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SSH라인 학부를 졸업하고 같은대학 자대에서 석사를 하고 있습니다. 학부 gpa는 3.76/4.0 이고(마지막 60credit은 3.92/4.0) 석사 진행하면서 쓴 1저자 논문 하나(biostat관련) 2저자 하나(리뷰중, 완전다른분야) 입니다. (if는 낮은편인것 같습니다.)
통계학/생물통계학 미국박사가 gpa가 높은 사람들이 많이 지원하기도하고 제가 공대출신이라 수학관련 coursework비중이 살짝 아쉬운 부분은 있어서(따로 해석학 등 공부를 하긴했으나) usnews statistics/biostat ranking 기준 top10~20사이에서 2개 top20~30 사이에서 4개 top30~50 사이에서 4개 총 10개 정도 지원해보려고 하는데, 더 낮춰서 라인을 조정해야할지 아니면 이 정도면 괜찮을 것 같은지 여쭙고 싶습니다.
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1.24
어쨋든 1저자 SCI 논문 있으면 Top10 안으로도 상향 지원 해도 됩니다. 미박은 변수가 워낙 많아서 낮은 랭킹 떨어지고 오히려 상향이 붙을 수도 있거든요. 그리고 GPA도 4.0 기준 3.8 이상이면 좋지만 3.7 넘으면 크게 손해는 안봐요. 어차피 10개 붙어도 진학은 한개밖에 못갑니다. 30~50위권 사이에서 제일 안땡기는 학교 2개 지우고 Top10 안으로 채워도 될듯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1.24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한두개정도만 더 올려봐야겠네요!
2025.01.24
제 생각에도 지금 숫자는 유지하시고 top10쪽으로 몇 군데 더 쓰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1.24
네 감사합니다! 한두개정도 바꿔봐야겠습니다!
2025.01.24
미국 박사 지원은 컨택 여부가 가장 중요해요. 컨택만 된다면 랭킹은 크게 상관 없어요.
대댓글 1개
2025.01.25
모든 분야가 그렇지 않습니다. 특히 통계학은 기초 지식이 있는지 없는지를 입시에서 좀 따져서 커미티에서 학력을 위주로 뽑는 학교들이 꽤 있습니다. 교수를 안 정하고 학생 풀을 뽑는 학교들도 꽤 있고요
2025.01.25
그 쪽 분야면 다른 공대학과랑 겸임하고 있는 교수님들이 꽤 있을텐데 그러면 좀 더 익숙한 공대쪽으로 지원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저희도 BioStat 이랑 Stat 교수님들이 CS랑 Bio쪽 학과들이랑 겸임하면서 양쪽에서 학생을 받는 분들이 꽤 있어요
대댓글 1개
2025.01.25
소중한의견 감사합니다. 제가 사실 산공이라서 엥간한 대학 통계학박사과정에서 요구하는 통계학 과목은 거의 다 듣긴했습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하는 산공이 너무 제조쪽에 치우쳐진것같기도하고 성향이 통계학쪽이 좀더 끌리긴 한것같아요 물론 한두군데정도는 말씀주신것처럼 산공이나 cs 로 찔러보지않을까싶습니다 ㅎㅎ..
2025.01.27
그 정도면 괜찮을 듯요
2025.07.14
이번 25년 입학으로 쓰셨는지요? 아니면 26년 가을입학을 목표로 하시는지요? 후자라면 혹시 저희 학교도 지원해보시면 어떠실지요. 제가 최근에 임용된지라 박사과정 학생 한 명 정도 뽑을 수 있게 되었는데 동기부여가 잘된 학생을 뽑고싶은 마음입니다. 쪽지 기능이 있었으면 쪽지로 말씀나눠보고 싶은데 혹시 관심이 있으시다면 아래의 링크에서 말씀나눌수 있을까요? https://open.kakao.com/o/smXMMWGh
2025.01.24
대댓글 1개
2025.01.24
2025.01.24
대댓글 1개
2025.01.24
2025.01.24
대댓글 1개
2025.01.25
2025.01.25
대댓글 1개
2025.01.25
2025.01.27
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