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랑 함께 논문 쓴 동기가 저와 동명이인입니다. 이번에 게재한 논문 기준으로 제가 주저자, 그 친구가 3저자입니다
나중에 기업에 이력서 지원할때 논문을 첨부할텐데, 기업 입장에서 동명이인이 있기 때문에 추후에 따로 제가 주저자인지 검증을 할까요? 한다면 어떤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07.27
어디냐에 따라 다르긴 한데, 논문 뒤에 사진이랑 이력 적는 곳도 있고, 보통 인터넷에 올릴 때 id 같은 거 연동 되니까 괜찮을 겁니다.
2022.07.27
논문 저자 부분에 이메일도 적지 않나요? 그것만 봐도 쉽게 확인 될 것 같은데요
2022.07.27
생각못해봤는데 예상치못한 일이긴하네요 ㅎㅎ 영어 이름까지 같으면 더더욱 곤란하겠어요.
논문뒤에 bio적는곳들도 있지만, 경험상 제분야에서는 Transaction 쪽 말고는 대다수가 제출했던일이 없던것같네요.
윗분말대로 논문 주저자에서 이메일적는것으로 어느정도 가능할수도있다고 보긴합니다.
2022.07.27
Orcid를 링크해두면 좋습니다
2022.07.27
동명이인, 개명 등의 이유로 개인의 실적취합이 힘들때 사용하는 것이 orcid 입니다. 그리고 원래 실적제출 할 때는 제출물이 거짓일 경우 뒷감당은 제출자 본인이 다 지는 걸로 하고 제출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될꺼 없습니다. 해당 경우에는 orcid가 없으면 직접 교신저자에게 컨택메일 보내는 방법 말고는 별다른 확인방법도 없네요. 본인이 주저자면 당당하게 주저자 표시해서 내시면 됩니다 . 걱정하실 필요가 전혀 없는 부분.
대댓글 1개
2022.07.27
첨부할 때 하이라이트나 밑줄 하시면 됩니다.
이 댓글처럼 뻔히 나와있는 논문 실적을 거짓으로 제출하면 어떤 직장이든 나중에라도 합격 취소되기 때문에, 그런 짓 하는 사람 없고 직장에서도 그런 부분을 걱정하지는 않습니다.
2022.07.27
Cv에 et al 하시면 안될려나..
2022.07.27
질문글과 무관한 내용이지만... 개인적으로 구글스콜라에서 모르는 동명이인분들과 혼자만의 싸움을 즐기는 편입니다. 제이름 검색했을때 맨위에 올라가고 싶은 욕구가 있네요. 질문자분은 검색할때마다 지인분이 나와서 왠지 더 자극받으실지도?
2022.07.27
2022.07.27
2022.07.27
2022.07.27
2022.07.27
대댓글 1개
2022.07.27
2022.07.27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