졸업시킬 수도 있으니 협의 잘 보시길. 회사에서 석사와 박사는 승진제한 요건이기도 함. 아무리 잘하는 석사도 연구소의 경우 일정 직급 이상 못 올라가는 경우 많음.

2025.05.12

말 그대로 실적은 최소 요건. SCI 1편을 썼든 2-3편이든 이 내용들이 모두 어우러져 박사학위 논문을 작성할 수준이 되야함.
즉 그냥 프로젝트 참여한 내용으로 1저자 쓰고, 다른 사람 연구 많이 도와줘서 공동 1저자로 한편 내고 이렇게 2편 내면 학과나 학교에서 정한 박사졸업 최소 조건만 만족하는거임.
박사졸업하려면 박사할 만한 주제를 가지고 그 주제에 맞는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해야하는데, 보통 그 박사학위 논문이 SCI 2~3편 분량인거임 이공계에서는.
그러니까 보통 박사학위는 SCI 2, 3편쓰고 졸업하는거라고 하는거고. 꼭 그 박사학위 내용으로 2~3편이 publiced까지 안되도, 적어도 결과와 흐름이 다 나오고 박사학위논문 작성까지 가능한 수준이어야 하니까 지금 석사때 2편 잇다고해서 석박 전환하고 추가 2년안에 박사 받는다는 굉장히 어려울 것임

2025.05.12

실적이 박사를 만들지 않을텐데요, 그만한 인성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대댓글 2개

2025.05.12

갑자기 인성이요?

2025.05.14

ㅋ ㅋㅋㅋㅋㅋㅋㄱㅋ 이건 뭐임 ㅋㅋㅋㅋㅋ

2025.05.16

무조건 박사 ㄱㄱ 박사때 더 큰 실적 만들면 교수님이 빠르게 졸업시켜줄 수 있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