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국내 높지 않은 인서울 4년 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통계학과 학생입니다. 제가 과거부터 마음속에 꿈을 하나 품고 있었습니다. 이제는 시간이 되어 실행에 옮겨야 할 것 같아 도움받고자 이렇게 글을 씁니다.
저는 미국에서 유명한 투자은행에 취업하는 것이 꿈입니다. 골드만삭스, JP모건, 모건스탠리 등등 물론 불가능하고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정말 간절하고 절실한 꿈입니다. 그렇기에 아무리 불가능 하더라도 최선을 다해 도전해 보고 싶습니다. (도전하면 실패하더라도 싱가폴이나 유럽같은 근처는 갈 수 있지 않을까요)
원래 제 계획은 간단하게 이랬습니다. 지방대에서 인서울편입 -> 미국 석사 유학 -> 취업 후 스펙 쌓기 -> 꿈의 기업에 취업 현재는 편입까지만 이룬 상태며, 이제 미국 유학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솔직히 말하면 국내 대학 등록금도 버겁기에 풀펀딩을 받지 못하면 갈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빚을 지거나..) 그렇기에 풀펀딩을 받을 정도로 노력해보고 안되면 어쩔 수 없이 국내 대학원에 진학하려 합니다. 여기까지가 제 배경입니다.
우선 정보가 너무 부족합니다. 찾아봐도 쓸만한 정보는 없고 광고만 보이는 것 같습니다. 보통은 경제학과 학생들이 투자은행에 취업한다는 글을 봤고, 통계학과인 제가 가능할지 조차 모르겠습니다.
1. 투자은행에 취업하신 분들 보통 어떤 석사과정을 밟으시나요? (어떤 랩실에 들어가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2. 그리고 프로그램은 어떤 것을 쓰시나요? 미리 준비하려고 합니다. (R, SAS, 파이썬 등등) 3. 유학에 있어서 하시는 말을 보면 가고 싶은 학교를 잡고 홈페이지에 들어가 자격요건을 본 뒤에 공부하라고 하시는데, 저는 될 수 있으면 제일 높은 곳을 가고 싶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높은 학점과 100이상의 토플 점수를 목표로 하여 나중에 제 결과가 나왔을 때 학교를 고르려고 합니다. 토플과 학점이외에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GRE는 안보는 추세기에 유학을 위해 필요한 스펙이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공책을 다시 펼쳐서 공부를 시작해야 할까요? 4. 이쪽으로 자잘한 꿀팁 갖고 계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정말 간절하지만 잘모르기에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3.12.26
와 너무 힘드네요 어디서부터 조언을 드려야할지...
유학비도 없으시고 지금 엄청 지적으로 탁월하지도 않으신것 같은데...
내년에 n수해서 서울대 경영대 가는게 더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대댓글 3개
2023.12.26
네 맞습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거 같아서 유학은 포기하고 국내 석사로 생각 중입니다. 국내에서 석사 따고 된다면 미국 박사 유학 노려봐야겠죠ㅠㅠ
2023.12.26
혹시 국내 석사 관련해서 질문 드려도 괜찮을까요?
2023.12.27
아뇨. 한국에서 석사로 못 들어가요.
수능보고 서울대 경영학사 다시하세요.
서울대 경영에서도 5명 안쪽으로 들어가는 곳입니다. 수능점수로 서울대 경영 못 갈 정도면 다른 길 찾는게 맞습니다
2023.12.26
석사는 돈이 있어야하는데 박사과정으로가서 펀딩받으며 공부하는건요?
대댓글 2개
2023.12.26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서 계속 찾다가 유학은 포기하려고 합니다. 국내석사 준비해보고 된다면 미국 박사 노릴려고 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2023.12.26
혹시 죄송하지만 국내 석사 관련해서 질문드려도 괜찮을까요?
화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3.12.27
의지가 높은건 높이살만 하지만, 하나씩 해결하는데 좋아보이네요.
큰 틀은 준비되어 있지만, 그 세부적인 내용은 너무 빈약합니다.
제 대학생 2학년을 보는듯해서 하나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남깁니다.
한국에 있는 대학교에서 교수님들 중에 그 위에 있는 기업에 경험이 있는 교수님들이 무조건 한 두분은 계실거에요. 그 분과 대화를 어떻게든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대화해봤자, 큰 도움은 못받을 거같고, 진짜 전문가와 짧은 시간이더라도 대화를 해보는게 훨씬 더 도움이 될 듯합니다.
2024.01.01
안녕하세요. 윗 댓글을 보니 국내 석사 준비 후 미국 박사를 목표로 하시기로 결심하신 것 같은데 저도 비슷한 상황에서(국내 탑학부X, 재정적 여유X) 비슷한 고민을 해본 적이 있어(미국유학과 IB취업) 도움 드리고 싶네요.
미국 석사는 펀딩을 많이 주지 않아 재정적인 문제가 큰 이슈가 되지만 역량을 개발해 탑스쿨 어드미션을 받을 수 있다면 관정/일주/SBS/해커스 등 장학금을 지원해주는 재단이 있기 때문에 오로지 재정적인 문제 때문에 꿈을 포기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관정재단에서 장학금 지원가능 학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추가로 꼭 미국을 고집하지 않는다면 유럽에 있는 학교들을 목표로 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유럽권 학교들이 미국보다 장학금을 더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느 석사 진학을 목표로 하시는지 잘 모르겠지만(Finance/Data Science/Statistics...), 미국 박사 후 투자은행(인더스트리)을 목표로 한다는 게 어색합니다. 제가 아는 경우가 경영학 박사라 정보가 제한적이만, 박사학위를 받고 나서 절대다수는 아카데미아에 남아(은행으로 가더라도 Federal Reserve bank의 연구직을 목표) 주로 연구를 하거나 티칭스쿨에 가서 티칭을 합니다. 연구자 양성이 박사과정의 주된 목표(?)이므로 입학에서도 Writing sample, Publication이 합격에 주요 당락을 미칩니다. LinkedIn에서 목표로 하는 투자은행 재직자들이 어떤 스펙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게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추가로 GRE/GMAT을 안 보는 추세지만 높은 점수가 있으면 당연히 입학에 도움이 되고(특히 외국 학부/석사가 아닌 경우), CFA, FRM같은 국제공인자격증을 취득하는 것 또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대댓글 4개
2024.02.05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저랑 비슷한 상황이셨군요.. 이제 4학년인데 아직까지도 정보가 부족하고 방황 중입니다. 혹시 괜찮으시다면 오픈채팅에서 추가적으로 몇개만 질문 더 드려도 괜찮을까요??
2024.02.05
유학 https://open.kakao.com/o/sBSUM27f 언제 댓글 읽으실지 몰라서 링크 남깁니다. 들어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024.03.06
댓글 확인이 늦어 오픈채팅이 사라진 것 같네요. 김박사넷을 가끔씩 들어와서.. 오픈채팅 다시 만들어주시면 들어가겠습니다.
2024.05.14
제가 너무 늦게 확인했네요ㅠㅠ 혹시몰라 남겨둡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시작해 보세요. 링크를 선택하면 카카오톡이 실행됩니다.
미국 유학 https://open.kakao.com/o/sxaBoqjg
2024.01.06
미국 투자은행은 학부중심사회입니다. 보통 투자은행 들어가려는 학부생들은 34학년 방학동안 금융회사에서 인턴하고 그걸 바탕으로 투자은행에 취업합니다. 바꿔서 말하면 아무리 미국으로 석사 박사유학을 간다고해도 투자은행취업은 힘들다는거죠.
대댓글 1개
2024.01.06
참고로 금융쪽이 학벌제일 많이보는 곳입니다
2024.01.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ㅎㅇㅇ 전 공학이지만 아내가 IB 본사 FX 쪽에서 일합니다.
아내도 결과적으로는 들어갔지만 과정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제가 옆에서 보며 느낀 점들 나열해보면 1. 경쟁 덜한 백인, 여성. 여기서 아시아/인도나 남성으로 바뀌면 난이도 상승. 2. 일단 진입은 어렵지만 일단 진입하면 잔류/이동은 쉬움. 3. 학사는 경제(재무/회계), 석사는 1년짜리 경영학(MBA 아님). 모두 최소 나라 최고대학 4. 학부시절 미들오피스 인턴으로 업계찍먹, 석사시절 프론트 인턴. 5. 네트워킹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네트워킹이라는게 결국 본인 능력/스펙으로 하는거.
일한 본인 의견은 2008년 이후로 IB는 뒤졋고 과거에 비해 메리트가 작고 financial freedom 얻기 힘듬. 나도 어느정도 동의하고 프론트 잠깐만 일하고 나 박사 졸업하고 하면 백으로 옮기거나 IB 나오거나 해서 편한곳에 예정. 우선 IB가 예전만큼 핫한지부터 알아보세요. 님이 바라는 IB는 이미 없을 가능성도 큽니다.
2023.12.26
대댓글 3개
2023.12.26
2023.12.26
2023.12.27
2023.12.26
대댓글 2개
2023.12.26
2023.12.26
2023.12.27
2024.01.01
대댓글 4개
2024.02.05
2024.02.05
2024.03.06
2024.05.14
2024.01.06
대댓글 1개
2024.01.06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