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신임교수님 학부연구생

2025.03.31

13

2726

연고대로 편입한 후 진로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 없어 신임교수님인 지도교수님과 면담을 했습니다.

제가 이러이러한 분야의 연구원으로 나중에 일을 하고 싶은데 지금 뭘 해야할지 모르겠다고 하니 학부연구생을 해봐라고 하시더라구요.
본인 연구실을 말씀하신 것은 아니고 여러 연구실 보고 고르기 어렵거나 컨택이 잘 안되면 본인 연구실로 와라고 해주셨습니다.

지금쯤이면 대부분의 학부연구생 모집은 끝났을 것 같아서 제가 생각하는 분야와는 다르지만 지도교수님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실을 해보면서 연구 프로세스 정도만 이해하는 것을 고려 중이긴 합니다만…(군대 때문에 아마 한 학기만 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신임 교수님이다 보니 아직 연구실 시스템도 잘 안꾸며졌지 않았을까 걱정도 되고 후기도 없다보니 많이 망설여집니다.

열유체 쪽으로 진로를 잡고 싶긴한데 열역학을 안한지 너무 오랜시간이 지나서 다 까먹었기 때문에 열유체 관련 연구실에 컨택을 하는 것도 좀 부담스러운 마음이 있습니다. 원래는 열역학을 다 까먹어서 군대에서 공부하고 온 다음 그쪽 학연생을 할려고 계획을 했었거든요.

지금은 지도교수님 연구실의 학부연구생을 지원해보는게 최선이겠죠? 많이 혼란스럽고 고민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4.01

한 학기만 하고 그만두면 개민폐인데 ㅋㅋㅋ

대댓글 1개

2025.04.01

제 사정은 지도교수님께 설명을 드렸는데 한학기만이라도 하고 군대를 가라고 하셨습니다
만약 지도교수님 연구실로 간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걱정할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2025.04.01

연대구만 고려대 열유체 신입 교수 없던걸로 기억하는데

대댓글 3개

2025.04.01

제가 조금 헷갈리게 썼네요...
제가 원하는 분야는 열유체이지만 관련 지식이 아직 부족하다고 생각해 관련 연구실로 컨택하기는 스스로가 부담스럽고, 지도교수님 연구실로 가자니 신임교수님이시고 한학기 만에 많이 배울 수 있을지 고민된다는 뜻이았습니다!

2025.04.01

지도교수님 랩은 열유체와 전혀 관련 없습니다

2025.04.01

근데 열유체를 하고싶으면 열유체를 하는게 맞음.

4대역학 몰라도 됨 어짜피 처음부터 다다시 배워야함.

열유체 랩실 컨택을 하고 사수 분들 지도 받으면서 공부하는게 맞음.

이번학기 열유체 관련 수업을 듣는다면 a+맞고 그걸로 해당과목 교수 한테 컨텍하는게 제일 좋아보임.

2025.04.01

결론적으로 신임 교수님 랩에서 한 학기 정도 경험 쌓는 것도 나쁘지 않음 어차피 지금은 리서치 프로세스 이해랑 연구 분위기 익히는 게 중요함 열유체 쪽 베이스가 부족하면 괜히 무리하게 컨택하는 것보다 일단 지도교수님 랩에서 기본적인 연구 경험 쌓고 군대에서 열역학 복습 후에 원하는 분야 랩 제대로 컨택하는 게 현실적임 솔직히 신임 교수님 랩 시스템이 미흡할 수도 있지만 결국 본인이 연구 과정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배우느냐가 더 중요함

2025.04.01

학부연구생이면 연구 프로세스나 논문 읽는 법 정도 배우는 거라서 본인 관심분야랑 완전 안맞아도 경험상 도움 많이 됨. 신임교수님이면 오히려 교수님이랑 소통도 편하고 이것저것 시도해볼 기회도 많아서 괜찮을듯. 군대 가기 전에 부담없이 해봐도 좋을 것 같음.

2025.04.02

일단 해보는거죠 뭐

2025.04.02

너 지금 고민이 많은 것 같은데 신임 교수님 연구실에서 시스템 만들어가는 과정 보는 것도 나름 의미 있을 수 있어
한 학기라면 오히려 부담없이 연구 분위기 파악만 한다는 생각으로 가볍게 해봐도 괜찮지 않을까 싶네

2025.04.03

열역학실험실>신임교수님실험실>>>>>>>아무것도 안하기

어차피 학부생한테 큰 기대는 없음. 가고싶은 실험실 컨택 ㄱㄱ. 모집기간 끝났어도 이메일 보내보세요. 연구실입장에서는 그냥 '누가 관심있어서 온다고? 뭐 와보든가' 이런 느낌. 씹히면 그냥 신임교수님 실험실가면 그만이고 컨택했다고 손해본 거 없는거지.

'군대에서 배우고 더 잘 준비되면 컨택하겠다' --> 비효율적인 생각. 혼자서 군대에서 공부해서 배우는 것보다 실험실 들어가서 필요한것만 사수한텍 배우는게 10배는 빠름.

일단 뭐 무슨 연구든 해보면 연구라는 과정을 배울 수 있어서 좋음.

2025.04.05

일단 한 학기 뒤에 군대가는데 학연 받아주는 교수님은 극히 드물 것 같아요. 최선은 지금 말씀하신 지도교수님 학연일듯. 안하는 것보다는 배우는 게 훨씬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대댓글 1개

2025.04.05

높은 확률로 열정도 많으실 거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