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분야(공과계열) 선배들 보면 최상위 랩실있다가도 저런곳 많이 가던데 실제 미국내 인식이나 학계에서도 어떤지 궁금하네요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12.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에서 교수하실거면 rutgers, utah를 가는게 spk보다 당연히 훨 유리하죠. 한국에서 교수하고 싶더라도 rutgers, utah를 가는 건 좋은 옵션입니다. 최소한 spk에서 배우는 거랑은 다른 기술/학문/관점을 배울 수 있으니까요. 솔직히 장기적으로는 인구절벽때문에 한국 대학이 문 닫거나 정원 줄이는 곳 많아질텐데, 굳이 한국 대학교수 자리 바라보고 spk가는 건 좀 아니지 않나 싶어요.
대댓글 2개
순수한 요하네스 케플러작성자*
2022.12.16
아직 잘 몰라서 선배들이 좀 덜유명한 미국대학까지 왜 가나 해서 물어봤었습니다...! 역시 유학이 좋긴하나보네요..
답변감사드립니다.
IF : 2
2022.12.30
한국에 올 경우는 spk가 유리할 듯 합니다.
체한 쇠렌 키르케고르*
2022.12.16
이번에 rutger, utah 같은 중위권이지만 연구력은 좋은 대학원 공학 박사과정을 지원한 학생입니다. 저희 교수님이 탑 스쿨 박사 출신이신데, 항상 하시는 말씀이 있습니다.
외국에서 공학 박사를 어느곳에서 따든간에 한국에 제일 좋은 학교보다 낫다고 하십니다. 이유는 다양하나, 제일 큰 이유는 외국에서의 연구 경험이라고 하시더군요. 다들 아시잖아요. 국내는 졸업은 쉬우나, 국외는 어렵다는 인식이 매우 잡혀있기두 하구요
대댓글 2개
2022.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도 정상적인 학과면 졸업 어렵지 않아요 ㅎㅎ skp가 더 어려울지도요 가끔 주립대 중에 많이 뽑고 퀄로 자르는 데가 있긴 한데 싸게 조교 쓰려고 뽑는 학교들이라서 이상한거지 대부분은 졸업 어렵지 않습니다 ㅎㅎ
2022.12.18
원래 본인의 경우에 맞춰서 말하죠.. 저희랩은 spk인기랩인데 지도교수부터 국박인데, 저희랩 출신들도 교수임용 상당히 된 경우라서 국박후 미국탑대학애소 포닥하는게 시기적이든 여러가지로 유리한게 많다고 말합니다. 저도 박사학위받은후 해당루트 밟는중이고요. 미국 탑대학이면 몰라도, 저희학교는 탑20위 이후면 자대랩 가는게 더 낫다고 생각하는 학생들도 많습니다. 저또한 미박을 겪어보지는 못햇지만, 학계에서 최근 임용된경우를 보면 맞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주변임용된 경우중 탑30에서 학위받은 경우를 사실 거의못봐서요.. 물론 비율로볼때 국박은 넘쳐나기에, 치열한 경쟁에서 이겨낸 사람들이 학교로 가는건 당연하다고 봅니다만, 해외애매한 대학이 무조건 spk보다 낫다는건 잘 모르겟네요.
2022.12.16
교직에 관심있어서 미국내 빅랩 포닥 잡을때를 생각해봅시다. 럿거스, 유타 출신이 쉬울까요 SPK가 쉬울까요? 윗 댓님처럼 저도 학부때 학교 교수님들이 맨날 하시는 말씀이 있었습니다. 여건이 되면 무조건 미국으로 유학을 가라고 하더군요.
2022.12.18
한국이 매우 잘하는 분야라면 top 30-50위권부터는 좀 애매하긴 합니다 (철저하게 배움이나 함께일할 동료의 평균적인 풀, 연구적인 측면에서는요)
저는 서울대와 미국 top 10 이내 대학원 둘다 경험한 경우인데 단순히 연구적인 지표나 수업 퀄리티 등에선 생각보다 서울대가 밀리는 느낌은 아니에요. 연구원의 평균적인 수준이나 수업 수준은 웬만한 top 10과 비교하면 오히려 수준이 높습니다.
다만, 인재풀의 백그라운드가 서울대는 매우 심하게 획일적이고, 뛰어난 학생들이 모인것 치고는 퍼포먼스가 떨어지는 느낌은 많이 받았네요.
그리고 연구 주제도 미국대학은 멀리보고 세우는 편이라 같은 수준의 연구지표면 미국 대학이 더 pioneer스러운 연구를 하는 편이구요. 정부나 기업 판딩 같은 경우도 한국의 그것보다 결과물을 관대하게 기다려 주는편.
해외에서 자리잡을 생각이거나 여지를 열어두고 싶다면 무조건 해외에서 학위받는게 의심의 여지없이 좋아요.
다만 한국 돌아오는게 무조건적인 목표면.. - 30-50위권 학교 (약학계의 럿거스나 몇몇 학교 터줏대감 랩 같은 특이사례 제외) -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거나 교수나 학생 중 한국인이 꽤나 많은 학교나 랩 (학교로 치면 tamu 같은 곳이 떠오르긴 하는데..)
을 놓고 비교하라면 저는 skp로 가지않을까 싶네요. 그냥 배움이나 연구적인 요소에 근거한 개인 취향입니다.
2022.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분야 바이 분야에요 위에도 맞는 말이지만 한국이 잘하지 않는 분야면 서울대에서 상위권도 유학 나가려고 합니다 Tamu 말씀하셨는데 에너지자원공학 분야면 서울대 따위 비비지도 못하겠죠 비슷하게 우리나라가 평범한 분야면 미국 중위권에 서울대도 못 비빕니다 물론 학생 수준은 서울대가 훨씬 낫지만요 님 분야가 전자 화공 재료 (다른 분야도 있을지도 모르지만) 중 하나가 아니라면 서울대랑 미국 30-50이랑 연구수준은 비슷해요 그러면 당연히 포닥 등 생각했을 때 미국이 훨씬 낫죠 근데 저 분야 중 하나면 국내박사도 교수 잘 되는 분야니 굳이 중위권은 안 가는 게 낫고요
순수한 요하네스 케플러작성자*
2022.12.18
제 전공은 화공이고, 웬만한 특정분야 아니면 미국 중위권이 훨씬 좋다가 결론이겠네요...!
진심어린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2022.12.22
박사후 커리어를 어디서 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접근하는게 맞지않나 싶네요. 특히 국내기업 취직이 목표라면 굳이 유학까지 할 필요는 없는듯. 다만 인생살면서 외국살이 고생이긴하지만 한두번 해볼만한 경험이고, 이후 해외 포닥 취업 등까지 이어지는 기회를 장점으로 생각할수 있습니다. 사실상 아주 특출나게 rising star급이 아니라면 어디서 박사하든 여기가낫다 저기가낫다 말하기 어렵고.. 저는 그냥 박사 자격증이라고 생각합니다 학교가 아주 탑스쿨이 아니라도 분야 1권위자가 있기도 하고.. 어떤 분야는 한국이 아주 잘하기도 합니다. 제 지도교수는 한국에서 안하고 여기까지 왜왓냐고 그런적이 있음 ㅋㅋ
IF : 2
2022.12.30
한국으로 교수직으로 돌아오고 싶으면 spk로 가고, 미국에서 취직 또는 교수하고 싶으면 미국 학교가 유리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한국에서 교수하기에 러커스와 유타는... 해외 대학 메리트가 없을 듯 합니다. 차라리 spk가 나을 거라고 봅키다.
2022.12.15
대댓글 2개
2022.12.16
2022.12.30
2022.12.16
대댓글 2개
2022.12.18
2022.12.18
2022.12.16
2022.12.18
2022.12.18
2022.12.18
2022.12.22
20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