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스쿨에 재학 중입니다.
로스쿨을 졸업한 후 해박을 가고 싶은데, (제가 그 나라에 매우 오래 거주하여 문화와 매우 친숙하고 연구하고 싶은 주제가 있습니다) 법학박사를 간다고 하면 대부분 국박인 것 같더라고요.
로스쿨을 졸업한 후 법학 해외박사를 간 분이 주변에 없어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여쭈어 보는데.. 그런 사례가 있을까요? 만약 있다면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하는지도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 정보가 너무 없고 어디서 정보를 얻어야 하는지도 모르겠네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2.04.24
SJD 말씀하시는것같은데 주변에 없을 뿐 사례가 많죠 애초에 미국말고 해외에서 법교수하고 싶은 사람 대상으로 만든 학위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왜 해외법학박사를 하고 싶은지가 중요하죠 미국에서 법교수하고싶으면 SJD 를 굳이 따지 않죠 JD 만 따도 가능하거든요 물론 그만큼 성적이나 퍼블리케이션 실적이 매우 높아야합니다
대댓글 2개
2022.04.26
요즘은 클리니컬 아니면 JD만 하고 교수 되기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로스쿨 잡마켓은 시장이 치열해졌습니다. 예전엔 로쿨 다니면서 로리뷰 편집장, 제너럴 클럭 거쳐서 경력 쌓고 교수 되는 루트였는데 요즘은 JD랑 PhD (둘다 탑 학교) 출신들이 압도적으로 많죠. 아직 하위권은 JD만으로 교수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하버드나 스탠포드 현자 조교수 프로필 보시면 하버드는 PhD가 없는 교수가 없고 (다시 말하지만 클리니컬은 제외입니다) 스탠포드는 한명인가 두명 빼고 다 PhD와 JD 공동 소지잡니다. ABA나 로 아카데미아 고용 분석을 봐도 지난 10년간 JD만으로는 교수되기가 힘들어졌고 앞으로는 더 힘들어질 전망이라고 하네요. JD만 따도 형식적으론 가능은 하지만 중위권 이하로 노리는게 아니면 이제 사실상 힘들다고 보면 됩니다.
2022.04.26
블룸버그 로 2016년 2월 기사입니다.: "As recently as a decade ago, law schools were happy to hire professors with no more than a J.D. degree. That arrangement is officially history, according to a new study." 제가 실감할 하기로도 JD하나 달랑들고 괜찮은 로스쿨 교수 되는건 history인거 같네요. T 14 바로 아래 학교 로스쿨 교수님들도 로스쿨 교수 되고 싶으면 더이상 JD만으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니 PhD는 마치라고 직접 조언 들었습니다. https://news.bloomberglaw.com/business-and-practice/the-age-of-the-phd-law-professor-is-upon-us-study-says
2024.10.26
로스쿨 세대에서는 잘 모르겠는데 송옥렬 교수(하버드 S.J.D) 등 사법연수원 세대에는 있긴 했습니다. 미국 로스쿨 교수들이 PhD 따는건 보통 경제학 정치학 역사학 등 타 학문의 PhD이고, 우리나라 로스쿨 교수 중 타 학문 PhD는 없습니다.
2022.04.24
대댓글 2개
2022.04.26
2022.04.26
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