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2저자가 공저자로서 의미가 큰가요?

2020.07.27

11

13964

학부 인턴 중 박사과정 중의 선배 연구 관련해서 연구참여하다가,


제가 도출한 그래프가 의미있어보여 선배님이 논문 목표로 코웍하고 싶으다셨습니다.


대신 제게 데이터를 써도되는지 질문을 주셨고, 앞으로 같이 코웍하면서 제겐 (2저자)가 들어갈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여기 연구실에 내년 입학예정이고, 논문 저자 개념이 익숙치않아 2저자의 역할에 대해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0.07.27

아니오

2020.07.27

장기적으론 큰 의미 없으나 단기적으론 의미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다들 1저자 논문 가지고 있는 상황에선 2저자는 참고 수준이나 되면 다행입니다만, 석박사 지원시기 다른사람들 아무것도 없을때 2저자 논문이라도 하나 있으면 플러스.

2020.07.27

분야마다 상황이 다릅니다. 어떤 쪽이신지 써주시면 아마 다른 분들이 말씀해주실 것 같아요.
Erik Satie*

2020.07.27

거의 의미 없지만 남들이 아예 논문이 없는 (학부생 등) 상황이라면 큰 플러스

2020.07.27

반도체 소재쪽입니다. 저도 어차피 선배님 아이디어 공유받으면서 했던터라 논문 2저자로 나오기만해도 감사할 것 같습니다

2020.07.27

아직 한 번도 논문저자 경험이 없다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어깨너머로 참여라도 해보는게 크거든요
Thomas Jefferson*

2020.07.27

대학원 입시에서 플러스 나머지는 무쓸모

2020.07.27

ㄴ사실 SPK 자대생이라 입시는 큰 상관없겠지만 기회니까 열심히해봐야겠죠

2020.07.28

저희 연구실에서 얘기하기로는 5저자더라도 본인 이름 들어간 논문수 늘어나는거라 회사갈때는 유리해진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조금이라도 기여하면(밥먹으면서 디스커션하다가 도움이 되는정도여도) 3,4,5저자라도 이름 넣어주는 분위기
참고로 spk중 하나
Oswald Avery*

2020.07.28

외부에서 보통 주저자 개수가 몇개냐가 크게 중요하겠지만,, 결과적으로 공저자도 본인의 이름이 들어간거는 맞죠..
구글 스칼라에서 Hindex나 총인용수도 사실상 공저자라도 많을수록 유리한 지표들이 있죠.
입시나 졸업후 임용이나 연구소 취직시에는 주저자개수가 중요하지만, 공저자라도 들어가서 조금씩 배워가는건 무조건 좋은 경험입니다.
저희도 URP나 개별연구하던 학생들이랑 실험하다가 괜찮은지표들있으면 웬만해서는 다들 이름 넣어줘요. 기여도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지금까지는 보통 3-4저자정도였음

2020.07.28

뭐든 없는 것보단 있는게 훨씬 나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