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사취업 vs 석사취업

2020.09.27

14

22945

반도체 소자&공정 분야에 관심이 있어 그쪽으로 진로를 결정했고 이번 하반기 삼성전자 공채를 준비했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큰 고민없이 지원했던 카이스트 전기전자 대학원에 국비장학으로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갑작스레 붙게되어 컨택이 잘 이뤄지지 않아 관심분야였던 반도체소자 쪽은 가지못했고,  반도체와 조금 접점이 있는 다른 분야를 연구하시는 교수님께 컨택이 되었습니다. 컨택되었을때는 힘든 취준기간을 빨리 끝내고 싶은 마음에 더해 카이스트 대학원이 주는 후광때문에 가기로 마음먹었었지만, 냉정하게 생각해보니 대학원을 가는게 학사취업하는 것보다 어떤 메리트가 있는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제 상황을 좀더 말씀드리면 달리 연구에 뜻이 있어 대학원 생각이 일찍부터 있었던 것도 아니고 사실 학점이 아까운 마음에 지원한 이유가 큽니다. 때문에 연구경험도 전무하고, 대학원도 카이스트만 지원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공부에 크게 재능이 있지않고, 단지 성실하고 끈기있어서 학점을 잘받았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대학원에서 연구를 잘하는 것과는 다른 능력이라 여겨집니다. 때문에 만약 대학원을 가더라도 박사까지 할 생각은 없고 그래서 사실 1지망 지원도 EPSS전형으로 냈었는데 떨어졌습니다.

만약 대학원을 가더라도 지금 생각하는 최종 목적지는 삼성전자 DS부문일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했을때 카이스트 대학원을 갔다가 석사취업을 하는게 이번에 학사취업하는 것보다 어떤 점이 메리트, 디메리트인지 잘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연구실 분야가 원래 생각했던 소자쪽이랑은 다르기때문에 더 고민이 깊어지는 듯 합니다.(지도교수님은 좋으신분 같습니다) 제 생각에 대학원의 장점은 2년 대학원 생활을 통한 카이스트 학위 취득과 그 과정에서 연구에 관한 내공이 쌓인다는 것이고, 그 기회비용으로 2년간의 경력, 2년간의 연봉(약 1억원), 2년간의 여가생활을 포기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주위에서는 카이스트 합격했으면 '감사합니다'하고 바로 가야지 배부른 고민이라고들 하지만 저는 좀더 신중하게 생각하게 되네요..

대학원이 주는 이점이 무엇인지, 회사에서는 학사와 대비해 부서배치나 업무, 승진에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중요한 결정의 순간이라 취업과 대학원진학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할지 여러 의견들 들어보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Siegfried Sassoon*

2020.09.27

석사를 선호하는 부서가 있고 학사를 선호하는 부서가 있습니다.
석사를 선호하는 부서는 주로 PA, PE 이구요.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논문을 찾아본 경험이 있고 데이터를 정리해본 경험이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부서에서는 그 경험차이가 생각보다 크게 작용하거든요.
그 외 제품 생산/개발 부서에서는 학사를 선호하는 편이구요.
Siegfried Sassoon*

2020.09.27

카이스트라면 진학을 추천하고 싶어요,
부서 내에서도 알게모르게 학연이 작용하거든요.
카이 타이틀이면 입사도 무리 없구요.

2020.09.27

삼성전자에 입사가 확정된것이 아니라면
카이스트 진학하는게 더 나을수도 있겠네요
Joseph Conrad*

2020.09.27

입사 확정 아니면 대학원 가는게 낫지 어지간한 분야는..
박사도 아니고 석사정도는 인생 살면서 따는게 이득 아닌가
그리고 원래 연구는 엉덩이 싸움이고 성실한 것을 강점으로 논문 이해하고 프로젝트 능력까지 만들면 좋을듯

2020.09.27

저도 이유는 모르지만 대기업 다니는 친척분들은 모두 학위 무조건 따라고 하십니다. 제 눈에는 나름 높은 위치에 계신 분들도 박사를 추천하십니다. 깊게는 여쭈어보지 않았지만 나름의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Joseph Conrad*

2020.09.27

ㄴ22 사실 지금 대학 졸업이 어른들 고졸이나 다름없는 것 같다고 하더라
Matthew Arnold*

2020.09.27

석사 카이스트 따면 아무래도 승진면에서 회사 생활면에서 더 나아가서 커리면에서 훨씬 이득이지;

2020.09.27

석사 하고 가면 2년 경력 인정해서 초봉 계약하고 연구 부서로 갈 확률이 학사보다 높습니다 왠만하면 석사 따고 가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카이스트 석사면
Arthur M. Schlesinger Jr.*

2020.09.28

석사는 연구 큰 뜻 없어도 견뎌낼 수 있고 회사들어가기전 buffer layer로도 괜찮아 보입니다. 하다보면 박사 생각 들지도 몰라요 사람일은.

2021.03.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짜증나는게 지금 어른들 본인들은 대학원 안가놓고 젊은세대한테는 대학원 바라네..

대댓글 1개

2021.07.30

원래 남 얘기는 쉽게 하는 법이죠

2022.11.03

안녕하세요 저도 현재 글쓴이님과 정말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카이스트 합격생입니다... 당시 어떤 결정을 하셨고, 2년이 지난 지금 어떻게 살고 계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8.07

글쓴이분은 연구쪽에 큰 관심이 없어보이네요.

이 경우, 삼성 지원한거 붙으셨으면 삼성가셔야죠.

떨어지시면 카이스트 석사로 가시면 됩니다.

삼성 합격했는데 카이스트 석사간다는건,

연구쪽에 뜻이 있어 가는거지 없다면 취업하셔야죠..

그렇다고 나중에 자랑거리도 못되니까 카이스트 석사 붙었다고 너무 아까워 하진 마세요.

대댓글 1개

2025.08.07

아 댓글보니 5년전꺼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