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박 고민

2025.08.01

4

267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8.01

평균 정도의 연구 실적이라는 게 도대체 얼만큼입니까? 제 주위에 있는 많은 석사 졸업생들이 졸업 전까지 SCI 1편 투고를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투고는 누구나 다 할 수 있습니다. 게재가 문제죠. 적어도 미박 원서 지원 당시 저널이 accept되었거나 minor 리비전 중에는 있어야, 저는 가능성 있다고 봅니다. 아니면 본인 분야에서 유명한 컨퍼런스에서 주저자로 발표를 하거나…. 하지만 이 정도 하려면, 평균으로는 절대 안됩니다. 석사 과정동안 정말 열심히 사셔야해요. 평균 정도의 실적으로 미박을 간다? 교수 커넥션이 정말 좋지 않은 이상 힘들다고 봅니다. 현실을 조금 아셔야해요. 전 미박 가신 분들, 특히 풀펀딩으로 가신 분들, 정말 대단하고 열심히 사신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8.01

ssh 수석 이라고하시는데 질문의 수준이 너무 알아보지않은 티가나고 아쉽네요. 개인적인 의견으론 미박이 충분히 학계에 남을때 경쟁력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국박출신이 많이 임용이 되는 이유는 국박분들 수준이 높은것도 있지만 미박 출신 국내로 리턴하지 않는 이유도 있습니다. (제 주위 친구들은 국내리턴 고려하는친구가 단 한명도 없습니다) 박사를 졸업하고 무엇을 할지 모르겠으면 선택지를 더 넓힐 수 있는 미박이 더 좋은 선택지라고 보여지구요.

유학결정을 하든 안하든 박사까지 하실껀데 열심히 하셔야 하는건 당연 한겁니다. 평균적인 실적이면 상황에따라 다르겠지만 충분히 괜찮은 학교 어드미션은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적당히 괜찮은 주립대이상은 학교에서 사실... 작성자님의 스펙은 거의 기본으로 다 가지고 지원합니다. 영어는 외국애들이 훨씬 잘하구요. 즉, 죽기살기로 연구경험 쌓는게 중요할겁니다

2025.08.01

요즘 학점 왜 잘 안보는지 알겟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