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창업 성공한 사람들 학벌을 알아보자

Modest Mussorgsky*

2019.12.19

10

7587

김정주 넥슨 사장 - 서울대

송재경 넥슨 공동창업자 - 서울대 

이해진 네이버 의장 - 서울대

김범수 카카오 의장 - 서울대

김범석 쿠팡 사장 - 하버드

김택진 NC 사장 - 서울대

이찬진 한글과컴퓨터 창업자 - 서울대

이재웅 다음 창업자 - 연세대

제프 베조스 아마존 사장 - 프린스턴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사장 - 하버드

래리 페이지 구글 창업자 - 스탠포드



결론은 창업하려면 학벌이 오히려 더 중요함

지잡대애들이 아이템 내놓아봐야 아무도 투자 안해준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19.12.19

2019.12.19

2019.12.19

Modest Mussorgsky*

2019.12.19

울지말고 반박을 해봐
투자자들이 보이는건 구성원 학벌밖에 없는데 뭘 보고 투자하겠냐

2019.12.19

여기서 니 학벌 인정 받고 싶어? ㅋㅋㅋㅋㅋ

2019.12.19

저급 어그로에 어그로 끌려서 또 하나의 똥글이 탄생하였다

2019.12.19

창업이 은근 학벌타는건가.

그냥 연구해서 노벨상이나 타야겠다.

2019.12.19

창업이 학벌탄다기보단 똑똑한 사람이 좋은 학벌인 확률이 높은거

2019.12.19

병먹금. 통계자료 들고 오셈.
Arthur Cayley*

2019.12.19

우리나라의 투자자들은 창업자의 학벌을 상당히 중요하게 여깁니다. 학력은 그리 중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창업자가 비명문대의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것보다, 명문대의 학사학위를 보유한 것이 투자유치에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학벌 선호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보입니다.
http://clomag.co.kr/article/3071


연구팀은 아직 이 이유를 밝히지는 못했습니다. 어쩌면 투자자들 스스로 명문대 출신이기 때문에 자신과 유사한 수준의 대학출신자를 선호하는 것일 수도 있고(이를 동종선호라고 합니다), 아니면 진실과 다른 편견에 사로잡혀 있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도 아니면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명문대 출신 창업자들의 성과가 더 탁월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그 성과를 만드는 것이 창업자들의 탁월한 실력 때문인지, 아니면 사회적 네트워크의 덕을 보게 되는 것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 이유가 어쨌든, 우리나라 스타트업 생태계에 학벌에 대한 믿음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은 확인된 셈입니다. 이 믿음이 과연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물론 연구과제입니다. 그러나 어쩌면 ‘명문대 출신이 잘할거야’라는 믿음과 ‘명문대 출신이 실제로 잘해’라는 사실 사이의 관계는 연구자들이 풀어야 할 일이 아니라, 스타트업 생태계 참여자들이 만들어나갈 일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