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k 학부생이고 학점은 3.2/4.0입니다 복수전공때문에 초과학기 1년을 해야돼서 유지 하거나 3.4/4.0까지는 올려볼만 할것 같습니다
졸업하게 되면 공학사, 이학사 이렇게 두개 나옵니다
연구 실적은 1번 의대 연구실에서 1년간 있으면서 개인과제를 따면서 쌓은 경험이랑 사수 대학원생분이 졸업하실때 논문 나오면 3,4저자로 하나 들어갈거 같고요
2번 공대 연구실에서 6개월 있으면서 리뷰논문 2저자로 하나 있습니다. sci IF 5.0인데 리뷰에 2저자라 의미가 있을까 싶긴 합니다
토플은 90점인데 100점 만들어보려합니다
국제학회 컨퍼런스에서 구두발표로 수상한 경험이 있고 국내 학회 포스터 발표 경험 있습니다
시와 도에서 진행하는 각종 대회에서 장려 우수상 수상했지만 별 의미는 없을것 같네요
추천서는 1번 2번 연구실 교수님과 1번 연구실 박사님께 받으려고 합니다
1년 초과학기 하면서 연구 실적이 더 늘어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확실히 학점이 좀 아쉽습니다 계절학기를 통해 좀 올려보려고 하는데 교양학점이다 보니 의미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국내 석사 하는것을 염두에 두고 있긴 합니다만 다이렉트 박사를 아무래도 놓치기는 싫습니다
랭킹을 어디까지 써보는게 좋을까요? 엄청 좋은 학교에 대한 욕심은 없습니다
분야는 뉴로사이언스, in vivo bci 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12.26
탑100이면 몇군데는 되겟죠..
2024.12.26
탑100이면 몇 군데 가능합니다. T50안으로도 가능하실거 같은데요? 내년 지원이시니 계속해서 연구 활동 하시면서 내년에 지원해보세요
2024.12.26
분야에 상관없이 미국에 정착만을 원하는 게 아니라면 탑 100 보단 국내 박사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미국 잡마켓도 치열한편입니다.. 연구에서 한국보다 이점을 느끼지 못하면 미국 빈곤층에 해당하는 생활로 고생만하고 학문적 성장, 세계를 보는 시야, 영어실력 이나 네트워킹 다 놓칩니다(유학 특성상 생활 측면에서 은근히 시간 빼앗기는 요소도 많습니다. 경쟁대상은 대부분 인도/중국인들 입니다) 국내 교수진들도 충분히 실력 좋고요..
대댓글 1개
2024.12.26
조언 감사합니다 학부생의 관점으로 제가 하고싶은 in vivo bci나 신경공학 분야는 국내에서 할수있는 풀이 작고 연구실도 많이 없어서 계속 해외로 눈을 돌리게 되는것 같습니다 1학년때부터 계속 이어져 온 목표이기도 하고 어떻게보면 저의 대학생활의 모토였습니다 최종 목표는 박사학위 취득과 이민, 그리고 미국내 취업이나 스타트업입니다 인도/중국인들과 경쟁해야한다고 하시니 조금 두렵긴 합니다만 조언해주신 부분 참고해서 진로 정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2.27
일단 미국 취업할려면 무조건 미박이 유리하구요 뉴로쪽 박사 어드미션이 꽤 어렵습니다. 일단 100위까지 쓰신다하니 개인적으로 50위 이하 학교들 기준이 어떤지는 모르겟습니다만 핏과 운, 프로그램 펀딩도 중요한지라 일단 탑50정도 노려볼수있는 스펙을 만드신후 어플라이하시는게 좋을수도있습니다. 대체적으로 주변 상위권 인터네셔널 박사들보면 미국 최상위권~상위권 학교에서 lab technician이나 석사 경험 + 추천서가 있더라구요.
물론 이것이 requirement는 아니지만 neuro쪽으로 competitive한 원서자들은 시민권자들도 스펙이 꽤 좋아요 (GPA 3.7+, 미국 상위권학교/대가 혹은 라이징스타 랩 2~3년 경력+, 공저자 한두개, 포스터 두세개, 강력한 추천서). 이정도 애들이 주로 탑50 어딘가 붙는데 인터네셔널은 더 힘듭니다.
다음 싸이클 골고루 던져보시고 결과 기달리면서 국내 석사/미국 석사 코스를 가는것이 어떤지요?
대댓글 3개
2024.12.27
국내 석사도 동시에 준비해보려고 하는데 석사 학벌도 중요할까요? 아무래도 한국은 정량평가고 미국은 정성평가이다 보니 한국에서의 진학이 좀더 걱정이네요 하고싶은 연구를 하는곳이 많이 없어서 ㅠ
2024.12.27
1. 국내 bci 연구없음: 음 bci하고싶다고해서 무조건 bci경험이 있어야지만 되는건 아니고 미국에서도 이쪽은 minority에요. 프로그램들이 물론 핏도 보기때문에 적어도 관심있는교수 3명있는곳 어플라이하시고 bci 아니더라도 computational neuro, systems neuro 관심있다하면 핏면에서 여러 프로그램 맞출수있을거에요. 물론 석사하게되면 되도록이면 코딩, computational analysis, stats, ML쓰는 랩 들어가세요 (two photon imaging, electrophysiology, optogentics 등등 하는곳이 컴퓨테이션하겟죠?). 미국은 박사때 다들 학부/lab tech/석사때 하던 연구랑 전혀 다른연구 많이 하기때문에 일단 어느정도 나중에 bci들어가서 쓸수있는 스킬부터 기르시고 로테이션후 bci랩 들어가시면됩니다. Bci쪽이 막상 해보니 안맞을수도있으니 다른 옵션도 오픈해놓으세요. 그리고 어차피 SOP에 bci만 썻는데 랩이 딱 하나다? 이러면 너무 niche하다고 안받을수도있어서 어차피 comp neuro/bci/systems neuro 관심있다고 하는게 우리해요.
2. 연구주제 말고 그냥 학벌: 당연히 미국 탑대학 대가랩 석사 + 공저자 논문 + 추천서가 훨씬 유리합니다. 하지만 1~2억 학비가 깨지기 때문에 만약에 학비가 부담되신다면 spk에서 최대한 스펙 만드시는게 최선인듯합니다.
2024.12.30
감사합니다 막막했는데 생각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핏을 맞출수있었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꼭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2024.12.28
원서 접수 비용도 꽤 되는데 100군대 지원이면 요즘 application fee만 얼마일지 추산 해보셨나요?
대댓글 1개
2024.12.28
원하는 특정 분야가 있고 분야가 좁다고 하시니, 100군데 쓰실 것은 아니고 랭킹 상관없이 분야에 맞는 20-30 군데 선별을 잘 하셔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겠네요. 추천서 써주시는 분들도 복사/붙이기 이더라도 20개 이상 추천서 입력하거나 보내는 것이 여간 간단한 일은 아닐 것이라 생각됩니다. 원서료도 만만치 않을 듯 하니 탑 10-20이내는 과감히 생략 필요해 보입니다. 해당 분야 사람 아니지만 쉽지는 않아 보이네요
2024.12.26
2024.12.26
2024.12.26
대댓글 1개
2024.12.26
2024.12.27
대댓글 3개
2024.12.27
2024.12.27
2024.12.30
2024.12.28
대댓글 1개
2024.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