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퇴사하고 컴퓨터 그래픽스 석사 준비중입니다.

2023.07.19

9

680

안녕하세요!
저는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전향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약 1년 4개월을 일했다가 곧 퇴사하는 사람입니다.

제가 처음 개발을 시작한 이유는 모션그래픽을 공부하고 프리랜서로 일을 하면서부터 입니다.
모션감을 간단하게 코드로 주면서 코딩과 디지털아트에 우연히 빠져들게 되었고 호기심이 생겼습니다.
이로 인해 좀 더 공부를 하게 되었고,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코딩을 접하게 된 계기가 그래픽스 모션 이다보니까,
차츰 컴퓨터 그래픽스와 렌더링 성능 최적화 쪽으로 자연스럽게 관심이 갔습니다.

그래서 6개월동안 고민한 후, 미국 유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서론이 길었는데요, 처음으로 고민하고 준비하면서 궁금한 부분이 많습니다.

1. TOEFL 100점을 넘긴다면, 안정적으로 미국 공대를 지원할 수 있는 걸까요?
(목표 대학은, 미국 공대 1-20순위 입니다.)
2. 다들 유학원의 도움을 받으시면서 준비하시는지요?
3.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07.19

ㅎㅎ 아니 스페이스바 2번쳤더니 글이 박제가 되었네요,,

3. 따로 포트폴리오같은 자료를 준비해야하는지? 아니면 준비해야하는 다른 자료가 있는지,
4. 컴퓨터 관련 학부전공을 나오지 않아도 무관한지 (저는 시각디자인 전공, 디지털아트 부전공, 디지털예술 연계전공 했습니다)
5. 그 외, 장학금지원은 많은지? 어떤 부분이 유별나야 더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지,

등등 컴퓨터 그래픽스 쪽을 준비하시는 분이라면 더 좋고, 아니더라도 여러분들의 찐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3.07.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아니오. 토플 100점은 대부분 미 대학원 지원요건입니다. 대기업 취업할때 지원자격에 학사졸업예정 이상이라고 적혀있다고 대졸이면 다 합격하는건 아니지요. 말그대로 지원자격이요.
2. 아니오. 혼자 준비못하고 유학원에 기댈 정도면 안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지원동기서에 당당하게 유학원 끼고 지원했다고 쓸 수 있는거 아니라면.
3.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어떤걸 준비해서 제출해야 하는지 나와있습니다.
4. 마찬가지로 학과 홈페이지 들어가면 관련전공 졸업자여야 하는지, 관련과목 수강기록이 있어야하는지 등등 나와있습니다.
5. 장학금 지원 없습니다. 박사의 경우 인건비 나옵니다.

대댓글 1개

2023.07.20

감사합니다..!

2023.07.20

석사는 대부분의 경우 연구를 할 기회가 별로 없습니다. 수업을 듣는게 메인이라서요. 연구에 뜻이 있으시면 박사로 지원하세요

2023.07.21

1. TOEFL 100점을 넘긴다면, 안정적으로 미국 공대를 지원할 수 있는 걸까요?
(목표 대학은, 미국 공대 1-20순위 입니다.)
아니요, 그냥 지원자격 주어지는겁니다. 교수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영어 잘하는 사람이 필요한게아니고 연구잘하는사람이 필요한겁니다.
미국 유학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거 같으신데요,
학벌/학점/연구 중에 다른사람보다 특별히 뛰어나다 하는 부분 있으신가요? 일단은 연구는 없으신거같은데요
그러면 학벌/학점으로 본인의 잠재성을 보여줘야되는데요,
학벌은 서울대 카이스트 까지 아니면 미국 교수들 잘 모릅니다 (이건 제가 실제로 교수들이랑 인터뷰해봤는데 실제로 설/카만 언급하셨습니다)
만약 학벌이 안된다면 과수석등 눈에띄는 학점으로 어필해서 잠재성이 뛰어난걸 증명해보이셔야됩니다.
1-20위 가는거 정말 쉽지않아요, 서울대 나오면 쉽게 탑20가는거 절대 아닙니다. 전세계에서 몰려들어요 미국은.. 정말 치열합니다.

2. 저같은경우 주변에 유학간사람 4~5명정도잇는데 다들 혼자서 정보찾고 지원해서갔어요. 그냥 원하는 학교에서 원하는과 교수 쓱 훑고 , 컨택메일보내고, 지원학교에맞추어 SOP랑 CV써서 내면되는데, 이과정이 다 영어라서 좀 귀찮고 길어지는겁니다. SOP는 첨삭같은거 받으시면될거에요.

3. 공대라고 하셔서 말씀드리는건데, 포트폴리오라는게 본인이한 시각아트 결과물 말하시는거면 별로 쓸모가없을거같구요, 연구프로젝트면 쓸모가 있을거같습니다. 대학원은 남들이 만들어놓은걸로 가치있는 무언가 생산하는데가아니고 새로운거 만들어내는 곳이라서요.

4. 컴퓨터 학부전공아니여도 상관없는데, 교수가 하는 연구 프로젝트에 걸맞는 전공지식이 베이스가되고, 교수가 주는 프로젝트 잘할수있다는 걸 증명할수잇는 객관적 결과물이 있어야겠지요. 보통은 이게 논문입니다.

5. 보통 공대는 풀펀딩으로 가구요, 외부장학금은 몇개있는데... 보통 탑스쿨아니면 지원자격조차 안된다고 생각하시는게 편합니다.

대댓글 3개

2023.07.21

제가 학벌/학점이 좋지않은상태에서 석사때 연구성과로만 어필해서 탑스쿨 갔습니다. 학벌/학점이 좋지않아서 그과정이 정말 너무 힘들었습니다. 다시하고싶지않을만큼.. 인터뷰 보고 떨어지고의 연속이였거든요.

2023.07.24

아이고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3번에 해당하는 답변이 정곡을 찌르네요.. ㅎㅎ 논문과 연구성과물이 중요하겠네요 감사합니다

2023.07.31

좋은 결과있으시면 좋겠습니다 화이팅하세요!!

2023.07.24

아이고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3번에 해당하는 답변이 정곡을 찌르네요.. ㅎㅎ 논문과 연구성과물이 중요하겠네요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