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진학 후 어느덧 3년 차 인공지능 관련 공부를 하고 있는데, 학부 전공 지식이 필요할 때가 최근 들어 좀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전 공부했던 학부 전공을 다시 보니 정말 아무것도 기억이 나지 않네요.
학부 전공이 제어 쪽이라 역학, 회로, 제어 관련한 공부를 정말 열심히 했었고, 졸업도 차석으로 했습니다.
그런데도 내가 이런 공부를 했었나 싶고, 대부분 A+을 받았던 과목들인데 스스로 정말 웃깁니다.
어찌 되었든 넋 놓고 바라볼 수 만은 없으니 차근차근 학부 과목을 다시 공부해보려 하는데, 공부해도 금방 다시 휘발 될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ㅎ..
저랑 비슷한 분 계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5.04
BEST당연합니다 석사생들도 학부전공 기억 안나는 경우도 다반사인데요 뭘.. 그래도 한번 공부했던건 다시 공부하면 금방 익혀지더라고요
2025.05.04
다똑같죠 뭐 공부한걸 잘 정리해서 틈틈히 꺼내봐야합니다
2025.05.04
다 그렇죠 ㅋㅋㅋ
2025.05.04
저40대 더심합니다.젊으시니힘내십쇼
2025.05.04
당연합니다 석사생들도 학부전공 기억 안나는 경우도 다반사인데요 뭘.. 그래도 한번 공부했던건 다시 공부하면 금방 익혀지더라고요
2025.05.04
당장 전년도 a+ 받은 과목도 기억 안납니다..
2025.05.04
요즘은 공부를 해서 머리속에 외우는 시대가 아닙니다. 지식을 관리하는 방식 자체가 꺼내쓰는 것으로 바뀜(gpt도 있고)
대댓글 3개
2025.05.04
하지만 기억해놓으면 훨씬 효율이 좋죠
2025.05.05
애초에 ai등장 이전의 학습 또한 암기 vs 이해의 차이는 있어왔고 이학은 암기를 거쳐 이해의 영역으로 깊게 다가갔는지가 중요했음. Gpt가 아무리 활성화된다해도 모든 분야에서 정보의 진실성을 검열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지금도 화두인 정도로 거짓정보가 아웃풋으로 많이 나오고 있음. 결론적으로 AI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암기 > 이해가 선행되어야하고 이걸 펀더멘탈이라 표현함
2025.05.14
뭐 저도 코스웍때 공부했던 것들은 머리 속에 들어있긴 합니다만.. 암기를 지향할 필요는 없고 이해가 더욱 중요한 것 같습니다
2025.05.05
전 강의하면서 정리도 새롭게 느끼는 것도 있읍니다. 뇌 어느 구석에 있을 지식을 꺼내 먹는 느낌~~ ㅎㅎ
2025.05.05
코딩 실력은 연차가 쌓일수록 늘지만, 갈수록 구글 서치와 GPT 도움 없이는 완성된 코드를 짤 수 없는 이 딜레마..
2025.05.06
그걸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죠 ㅎㅎ 다만 한 번 배웠던 건 다시 찾아보면 금방 다시 숙지할 수 있죠~ 라고 하지만 가끔은 아예 새하얀 상태일 때도 있긴 해요 ㅋㅋㅋㅋ
2025.05.10
예전 젊을때는 고딩때 배운것도 기억나고 그랬는데. 이제 나이를 먹으니 기억도 안나고. 요즘 챗gpt가 설명 잘해주더라고요. 수학이나 물리문제 증명도 잘해주고. 내가 굳이 이것저것 안찾아봐도 과정을 보여주니 신기하기도 하고. 먼미래에는 챗gpt가 우리두뇌에 이식되지않을까 상상해보기도 하네요.
2025.05.04
2025.05.04
2025.05.04
2025.05.04
2025.05.04
2025.05.04
2025.05.04
대댓글 3개
2025.05.04
2025.05.05
2025.05.14
2025.05.05
2025.05.05
2025.05.06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