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 주변 지인들의 권유로 뒤늦게 미국 유학을 고민중인 SSH 물리학과 학생입니다. 올해부터 3학년 1학기 들어가고 과 수석입니다. 아직 병역문제는 해결하지 못했구요. 다이렉트 미박을 목표로 삼고 있는데 뒤늦게 관심을 갖고 조사해보니 준비할 것이 많아서 막막하네요.
1. 학부 인턴 문제 제 관심 분야가 응집물질물리 쪽인데 아직 2학년 수업만 들어서 배경지식이 부족하다보니 관심분야의 자대 랩에서 인턴을 지원하기 망설여집니다. 다이렉트 미박을 지원할 때 연구 경험이나 논문이 있다면 좋다고 들었는데 응집물질물리 쪽은 아무래도 학부생 때 논문이나 실적을 내기는 어렵겠죠? 배경지식이 부족해도 일단 문의라도 해보는 게 좋을까요?
2. 성공 가능성 개인적으로 학부에 콤플렉스가 조금 있습니다. SSH 학부에서 과 수석을 하면 어느 정도 랭킹의 랩까지 노려볼 수 있을까요? 학부 때 연구 실적이 있고 없고에 따라 지원 스펙트럼에 어느정도 차이가 날지도 궁금합니다. 일단 top 10~ 20 이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병역 문제 3학년 1학기 여름방학에 공군으로 지원해서 토플이나 GRE 공부를 하고 올 계획입니다. 근데 주변에서 다이렉트 미박 따고 와서 전문연을 하라는 얘기도 있는데 역시 다녀오는 편이 낫겠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덤덤한 우장춘*
2023.02.16
1. 관심분야인데 배경지식이 없어서 인턴하기 망설여진다는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관심분야면 스스로 공부해서 잘 알아야하고 연구도 하고싶은게 정상이겠지요. 용기를 내시고 인턴이든 뭐든 닥치는대로 하세요. 무조건 연구경험은 많을수록 좋습니다. 대학원은 연구하러 가는 곳이고, 모든 서류와 면접에서도 연구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2. GPA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지만, 합격을 보장해줄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학벌... 서성한이든 서울대든 미국 대학입장에선 똑같습니다. 어차피 들어본 적도 없을 겁니다.
3. 병역문제를 빨리 해결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대댓글 5개
언짢은 리처드 파인만*
2023.02.16
아닙니다. 서성한이랑 서울대와는 하늘과 땅차이입니다. 서울대 물천에서 1,2등 하고 실험 물리랩 연구 경험 좀 있으면 top 3 합격 거의 보장받습니다.
덤덤한 우장춘*
2023.02.16
MIT 학부생도 자대 박사과정에 떨어지는데 서울대 출신이 탑3을 보장받는다구요? 그리고 탑3은 Caltech, MIT, Harvard, Stanford, Princeton, Berkeley 중 어딜 말씀하시는지...
언짢은 리처드 파인만*
2023.02.16
그래서 서울대 1,2등이라고 말씀드렸잖습니까. 당연히 MIT 꼴지보단 서울대 1등이 공부를 잘하겠죠. 그리고 미국은 원래 자대 대학원 잘 안가는 분위기인거 아시죠?
덤덤한 우장춘*
2023.02.17
??????? 희한한...
2023.02.20
미국에서 설카모른다고 무지성 내려치기 많이 하던데, 한국인을 한번이라도 받아본 PI라면 대부분 그 학생들 설카출신이라 모를리가 없습니다. 특히나 학회등 연구 네트워크에 한국인 껴있으면 또 대부분 설카포라... 물론 대학원생끼리는 모를수 있는거 맞습니다
언짢은 리처드 파인만*
2023.02.16
1. 연구경험이나 논문은 '있으면 좋은'게 아니라 필수입니다. 배경지식은 지금부터 쌓으세요. 제 주변에는 학부 2,3학년때 고체/핵입자/광학 및 양자장론까지 들으면서 연구 시작하는 애들이 매우 많았습니다. 학부생때 논문 쓰기는 운의 영역이지만, 그렇게 어렵진 않습니다.
2. Top 20은 확실히 가능합니다. Top 10 부터는 조금 빡셉니다. Top 5에는 여태까지 ssh 출신을 본적이 없습니다.
3. 미박 후 국내 전문연은 비범한 엘리트들이나 그렇게 하는거고 (심지어 그런 사람들한테도 좋은 커리어는 아닙니다), 평범한 사람들은 그냥 학부때 다녀오는게 최고입니다.
대댓글 6개
2023.02.16
MIT에 SSH출신 수두룩합니다
2023.02.17
자세한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고체물리 과목이 4학년 과목이다보니 다소 망설여졌는데 일단 교수님께 문의부터 드려봐야겠네요. 내심 포기할까 고민 중이었는데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 답변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언짢은 리처드 파인만*
2023.02.17
ㄴㄴ MIT 물리학과에 아는 지인 꽤 있는데 미국 학부 출신 제하면 S 70%, KP 30%입니다..
2023.02.17
제가 mit에 있는데 물리학과는 아니지만 제가 직접 아는 ssh만 3명 있습니다. 포닥 말고 대학원생이요
언짢은 리처드 파인만*
2023.02.17
ㄴ 원래 공대는 들어가기 쉽습니다.. 그리고 공대 박사과정에 있는 한국인만 100명 넘을 겁니다.
2023.02.19
SSH 물리과 출신입니다. 제 주변 학번에서 유학간 선후배 동기는 대부분 Top 10-20 사이고 Top 5는 없습니다. Top10-20 간 사람들이 상위권이긴, 하지만 꼭 과수석은 아닙니다. 과수석들은 다 뭐에 홀렸는지 자대에 남아서... ㅎ
만만한 존 필즈*
2023.02.16
1. 지원 하지 말라고하면 지원 안합니까..? 연구경험은 어디서든 환영받고 빨리할수록 좋음
2. 어차피 해외에서 보면 설카포 정도 아니면 모릅니다. (카포도 모르는경우 많았음) 이후부터는 자기소개서 등 싸움임 국박이면 모를까 해박지원이면 컴플렉스 느낄시간에 연구경험해서 어필할 생각을 하길
3. 해박 후 전문연은 경쟁자가 해박 엘리트 혹은 국박 엘리트임 SSH과수석도 열심히 하긴 했으나, 해박하고 돌아와서 전문연이면 포닥정도의 느낌으로 연구소가는게 최고인데 글쓴이가 어느정도로 경쟁력이 있을진 솔직히 의문임. 삐끗하면 현역입대임
2023.02.16
대댓글 5개
2023.02.16
2023.02.16
2023.02.16
2023.02.17
2023.02.20
2023.02.16
대댓글 6개
2023.02.16
2023.02.17
2023.02.17
2023.02.17
2023.02.17
2023.02.19
2023.02.16
20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