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대통령이 바뀌고 나서 뭔가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듯
지난 정부는 모든 측면에서 다 나사 빠져있었는데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38 - 이런 능지를 가지고 계시니 취업해서도 노동자의 권리가 뭔지 알턱이 없으니 노란봉투법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26 - 특정 정당을 지지하게 되면 눈쌀은 찌뿌려지겠지만
기업을 괴롭히는 법안은 맞으니까 궁금했죠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3 - 위에 좌측분은 화가 많이 났네ㅋㅋㅋ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23 - 내용은 잘 아시죠? 돈 들어갈 곳이 많아지고 생산이 줄어드면 이익이 줄겠죠. 이익이 줄면 연구소 인력 안뽑는거 맞습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6 - 노동자의 권리고 뭐고, 좋은 일자리가 다 사라질텐데 능지 처참하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4 - 대한민국 전체가 좆망테크 탄거라고 보면된다
얼른 박사받고 미국으로 튀어라
민주당 뽑은 놈들은 자해경향이 있는듯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7 - 그냥 네임밸류에요 별로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그냥 저점이 좀 더 높은 정도지 결국 랩바랩 + 본인 실력에 따라 다른거죠 뭐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아들~ 엄마가 GPT 가지고 밤늦게까지 놀지 말랬지~ 빨리 발닦고 자렴
세기의 천재???
21 - 제 학부 다닐때 “인생에 가장 성공한게 서울대 합격한 인간“이라는 표현을 듣는 친구들이 있었죠. 그것의 대학원 버전 사람들이 그런 얘기하는 겁니다.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4 - 그런말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지방대 나와서 높은 학점으로 대학원은 SPK진학했지만 실력은 없어서 그냥저냥 대학원 다니거나 물박사로 졸업했으니 남은건 SPK대학원 다닌다는것 밖에 없으니 정신승리하는것임. 대학원은 어딜가든 자기 하기 나름인것임. 다만 상위 대학원일수록 본인이 잘될 확률이 높은 경향이 있는것임.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25 - 경제 시사 외국뉴스 보고 다시한번 댓글 달아봐
ㅉㅉ
하긴 민주당은 감성으로 뽑는거니까 이해한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3
상위권의 AI 대학원 스펙
2023.03.15

SKP ist (연구중심대학)에 도전하고 싶어서 여쭤봅니다.
학점은 4.35/4.5 (전체), 4.5/4.5 (전공)이고, 학벌은 말 그대로 지잡입니다.
학부연구생을 약 2년 정도 했고, 이렇다 할 연구실적으로는
IF 3.x급 저널 1 저자
탑컨퍼 공저자 (3 저자)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개인블로그와 유튜브에 논문 리뷰를 꾸준히 작성해 왔습니다.(리뷰 논문 지금 보니 대략 50편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해당 내용을 cv에 잘 녹여내서 작성하면 도전해볼 만할까요?
연구가 재밌어서 석사를 도전하는 거라, 잡일이 아닌 어느 정도 퀄리티 있는 랩을 원하고 있습니다.
소중한 답변 감사합니다.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90 22 56447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4 33 25962-
225 38 7758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302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6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6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6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3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1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7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21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8 - 세기의 천재???
9 - 학부와 대학원은 많이 다른거 같아요
21 - 교수님이랑 연애한당
16 - 교수 꼬셔서 내연녀됐음
1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3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11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5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반복되는 거절, 잘못된 선택과 현타
8 - 대학원 간판의 중요성 고민
10 - 요즘 확실히 학위 출신대학보다 실적 많이 보는듯
9 - 물리학자(특히 우주론 전공자 필독)
8 - 마이너 리비전
7 - AI 전공하시는 분들께 궁금한점 있습니다
8 - 저학년 학부생 교수님 면담 예절
7 - 논문 실적 안나오는랩은 뭘까요
6 - 아직 공부하고 싶은 도메인 분야를 결정하지 못하겠다면 학사 : 컴퓨터과학vs통계학과vs문과/상경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302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6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6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6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3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1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7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21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8 - 세기의 천재???
9 - 학부와 대학원은 많이 다른거 같아요
21 - 교수님이랑 연애한당
16 - 교수 꼬셔서 내연녀됐음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9 - 아무것도 모르는 초짜 미국 박사지원 질문드립니다.
8 - 유학 분야 선정 고민이 있습니다..
8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3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11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5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반복되는 거절, 잘못된 선택과 현타
8 - 대학원 간판의 중요성 고민
10 - 요즘 확실히 학위 출신대학보다 실적 많이 보는듯
9 - 물리학자(특히 우주론 전공자 필독)
8 - AI 전공하시는 분들께 궁금한점 있습니다
8 - 아직 공부하고 싶은 도메인 분야를 결정하지 못하겠다면 학사 : 컴퓨터과학vs통계학과vs문과/상경
9
2023.03.15
2023.03.15
2023.03.15
2023.03.15
2023.03.15
2023.03.15
2023.03.15
2023.03.16
2023.03.16
2023.03.17
대댓글 1개
2024.12.04
2023.03.17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