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경제학 대학원 준비생 현실적인 조언이 필요합니다.

2023.02.06

8

2509

안녕하세요!
현재 인서울 중위권 대학교 경제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여자입니다.
26살이고, 개인적인 사정으로 졸업이 많이 늦어졌습니다..
학점은 4.15정도이고 별다른 연구경험과 논문은 없습니다.

현재 국내대학원 석사과정, 미국대학원 박사과정 진학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꿈은 꾸지만 사실 현실적으로 어떤것부터 준비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3년 후기 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데 어떤걸 준비해야하는 걸까요?
이과의 경우 학부생인턴이나 각종 실험실 경험들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만
경제학의 경우 실험실도 없고 학부생 인턴도 없는데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지 감이 안잡힙니다.

문과 대학원생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지금부터 논문읽고, 연구계획서 쓰고 이외에 더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원하는 대학원 모집요강에는 개별적인 전공시험이나 영어점수도 요구하지 않고있습니다.
그래도 영어점수를 따는게 필요할까요..? 가고자하는 대학원은 skyssh 라인입니다.

또한 김박사넷을 보면 지금이 컨텍메일을 보내는 시점이라 되어있는데 경제학과의 경우도 지금 보내는 게 맞는 건가요?
대학원 제도가, 제가 입시를 통해 해당 대학원에 합격후에 원하는 교수님과 연구실에 들어가는 것이 아닌가요?

두서가 없이 써서 죄송합니다..
따끔한 쓴소리도 좋으니 조언부탁드립니다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3.02.06

너무 질문이 읽기 힘들게 나열돼서

>또한 김박사넷을 보면 지금이 컨텍메일을 보내는 시점이라 되어있는데 경제학과의 경우도 지금 보내는 게 맞는 건가요?
대학원 제도가, 제가 입시를 통해 해당 대학원에 합격후에 원하는 교수님과 연구실에 들어가는 것이 아닌가요?

이것만 답하자면,
이공계에도 컨택 없이 석사 입학하는 학생들도 많습니다. 모두가 다 컨택을 하진 않아요.
그치만 소위 인기랩은 컨택없이는 들어가기 어려워요.

박사는 컨택이 필수이나, 석사는 필수는 아닙니다.

과는 중요치 않습니다. 원하는 곳이 있다면 컨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하는 학교와 과만 있는 경우 입시관련 정보만 얻어 입시를 진행한 후 지도교수를 정하기도 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2.07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참고하여 입시준비하겠습니다!

2023.02.07

석사라도 컨택하면 들어갈 확률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원하는 교수님들 찾아뵙고 어필하세요.
박사까지 생각하시면 sky는 들어가셔야할 것 같습니다만, 경제학 박사 정말 쉽지 않습니다. 특히 졸업 후에도요. 교수님들께 진로 관련하여 잘 여쭤보고 결정하세요!

대댓글 1개

2023.02.07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경제학 박사 정말 쉽지 않습니다. 특히 졸업 후에도요. 교수님들께 진로 관련하여 잘 여쭤보고 결정하세요!
->이 말씀은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기 어렵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경제학 박사를 취득해도 취직이 어렵다는 말씀인가요?
힘들다면 어떤 부분에서 힘든지 자세하게 말씀해주실 수 있으신가요..?ㅜ
(지도교수님과 충분히 상의를 했지만, 교수님께서 경제학 미국박사는 수요가 많아서 박사학위만따면 보장된다고 하셨습니다..ㅜㅜ제가 잘못알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올바른 정보 부탁드립니다!)

2023.02.07

경제는 보통 교수님 컨텍하는 경우 없다고 들었어요~
저도 경제학부이고, 대학원 준비중입니다

대댓글 1개

2023.02.08

그렇군요~답변 감사합니다!!ㅎㅎ
혹시 어떤식으로 대학원 준비하고 계신지 여쭤봐도될까요~?

2023.02.17

우연히 여기 들어왔다가 글 남겨 봅니다. 지극히 제 개인적인 경험이고 조금 이전 세대(?)에 속하니까 충분히 걸러서 들어주세요. 저는 참고로 대학원 석사를 마치고 미국의 어느 시골 학교에서 이번에 박사과정 졸업 준비 중인 학생입니다. 가을부터는 세종시의 한 연구소에서 일하게 되었어요.

1.학점이 높으신 듯 하여 국내 대학원 석사 과정 입학에는 어려움이 없어 보이고 향후 미국으로 유학을 가실 때에도 크게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2.연구계획서를 쓰는 것도 좋고 논문을 읽으시는 것도 좋지만, 사실 석사 입학생에게 많은 걸 바라시진 않을 거에요. 제가 졸업한 대학원의 경우는 입학 시험이 있었는데 학부 미시/거시 경제학을 간단하게 시험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각 학교 별 입학 요강을 잘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혹시 적극적인 성격이시라면, 관심 있는 학교의 학과 사무실에 전화나 이메일로 문의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제가 알기로는 경제학과는 따로 사전 컨택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교수님들 중에 RA 기회를 줄 수 있는 분들이 있어서 혹시 석사 기간중 RA를 하면서 조금의 assistantship이 필요하시다면 그런 정보를 알아보고 사전 컨택을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운 좋게 RA를 시켜주시는 교수님께 미리 연락이 닿아서 그분의 조교를 2년간 할 수 있었어요.

대댓글 1개

2023.02.17


4. 경제학과의 대학원 제도는 이공계와 무척 다르고, 인문대와도 다소 다릅니다. 쉽게 생각하시면, 학부때처럼 수강신청하고 수업듣는게 대부분이고 2학년때 졸업논문 한편을 쓴다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그 와중에 수업조교 생활을 하게 될 수도 있고, RA를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과들과 달리 굉장히 자유로운 편에 속합니다.

5. 영어는 요구하는 곳이 있으면 당연히 해야겠지만, 크게 필요하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향후 박사 유학을 생각하신다면 미리 토플을 공부하시는게 좋을 겉 같기는 해요. 하지만 시간은 유한하니, 가진 자원들을 살피고 우선순위를 정해서 움직이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6. 대략적인 박사 지원 프로세스는, i) 토플 100점 이상 + GRE 150 후반(Verbal)/ 160 후반 (Quant)/ 3.5 이상(Writing)을 10월 전에 준비하고, ii) 교수님들의 추천서, iii) SOP 및 기타 statements들 을 준비해서 11월쯤부터 지원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런 것들은 대학원에 들어가면 주변에서 많이 듣고 알게 될 테니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

7. 박사과정이 쉽지 않은 건 사실입니다. 다양한 분들의 경험을 들어보고 충분히 숙고해서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향후 10여년 후에 좋은 결실을 맺으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인문사회 계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인문사회 계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