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를 하던 중 연구가 잘 맞아서 석박전환을 하려합니다.
YK에서 석사를 했는데 하던 연구가 잘 됐고 + 후속 연구도 진행하고 싶고 + 같이 연구하던 사람들과 교수님께서 잘 봐주셔서, 좋은 연구실이라서 그대로 남으려 합니다.
부모님께선 자꾸 미국으로 박사하러 가라 그러시는데.. 솔직히 가서 잘 적응할 자신도 없고 유학 간 곳의 교수님이 어떨지도 모르겠고 지금 연구의 흐름이 끊길까봐 거절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필요하다면 나중에 포닥으로 가면 되겠지.. 하는 마음이랄까요ㅎㅎ
이미 마음은 석박전환에 가있지만..
저의 이 선택이 괜찮은 선택인지 그리고 조언해주고 싶으신게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ps 교수에 뜻은 크게 없는 상태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6개
눈치보는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8.04
시간 지나서 보면 그렇게 한국 또는 현재 학교에 눌러앉은 사람 중에 망한 사람 여럿 봤습니다. 가능하면 좋은 학교, 가능하면 미국 가세요.
대댓글 1개
IF : 1
2022.08.05
댓글 감사합니다. 아침에 써두고 이제야 확인했네요. 의외로 많은 분들이 미국을 추천해주시는군요... 고민이 됩니다.
2022.08.04
저는 지금 교수님이 좋아서 현재 대학원에 남아서 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한 곳에 고립되어 있을 수록 시야가 좁아지고 말그대로 고인 물이 되는 느낌이라서 안좋습니다. 다른 환경에서 리프레쉬도 해보고 더 좋은 연구원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꼭 미국에 가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1개
IF : 1
2022.08.05
댓글 감사합니다. 고민해보겠습니다.
소심한 카를 가우스*
2022.08.04
네 박사는 실적이 맞습니다. 그런데 왜 도전안하고 남으려고 하죠? 설마 실적 = 논문 갯수?
대댓글 2개
IF : 1
2022.08.05
넵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일 년에 탑티어 2편가량은 쓸 수 있지않을까 라는 초년생의 파이팅 넘치는 (근거가 아예없지는 않은) 생각이었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쓰고 있기도 하구요.
IF : 1
2022.08.05
그런데 말씀하시는 것을 보니 논문이 실적이 아닌것 같기도하군요..ㅠ
눈치보는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8.04
자기만 잘 하면 실적 잘 나온다고 생각하는게 어리고 똑똑한 학생들의 가장 큰 착각입니다. 그렇게 따지면 서울대는 왜 가려고 하나요?
대댓글 3개
눈치보는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8.04
좋은 학교 좋은 교수진 좋은 동료와 함께해야 실적도 나오고 성장합니다. 그게 미국이구요.
2022.08.04
이게 현실적으로 가장 맞는말. 연구는 혼자하는 것이 아닙니다.
IF : 1
2022.08.05
댓글 감사합니다. 고민이 많이 되네요
IF : 1
2022.08.04
본인 생각 하기에 충분히 (실적면에서) 자신이 있으면 가도 되는데 문제는 1) 언어, 2)돈 3)문화 4)외로움 을 견딜 자신이 있느냐죠.. 자신이 없다면 서울대나 카이스트 도전해 보세요.. 새로운 자극이 될겁니다
대댓글 4개
IF : 1
2022.08.05
넵 말씀해주신 사항들이 가장 큰 고민사항인듯 합니다. 특히 돈이요...ㅠ 사실 카이에서도 교수님 한 분 께서 제안을 주셨지만 교수님의 전문분야의 차이 때문에 거절했었는데 새로운 자극을 들으니 아쉽기도 하네요.
2022.08.05
돈은 일반적으로 문제가 안됩니다. 박사과정 펀딩나오는데 돈이 왜 문제인건지
IF : 1
2022.08.05
본인이 능력이 좋으면 풀펀딩 받겠지만 아니면 뭐...
2022.08.05
노펀딩 박사는 거의 없습니다
부지런한 플라톤*
2022.08.04
같은 급간에서나 실적이죠.. 미박/서포카/그외국박 이렇게 급간이 나뉜다고 봐야죠
대댓글 1개
IF : 1
2022.08.05
그렇군요.. 댓글 감사합니다.
2022.08.04
여기에서 사람들이 말하는 미박이 어느정도인지 모르지만, 그냥 크게 해외 좋은대학들(미국 top20, 유럽내 좋은대학)에서 경험하는것은 분명 색다른 경험이 될겁니다. 그 그룹에 속한것만으로도 배울수잇는것과 얻을수있는것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졸업후 학계쪽으로 간다고할때 해당 컨소시엄에 속해있던게 좋은논문 투고할때도 도움이 됩니다.
반대로 한국에서 박사를 할때 이점도 많기는합니다. 편한환경에서 적응공백기 없이 연구가 가능하며, 언어적 문제가 없고, 무엇보다 괜찮은 연구실에 속해있을경우 해당연구실 학생들이 졸업후 다들 산학연에서 좋은 리더십을 보여주기에 나중에 서로 이끌어주는것도 무시할수 없습니다. 단순히 본연구실 뿐 아니라, 주변연구실 몇명과도 친해지는것도 그래서 상당히 중요합니다.
장단점을 잘 비교해보시고, 미박이면 어느정도 수준까지 본인이 갈수있고, 국내연구실도 어느정도 괜찮은 연구실인지를 비교해보세요. 미국에서 남는게 아니라, 리턴하실 계획이면 애매한 top30(미네소타 대학, UCSB, 매릴랜드대학, 플로리다대학 이런느낌)정도에서 학위받고 나오면 솔직히 큰도움 안될수도 있습니다.
대댓글 5개
IF : 1
2022.08.05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제가 확실하게 갈 수 있는 대학은 위스콘신 메디슨 입니다. 그 쪽에 연이 닿아 가려면 갈 수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교수에 뜻이 없다고 할 때 위스콘신 정도면 어떻다고 생각하시는지 고견을 여쭐 수 있을까요
2022.08.05
저희분야면 위스콘신 대학이면 미국 top15~20정도로 상당히 괜찮은 대학입니다. 그정도 학교면 저라면 유학갈것같은데요..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위스콘신 대학정도면 대다수가 괜찮은편에 속할겁니다.
쇠약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8.05
과를 말해야지 알죠. 자연대 하버드와 공대 하버드는 위상이 천지 차이인데 ㅋㅋ
IF : 1
2022.08.05
cs입니다..ㅎ 과를 말씀을 안드렸네요ㅠㅠ
2022.08.05
cs에서도 20위안에 드는것같은데.. 그정도면 spk 인기랩(선배들 대다수가 학계가는)과 비교해도 전문연메리트 없으면 유학선택할 사람들이 꽤있어보입니다.
2022.08.04
실적이 잘 나오면 미국 안가도 상관없는데. 아무래도 석사 박사 다른데서 해보는게 시야도 넓어지고 인맥도 많아지고 연구 기회도 넓어지고 장기적으로 미래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더 높죠. 근데 거기가 좋고 논문 잘 나올꺼 같으면 그냥 계세요 ㅋㅋ 어차피 무슨 선택하든 후회는 합니다.
대댓글 2개
IF : 1
2022.08.05
댓글 감사합니다. 마음이 편해지는 댓글이네요
2022.08.05
밑에 보니까 CS 쪽 탑티어 1 편 서브밋 2편이면 스펙 엄청 좋은데 이정도면 스토리 잘 짜면 미국 탑 대학원 갈 수 도 있겠는데요? CS면 한국 있기 애매한게 미국이 돈도 훨씬 많이주고 기회도 매우 많아서… 저라면 미국 추천드려요 ㅋㅋㅋ
2022.08.04
여기는 원래 미박 찬양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교수 생각 있어도 국박해서 실적 쌓고(외국은 애제자 개념이 없어서 실적 쌓기 어려움) 해외 포닥가도 괜찮은데 교수 생각조차 없는데 미박? 투머치라고 생각합니다. 타향살이가 쉽지 않습니다..
대댓글 1개
IF : 1
2022.08.05
넵.. 저도 사실 해외를 가도 다시 한국을 오고싶은 사람이라 고민이 되는 듯 합니다ㅠㅠ 댓글 감사합니다.
쇠약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8.05
석사 2년 동안 이미 실적 (논문) 잘 나오고 있는 상황이면 미국 전혀 갈 필요 없음. 근데 2년 동안 논문 (최소한 submit이라도) 없는 상황이면 잘 되고 있는게 아닌거 같은데요..?
대댓글 3개
IF : 1
2022.08.05
탑티어 1편과 서브밋 2편인 상태이긴 합니다.. 물론 부족하다면 부족하지만 서브밋한 논문들이 계속 이어나갈 수 있을 것 같아 고민중이었습니다.
쇠약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8.05
그렇다면 굳이 안가는걸 추천 드립니다. 한국에서 석사때 잘했다고 박사때 미국가서 잘한다는 보장이 없어요.
쇠약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8.05
아 위에 댓글 보니까 cs네요. cs는 다른 분야와 다르게 실적 탑인 박사들이 교수 안하고 회사로 가는 유일한 전공입니다. 좋은 미국 회사 가려면 미국 탑스쿨에서 박사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어차피 교수할거면 미국이나 한국이나 실적만 좋으면 어디서 학위하든 상관 없는데 취업할때 차이가 생겨요.
2022.08.05
교수 생각 없으면 그냥 거기 계세요. 실적도 잘 나오고 있는데 굳이? 하지만 국내에 있음으로 인해 진로 옵션의 폭이 줄어들 수 있음만 인지하고 있으면 될 것 같습니다.
2022.08.05
교수에 뜻이 없으면 국내 취업 하실건가요?
소심한 카를 가우스*
2022.08.07
CS고 취업이 목표면 더 미국이 나은거 아닌가? ㅋㅋ 솔직히 미국 갈 용기 없으니 일부 댓글들로부터 정신승리 하고 싶어서 쓰신 글 같음. 그리고 국내 연구가 일반적으로 논문 갯수만 많지 연구 퀄러티가 높은게 아님.
2022.08.04
대댓글 1개
2022.08.05
2022.08.04
대댓글 1개
2022.08.05
2022.08.04
대댓글 2개
2022.08.05
2022.08.05
2022.08.04
대댓글 3개
2022.08.04
2022.08.04
2022.08.05
2022.08.04
대댓글 4개
2022.08.05
2022.08.05
2022.08.05
2022.08.05
2022.08.04
대댓글 1개
2022.08.05
2022.08.04
대댓글 5개
2022.08.05
2022.08.05
2022.08.05
2022.08.05
2022.08.05
2022.08.04
대댓글 2개
2022.08.05
2022.08.05
2022.08.04
대댓글 1개
2022.08.05
2022.08.05
대댓글 3개
2022.08.05
2022.08.05
2022.08.05
2022.08.05
2022.08.05
2022.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