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S대 AI 박사학위로 캐나다 취업이 잘 될까요?

2023.04.16

8

681

5줄요약
1. 캐나다 취업에 있어
2. 토론토대 CS 박사학위가
3. 캐나다 박사유학이 의미하는 여러 개인적 걸림돌을 뛰어넘어서라도 가는 게 나을 만큼
4. S대 AI 박사학위에 비해 압도적으로 유리할까요?
5. 달리 말해, S대 AI 박사학위로 캐나다 취업에 어려움이 있을까요?

시작하기에 앞서 제가 잘 모르는 내용이 있다면 지적도 달게 받겠습니다.

본문
S대 AI 연구실에 컨택을 보낸 후 인턴중인데 장기적인 목표가 캐나다 취업이다보니 자꾸 토론토대 CS 박사 생각이 나네요.

하지만 토론토대 CS에 박사과정으로 입학할 수 있다고 해도 한국에 버리고 가야 할 것이 많아 지원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S대 교수님께서는 저를 무조건 합격시키겠다고 입시 걱정 마라는 식의 직접적인 메시지를 주신 적은 없지만 그래도 저를 좋게 보셔서 인턴을 시켜주시는 중이시고 (뭔가 입학 보장이 언급된적은 없어도 뉘앙스를 보아 기본 전제 느낌입니다), 그 외에도 여러 개인 사정 때문에 캐나다로 박사입학을 슝 떠나버리는게 여러모로 걸리는 점이 있긴 합니다.

또 제가 군 미필인지라 캐나다에서 박사졸업을 한 후에도 1. 한국 연구소에서 3년 근무하거나 2. 박사졸업자 자격으로 영주권을 취득하여 병역의무가 소멸할 37세까지 버텨야 합니다. 1번 선택지의 현실에 대해 제가 잘 모릅니다만, 그래도 모르는대로 나름 생각해보면 캐나다 취업 관점에서는 경력 단절이 아닌가 싶고, 2번은 얼마나 가능성이 있는 이야기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제 캐나다 박사유학을 망설여지게 만드는 요인들이 여러 군데에 포진해 있는데요, 이런 요인들을 다 감내하고도 유학을 떠날 만큼 토론토대 CS 박사학위가 S대 AI 박사학위에 비해 캐나다 취업에 큰 강점을 가질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눈치보는 마르틴 하이데거*

2023.04.16

당연하죠. 삼성전자에서 직원을 뽑는데, 필리핀 마닐라 대학교 출신이랑 서울대 출신이 있으면 그중에 누굴 뽑을까요?

대댓글 1개

2023.04.16

그쵸 ㅠㅠ 감사합니다!

2023.04.19

어떤 이유때문에 캐나다에서 취직하고 싶나요?

대댓글 5개

2023.04.19

우리나라 상황 때문에 떠나긴 해야겠는데 막연하게 미국보단 캐나다가 마음에 드네요. 잘 몰라서 그런 거일 수도 있지만요.

2023.04.19

말씀하신 대학이나 상황에 잘 알고 있습니다.

1. 토론토대 AI는 들어가기 많이 까다롭습니다 (특히 최근에 교수진들이 학생을 안 받고 있습니다). 캐나다에 장기적으로 살 생각이 있으시면, UBC, 맥길, MILA, 워털루까지 알아보는걸 추천합니다. 우선 이 학교들에 컨택/지원 해보세요.
2. 캐나다 AI 탑스쿨 졸업하면, 미국 취직 쉽게 합니다. 사실, 대부분의 졸업생들이 미국으로 가요. 미국에서 근무하면 연봉이 2배 넘게 차이납니다. 캐나다만에 또 좋은 점이 있지만, 중심이되는 연구나 일을 하고싶으면 미국으로 가는것이 맞습니다.
3. 군문제 해결하는게 좋을듯싶습니다. 군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우선 여권이 28살까지 나오고, 그 전에 졸업못하면 난감한 상황이 됩니다. 박사 중간에 영주권을 취득할수있는 방법은 거의 없고, 박사를 졸업해서 PGWP 또는 EE를 지원하면 프로세스가 최소한 1년 걸립니다. 캐나다에서 이민 프로세스가 굉장히 느리기 때문에, 딱히 방법이 없습니다. 28세전에 박사 졸업 + 영주권 취즉하는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4. 북미에 지원할때 캐나다 박사가 도움은 되겠죠. 근데 저는 대학원은 실적이 학교 네임밸류보다 더 중요하다고 봐요. S대면 좋은 대학이라고 생각하고, AI 분야면, 박사때 괜찮은 논문 많이 써서, 미국에 가고싶으면 NIW로 영주권 받고, 캐나다 가고싶으면 FSW로 영주권 받으면 됩니다. 실적이 깡패면 캐나다나 북미 지원하는데 애로 사항은 별로 없다고 봅니다.
5. 만약에 실적이 안좋거나 평균이하면, S대 박사졸로 북미 탑회사 취직이 어려울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박사 시작전이시라면, 이러한 motivation으로 열심히 좋은 논문 쓰시면되지않을까요?

2023.04.19

너무나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미 너무 많은 걸 알려주셔서 이 이상 답을 안 해주셔도 괜찮습니다만 몇 가지 더 올려놓기만 하겠습니다.
1. 토론토대 ECE Direct PhD도 들어가기 많이 까다로울까요?
2. 토론토대는 연구실을 학과에서 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말이 그런 것이지 그럼에도 연구실 컨택이 필요하고 컨택이 없으면 입시에서 많이 불리해지나요?
3. 여권 기한 내에 박사학위를 마치고 영주권 취득까지 성공하는 것은 힘들 것이라는 말씀에 공감합니다만 그때 발생하는 난감한 상황이라는 것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강제 귀국이라는 말을 많이 보았는데 찾아봐도 원하는 정보를 얻기가 어렵네요. 여권이 만료되면 비자를 연장할 수 없어 불법체류자가 되어 학위과정을 중단하고 한국에 귀국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인가요..?
4. 토론토대 AI 석사과정으로 들어가서 2년정도 공부하다가 박사과정도 합격하면 다시 해외여행 허가 및 여권 연장을 해줄까요? 그런 식으로 박사과정에 들어가서 박사과정 초창기때 석사 졸업자 자격으로 Master's Graduate Stream을 통한 영주권 취득에 성공하면 3번의 난감한 상황을 피할 수 있을까 해서요. 그게 얼마나 가능한 일인지도 사실 잘 모르지만요;;

2023.04.19

1. 공대는 시스템이 너무 달라서 잘 모르겠네요. 관심있는 교수한테 미리 컨택해보세요.
2. 캐나다에서는 교수가 원하는 학생 대부분의 경우 뽑을수있습니다. 컨택해보면 유리할수있죠. 그리고 올해 학생 뽑을지 안뽑을지 물어보면 미리 마음 정리할수있습니다.
3. 네 불법체류자가 되서 한국에 귀국해야만 하는 상황이고, 한국에서도 병역기피로 처벌받을수있고, 다시 캐나다/미국 입국한다고 할때도 불법체류자로 낙인이있으면 비자 받기 어렸습니다. 학교에서도 비자 상태 지속적으로 체크하기때문에 불법체류자로 학교 다니는것은 비자 위조하는거 아니면 불가능합니다.
4. 네, 가능합니다 (위에 거의 불가능이라고 쓴 이유가 방법은 있습니다). 근데, 캐나다에서 외국인 박사는 현지인하고 학비가 같지만, 석사는 현지인보다 학비가 몇배 비쌉니다. 교수입장에서는 외국인 석사 뽑으면 캐나다인 석사 2~3명 뽑는거하고 비용이 같기때문에, 외국인 석사는 정말 특출나지 않으면 힘듭니다 (예를 들어, 학부때 탑티어 1저자 3개 이상). 오고싶으시면 군문제 해결하고 오시는게 제일 깔끔합니다.

2023.04.19

그렇군요... 또 한 번 큰 도움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컨택할 토론토대 교수님께 석사 비용을 지원받지 않겠다고(혹은 외국인 추가분을 자가 부담하겠다고) 밝힐 수 있는지, 그렇게 밝힌다면 그나마 입시에 더 유리해지는지도 여쭈어볼 수 있을까요? 석사 기간동안 부모님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요. 그리고 다시 한 번 그동안 많은 답변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