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제 소개를 하자면, 저는 spk대 물리학부에 재학중이며 학점은 4.2 중반 정도입니다.
탑스쿨 유학 후 미국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가 재미있으면 학계에 남을 생각도 있습니다. '학계에 꼭 남고야 말겠어!'와 같은 생각은 아니기 때문에 미국 취업을 목표로 한다고 서술하였습니다.)
원래는 Condensed matter physics, Optics와 같은 정통 물리 분야에 대한 진로를 생각중이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타 학문을 융합한 분야에도 관심이 많아져 머릿속이 복잡해졌습니다. 그래서 연구 분야에 종사 중이신 선배님들께 조언받고자 글을 올립니다. 요즘 관심이 가는 분야는 Biophysics 중 특히 Medical imaging 분야입니다.
1. Condensed matter physics 이론 or 실험, optics, medical physics 분야들이 자연과학 분야임에도 미국 취업이 용이한지, 각 어느 분야로 취업이 주로 이루어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무래도 자연과학분야가 직접적으로 industry 분야와 연관이 있지는 않다보니, 걱정이 되네요 ㅎㅎ..
2. 물리학부에서 공대로 다이렉트 유학 지원을 하게 되면, 공대 출신 유학 준비생들에 비해 많이 불리할까요? (물리학과로 갈 수 있는 급간보다 더 낮은 대학으로 준비를 해야한다던가)
3. 탑스쿨 유학에 학점이 중요하긴 하지만, 연구 실적 및 리서치 핏이 더욱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Medical imaging 분야 쪽을 우선 경험해보고 싶어서, 그쪽 인턴을 한번 해볼 생각인데, 이쪽에서 연구 경험을 가지고도 기존 정통 물리 분야인 Condensed matter physics나 optics쪽으로도 유학 지원이 충분히 가능할 지 궁금합니다.
4. 연구 실적이 무척 중요하지만, 학부생 때 1저자 논문을 쓰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은 당연히 알고 있습니다. (최선을 다해 노력은 하겠지만), 논문 없이 단순히 랩 인턴을 한 것+고학점만으로도 탑스쿨을 생각해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유학 준비 및 해외 생활이 여러모로 어려운 점 및 불확실한 점이 많다보니 일개 학부생으로서 걱정이 앞섭니다.
부족한 글 읽어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글 읽어주신 분 모두 연구하고 계신 분야에서 대성하길 기원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언짢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2.07.31
1. 탑스쿨 박사 나오면 물리학 내에서 아무전공이나 해도 대기업 취업 문제 없습니다. 유학생들은 faang intel ibm 등등 많이 갑니다
2. 오히려 공대출신보다 유리합니다.
3. 가능하긴 한데 굳이..?
4. 다박은 논문 없이 가는 사람도 많음.
대댓글 3개
언짢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2.07.31
참고로 spk 4.25/4.3이면 단과대 수석 거의 확정인데, 논문 없어도 MIT, Harvard, Stanford 무난히 들어갑니다.
2022.07.31
우선,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2. 아, 물리학과 출신을 공대 교수님들도 좋아하시는군요, 논문 없는 물리학과생도 공대 지원에 큰 문제가 없나요?
3. medical imaging 분야를 도전해보고 싶어서 그랬습니다. 학부 인턴 때 해보고, 제 생각과 다르면 유학은 정통물리분야로 가보고 싶어서요,
언짢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2.07.31
네. 물리학과 가고 싶은데 경쟁이 치열해서 공대로 입학해서 물리과 랩 가는 사람도 있는데요.
혹시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생물물리가 물리쪽에서도 마이너한 분야에 속하고 생물쪽에서도 화학생물쪽에 비해 파이가 더 적어서 길이 좁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인더스트리쪽으로도 떠오르는 길이 딱히 없었구요.
2022.08.01
다른건 모르겠는데, science 학부에서 engineering 대학원으로 진학 시, 입학 조건 및 필요 서류를 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대학원별로, 진학이 안 되거나, 추가 서류(관련 분야 수업 이수 확인 등)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외국 대학은 우리나라처럼 행정속도가 빠르지 않기 때문에, 입학 시기가 촉박한데 해당 서류가 문제되면 입학이 불허될 수 있습니다. 제가 아는 분이 유학을 위해 해외가서 집 구하고 자동차 구하고 다 했는데, 막판에 이 서류가 문제되어서 대학원 입학이 안될 뻔 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8.01
네, 몰랐던 사실인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공대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게 되면 꼭 참고하겠습니다.
2022.08.01
medical imaging 분야도 굉장히 넓은데(optical imaging, ultrasound imaging, MRI), 전반적으로 보면 취업이나 학계 진출에 유리한 분야 같습니다. optical imaging 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연구를 하다보면 광학 전반에 대한 지식이 많이 쌓이기 때문에 여러 빅테크나 하드웨어 기반 스타트업에 취업하는데도 전혀 무리가 없어 보이고요.
대댓글 1개
2022.08.01
그렇군요, 나중에 관련 분야 해외 연구실 alumni들을 한번 확인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8.01
제가 졸업할 때 전체 수석이 4.2x였는데 그 정도면 수석에 근접하겠네요. 제 친구가 수학과에서 그 정도 학점 가지고 컬럼비아 수학과 박사과정에 진학했습니다. 수학과라서 그런지 논문은 없었고 유학 준비는 1년~1.5년쯤 걸렸다고 했습니다. 참고하세요.
물리학에서 공학 진학은 오히려 공대출신보다 유리한게 맞는거 같습니다. Condensed matter는 잘 모르지만 optical imaging도 개인적으로 좋은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작성자님 졸업할 때는 모르겠지만 최근 이래저래 optics에 대한 수요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사실 spk 물리학과에서 4.2x 맞는 사람들은 객관적으로 봐도 다 괴물들이라서 뭘 해도 잘 먹고 잘 살테니 큰 걱정은 안 하셔도 될겁니다.
대댓글 1개
2022.08.01
감사합니다, 우선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2022.08.01
답변은 아니지만 대단하시네요. Spk 그것도 물리과 저학점이면 사실 뭘하든 잘할듯. 싸이언스쪽으로 열심히 파서 교수되시고 노벨상 노리셔도 되고, 박사후에 미국 돈굴리는데 취직하셔서 초봉 $300k~500k 찍으셔두 되구요. 이런분은 실명 알아서 커리어 트래킹하고 싶네요.
대댓글 1개
2022.08.01
학점이 연구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을 수는 있지만, 인과관계가 있진 않죠ㅎㅎ…(주위에서 학점과 별개로 뛰어난 역량을 가진 선후배들도 보이구요)
배우는 내용을 잘 흡수해서 운좋게 학점을 선방했지만 제가 연구자로서 큰 자질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칭찬 감사드리고, 앞으로 열심히 살아보겠습니다 :)
2022.08.03
그냥 물리학과 가는게 좋습니다. 공대로 바꿨다간 퀄에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물리학과 박사 후 취업안되서 공대 석사하고 취업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미국 취업 원하면 컴퓨터 사이언스 석사, 교수하고 싶으면 물리학과 박사
대댓글 1개
2022.08.03
퀄 생각은 안해봤는데 생각해보니 그럴 수 있겠네요. 고려해봐야 할 점 하나 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물리학과에서 탑스쿨 CS 가기 쉽지 않을 것 같아서요, 원래는 탑스쿨 물리학과를 목표로 하고 인더스트리 쪽으로 갈 생각이었습니다.
IF : 1
2022.08.05
아아
대댓글 2개
IF : 1
2022.08.05
음 삭제가 안되네요.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mZ0O2S4AAAAJ&hl=en
물리과+ condensed matter+ 전체수석+MIT인 사람입니다. 이메일로 질문을 드려도 좋을 것 같네요.
2022.07.31
대댓글 3개
2022.07.31
2022.07.31
2022.07.31
2022.08.01
대댓글 1개
2022.08.01
2022.08.01
대댓글 1개
2022.08.01
2022.08.01
대댓글 1개
2022.08.01
2022.08.01
대댓글 1개
2022.08.01
2022.08.01
대댓글 1개
2022.08.01
2022.08.03
대댓글 1개
2022.08.03
2022.08.05
대댓글 2개
2022.08.05
20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