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미국 학부 유학생, 대학원 필수일까요?

2024.10.16

3

424

미국 대학랭킹 t30
생명공학 전공중입니다

학부 공부중인데..
대학원을 꼭 가야할지 고민입니다

전공이 대학원을 많이 간다고 들어 당연히 갈 줄 알았지만..
학부 하다 보니 여러 길이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저는 더 공부하고싶고 대학원 가면 너무 좋을 것 같지만
주어진 기회나 (opt 경제적 제약 군대 등) 주변인들의 의견으로 미루어 보아 취업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제 최종 목표은 괜찮은 조건으로 한국으로 리턴하는 것인데
다른분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밝은 존 스튜어트 밀*

2024.10.16

군대 안갔으면 군대부터 다녀오시고 판단하시는게 인생의 방향을 잡으시는데에 더욱 나으실겁니다. 제가 바이오쪽에서 연구하고 있지만, 괜찮은 조건으로 한국으로 돌아오는건, 꽤 괜찮은 경력을 갖고와서 스카웃되는것 외에는 없습니다. 한국의 제약회사는 대부분 연구직도 연봉 박봉이고, 미국 만큼 연구에 투자도 잘안할 뿐더러, 환경도 안좋습니다.

제일 베스트는, 일단 미국에서 살 수 있는 조건을 방해하는 요소를 다 없애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군대를 해결하거나, 미국 영주권을 얻는다던가 등등이요. 하지만, 학부만 졸업한다고 영주권을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opt도 3년밖에 되지 않으니, 3년이 지나고 비자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자연스레 한국으로 돌아와야하는데, 미국에서 받던 연봉의 절반도 안되는 수준에서 한국에 생활해야합니다. 그게 괜찮다면 한국으로 돌아가도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괜찮은 조건으로" 이라는 조건이 붙는 이상 힘들죠.

미국에서는 STEM계열은 박사과정 도중에 영주권을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조건이 붙죠. 미국 국익에 도움이 된 일을 했는가를 증명하는 일입니다. 연구자는 논문, 특허로 자기 PR를 해야하고, 직장인은 5년 이상의 경력에서 어떤 유의미한 일을 했는가를 보여줘야합니다.

여러길이 있다고 하지만, 준비된 사람들에게만 여러길이 있는거고, 지금 당장 길은 취업또는 대학원밖에 선택지가 없는거 같습니다.
연구자가 목표라면, 당연히 연구직이 가능한 대학원 석사를 고려해야하는게 맞고, 경제적 제약이 부담스러우면 박사까지 고려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박사과정은 경제적인 문제보단 방향이 더 중요하니까요.

대댓글 2개

밝은 존 스튜어트 밀*

2024.10.16

단순히, 일을해서 돈을 벌고자 한다면 취업을 선택해야겠지만, 영주권도 없이 opt기간 끝나고, 회사에서 지원해주는 비자를 가지곤 하루하루가 불안하지 않을까요. 짤리면 빠른 시기안에 다른 곳에 취업해야하는데, 그 때 경제가 잘돌아갈 수도 안돌아갈 수도 있으니까요. 그럼 반강제적으로 한국으로 돌아가야한다면, 저는 취업에 초점을 두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2024.12.1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미드텀과 파이널에 치이다 보니 이제서야 글을 확인했습니다.

정신없이 공부하고 일하다 어느새 어른이 되어 스스로 진로 선택을 하려니 너무 힘들었는데, 덕분에 생각이 조금 정리되었습니다...

졸업하면 post-bachelorette fellowship을 시켜준다는 학과 교수님이 계십니다. 이 교수님과 함께 교내 대학병원에서 opt를 사용해 1년 정도 일을 한 뒤에 박사 진학을 하는 게 지금으로서는 최선의 선택인 것 같은데...

밝은 존 스튜어트 밀 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