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미국 T50 학부 자대 학석박

2024.12.30

14

1816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 T50 학부에서 CS로 졸업 예정인 학부생입니다. (Cs랭킹은 T20정도에 있는것 같습니다.)

현재 학부 인턴중인 랩에서 교수님이 인턴 중 과정을 매우 좋게 보셔서 풀펀딩 박사를 같이 하자고 먼저 제안이 왔습니다. 너무 좋은 제안인걸 알지만 같은 대학교에서 학석박 전부 마치는 것이 걱정이 됩니다.

찾아보면 비슷한 경우가 있긴하지만 미국내에선 정말 드물더군요.

현재 미국 학부 졸업생 Cs 취업 시장이 너무 힘들기도 하고 연구쪽흥미가 더 깊어 취직보단 연구에 관심이 많았어서 석박사 진학을 고민중이기도 했습니다.

박사 졸업후에 학석박 다양성에 큰 문제가 없을까요? 이 부분에 대한 다른분들 생각이 궁금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12.30

원글자가 말한 대로 극히 드뭅니다.
드문 정도가 아니라 어떻게 해서든 말리는 쪽에 가깝죠.
포닥을 해야 하는 분야는 박사 학위한 학교에서 첫번째 포닥을 하면 그것도 좋게 보지는 않습니다.

대댓글 4개

2024.12.30

카이스트나 MIT같은 케이스는 학석박 다 하시는 분들이 종종 계시더라구요 (물론 너무 좋은 학교들이라서 문제는 없겠지만요)

박사 입학 전에 카이스트에서 인턴도 할 예정인데 다른 곳들에서 경험들을 쌓아오면 다양성을 좀 커버 할 수 있을까요?

원서 마무리 시즌 근처에 제안 받은거라 다른데 같이 써볼 여유가 없었던 이유도 큽니다 ㅠ

2024.12.31

한국은, 흠, 돌려서 말하면 여전히 켐브리지, 도쿄대, 라이덴, 이런 학교들은 학석박을 같은 학교에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은 절대적으로 다양성을 중요시합니다.

카이스트 인턴으로 커버될 영역이 아니에요.

혹시 교수가 (한국 포함) 동아시아 출신인가요?

2024.12.31

라틴쪽이십니다. 랩에도 동아시아인은 하나도 없구요

2025.01.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단 카이스트가 미국 t50급이 안되는데 카이스트 인턴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한국은 학석박 다 같은 학교에서 하는게 보통이고, 미국과는 전혀 다릅니다.
미국 t50 학부 나오면 t20 박사는 갈 수 있는데 자대에서 박사를 할 필요는 전혀 없어 보입니다.

2024.12.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석박 같은 학교에서 하는 경우가 적은건
극히 우수한 인재들만 같은 학교에서 학석박하기 때문임

대댓글 3개

2025.01.01

무슨 이런 황당한 글이... 미국을 모르는 분이군요

2025.01.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미국을 모르는건 님같은데..
자대 박사 풀펀딩 오퍼 자대생 중에 진짜 에이스들만 받는겁니다.
제가봤을애 님은 어줍잔하게 국내학부 출신이 미국 가서 알지도 못하는거 같은데

2025.01.0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나도 모르는데 아는척 웃고 갑니다

2024.12.31

학석박 같은 학교에서 학위 받는건 academic incest 라고 미국 학계에서 매우 기피되는 행동입니다. MIT 같은 경우는 예외입니다. 한국은 반대로 자대에서 석박 하는게 매우 보편화 되어 있고요.

근데 ML/AI 토픽이라면 요즘 워낙 빡세서 타대 지원하셨어도 가장 좋은 오퍼가 자대였을 수도 있어요 ㅋㅋ

대댓글 1개

2024.12.31

AI여서 저도 이게 제일 좋은 오퍼였을것 같긴하지만 걱정은 되네요 ㅠㅠ.

2024.12.31

윗분말씀들이 많이들 일리가 있습니다. 제가 포닥하고있는 학교는 탑스쿨이다보니 자대에서 학사-박사하는 경우도 꽤많기는 합니다.
하지만 윗분들 말씀처럼 다양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생각하며, 우리랩만봐도 10명중 학부출신은 2명이며, 3명은 중국학교출신, 1명 한국학교출신, 그리고 나머지 4명은 모두 학부를 다른미국에서 나온경우입니다. 심지어 학/석/박 모두 다른학교에서 온경우도 있습니다. (예, 학사 퍼듀/석사UCLA/박사 지금학교). 참고로 CS이며 어드미션받기가 쉽지않아서 미국학부나와도 석사하는경우도 왕왕있는듯합니다.
지도교수도 다양성에 대해서 언급하기도했기에 (예를들면 학부-박사는 모르겟지만, 박사-포닥은 옮기는게 무조건낫다) 맞는말일것이라 생각합니다.

2025.01.01

노 플라블럼. 그렇게 한사람들은 보통 에이스임. 회사 인턴하면됨. 포닥해도 되고.

더 좋은 조건이 있으면 가시고

2025.01.01

캐나다에서 학&석박통합 자대에서 하고있고, 여기도 다양성 중시하는 것은 미국이랑 비슷합니다.
결론은, 그 모자란 다양성을 커버하려면 학교 뿐 아니라 지도교수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저는 운좋게도 대가 랩의 교수님과 학부 졸논때부터 연이 맞아 쭉 하게되었고, 이름이 크시다 보니 다른 연구실과 협력 할 기회가 정말 많습니다. 학회에 가도 교수님 이름만 대면 다양한 학자들과 커넥션이 만들어지고, 대부분 선배들도 그런식으로 좋은 곳으로 포닥을 나가더군요.
어느정도 시니어 교수님이시고 교수님을 통해서 뻗어나갈 인맥이 있다면 고민없이 진학하시면 됩니다. 아니라면 다른 학교에도 우선 지원해보시고 받은 오퍼 중에서 고르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그렇게 하겠다고 transparent 하게 말씀드리면 자대 교수님도 충분히 이해하실 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